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인공지능도 잠이 필요하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배운 내용이 이전에 학습했던 내용을 덮어쓰는 현상이 일어나거든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이 문제의 해결책을 잠에서 찾고, ‘인공지능의 기억력을 높이기 위해서 잠이 중요하다’는 내용의 논문을 미국의 컴퓨터공학 학술지인 11월 18일자에 실었습니다. ... ...
- [특집] 도시를 움직일 전기 어떻게 생산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이는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국민 약 1800만 명이 사용하는 수준의 에너지 양입니다. 인하대학교 KIURI 연구단 조현석 연구교수는 “수소는 일반적으로 물을 전기 분해해 얻지만, 태양광 집열판(CSP)를 활용해 1500℃ 이상 환경에서는 촉매를 통한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수증기에서 수소를 얻을 수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서울과학고 수석 졸업생의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1호
- 고등학교 졸업할 때까지 학원에 다니며 수학올림피아드 대비 공부를 했어요. Q. 서울대학교 입시 준비는 어떻게 했나요? 저는 서울대에 수시 일반 전형으로 합격했어요. 합격을 위해 꾸준히 내신관리를 했고, 고등학교 2학년 2학기 때부터 자기소개서에 쓸 내용을 준비했어요. 활동 경력을 ... ...
- [러셀 탐구생활] 제1장, 러셀을 사랑한 이유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아마 저는 영국에 있을 거예요. 수리논리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싶어서 영국 리즈대학교 교환학생을 신청했거든요. 많고 많은 나라 중 영국을 선택한 이유 중 하나는 영국이 수리논리학과 수리철학의 발상지이기 때문입니다. 19세기 전후, 영국을 무대로 일군의 수학자와 철학자들이 논리학과 ... ...
- [숫자로 보는 뉴스] 위잉~ 꿀벌도 사람처럼 수를 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오른쪽 그림부터 확인한 뒤 왼쪽으로 움직였어요. 연구에 참여한 마탱 지르파 툴루즈대학교 동물인지연구센터 교수는 “단순한 동물이라 여겼던 꿀벌도 사람처럼 복잡하게 생각하고 수를 셀 수 있었어요. 동물도 사람처럼 느끼고 복잡하게 행동한다는 점을 기억하고, 사람과 동물이 함께 ... ...
- [특집] 네옴시티가 그리는 미래도시의 모습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네옴(NEOM)’은 새로움을 뜻하는 그리스어 ‘네오(NEO)’와 아랍어로 미래를 뜻하는 무스타크발(Mustaqbal)’의 첫 글자 ‘M’을 합친 말로, 사우디아라비아의 A있는데요. SF영화에서나 볼 법한 규모와 모습 때문입니다. 상상초월 스마트 시티 네옴은 정말 가능할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 ...
- [만화 뉴스] 퀘타, 론나, 퀙토, 론토…, 새로운 단위 표현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각각 1030●, 1027을 의미하며 퀙토와 론토는 1030분의 1, 1027분의 1을 뜻합니다. 호주 RMIT대학교 올리버 존스 환경화학과 교수는 언론을 통해 “접두어가 사람들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데 도움을 줄 거다”고 말했답니다. ●1030은 10을 30번 곱한 수로, 1 뒤로 0이 30개 달려 있다. 예를 들어 1000은 10 ... ...
- [기획] 78만 년 전의 발견 구워라! 그러면 맛있어 지리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설명했습니다. 네안데르탈인은 팬케이크를 좋아해지난 11월, 영국 리버풀대학교 세렌 카부쿠 교수팀은 과거 네안데르탈인이 현대의 팬케이크 같은 음식을 만든 흔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이라크와 그리스의 동굴에서 발견한 음식물 잔해 화석에서 견과류나 풀, 야생 겨자 등 ... ...
- [에디터노트] 처럼 되기를…수학동아 l2023년 01호
- 합니다. 그리고 대학 시절 그 책의 주인공인 히로나카 교수가 허 교수가 재학 중이던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에서 수업을 한다는 사실을 알고 수리과학부 학생도 아니면서 수업을 듣고, 히로나카 수리과학부 교수와 거의 매일 점심을 함께 먹으며 이야기 나누려고 노력합니다. 그러다 결국 수학에 ... ...
- [특집] 내가 기억하는 이탕장수학동아 l2023년 01호
- 2013년 논문을 발표했을 때 장 교수의 이름을 처음 들었습니다. 곧 그에게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 와서 논문의 내용을 1주일 간 강의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그는 흔쾌히 수락했고, 그가 저를 만나서 처음 한 말은 “제 미국식 이름은 Tom이니 저를 Tom으로 불러주세요”라며 편하게 말한 것이었습니다.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