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능력"(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들은 왜 암호화폐를 샀을까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양자컴퓨터는 이론상 1초에 10의 100승만큼 계산을 할 수 있는데, 이런 놀라운 연산 능력이 뒷받침될 경우 복잡한 인수분해를 푸는 문제를 이용해 정보를 암호화하는 기존의 공개키 암호 기술은 쉽게 뚫릴 가능성이 높다.다만 암호화폐와 관련해서는 미리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 ...
-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인공지능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좋은 추론용 AI 반도체를 각각 개발해 사용했다. 하지만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는 연산 능력과 전력 효율을 모두 갖춘 엣지 디바이스용 반도체가 필요하다.엣지 컴퓨팅 환경이 구축되면 AI와 IoT 장치의 활용도도 더욱 높아진다. 우선 서버에 집중된 연산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많은 ... ...
- [수학뉴스] 수학 공부 중단하면 뇌 발달에 영향 준다수학동아 l2021년 07호
- 할 이유가 생겼습니다. 청소년기에 수학 공부를 그만두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인지능력과 두뇌 발달이 낮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기 때문입니다. 로이 코헨 카도시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실험심리학과 교수팀은 같은 환경에서 자란 영국의 14~18세 학생 129명을 대상으로 수학 교육이 뇌 ... ...
- [기획] 가짜뉴스 퇴치, 너도 할 수 있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미디어에 담긴 지식과 정보 메시지를 분석, 평가하며 이를 창조적으로 재생산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최근에는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기르기 위한 다양한 행사가 열리고 있습니다. 지난 3월에는 방송통신위원회가 ‘국제 팩트체킹의 날(4월 2일)’을 맞아 ‘제1회 팩트체크 주간’ 행사를 ... ...
- 집사 길들이려면 집사 말 정도는 알아야옹~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참여한 강아지들은 아직 어려 사람을 많이 접해보지 못했습니다. 인간의 행동을 읽는 능력이 선천적으로 물려받는 유전적 특성이라면, 아주 어린 강아지 때부터 손의 의미를 이해해야 하죠. 실험 결과, 전체 강아지의 67.4%가 연구자가 가리킨 방향으로 가 간식을 먹는 데 성공했습니다. 선천적으로 ... ...
- [이공계 잡터뷰] 의료현장의 최전선 응급의학과 전문의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병원에 없을 수도 있다. 그렇다 보니 다른 전문의의 도움 없이도 환자를 살릴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곽 과장은 “응급환자들이 내원한 이유를 찾기 위한 과정은 법과학자가 작은 단서를 모아 전체적인 사건을 이해하는 과정과 유사하다”며 “이를 위해 다른 진료과 전문의 수준의 기초지식을 ... ...
- [특집] 더 작고 더 정밀하게! 진짜 정확한 지도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바뀌어도 중요한 변화로 보지 않고, 차선이나 표지판 등이 바뀌는 것만 변화로 인식하는 능력을 갖게 돼요. 지도 제작자는 제공받은 정보로 정밀도로지도를 최신상태로 업데이트할 수 있죠. ●미니 인터뷰 " 정밀한 지도의 활용 가능성은 무궁무진해요.”_허민혁(네이버랩스 자율주행그룹 연구원 ... ...
- [통합과학 교과서] 심봉사, 다시 눈이 나빠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모양에 따라 빛이 굴절, 반사하는 정도가 달라졌어요. 연구팀은 렌즈가 초점을 맞추는 능력을 살펴보기 위해 서로 다른 거리에 두 개의 해상도 차트를 두고, 렌즈에 레이저를 쏘았어요. 그 결과, 실온에서는 가까운 이미지를 선명하게 볼 수 있었고, 레이저로 열을 가하면 멀리 있는 물체도 선명하게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가짜뉴스,어디에서 왔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올바르게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를 수 있도록 어과동에선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연재를 시작했어요. 7화에선 가짜뉴스가 왜 퍼지게 됐는지 이유를 설명해 드립니다! ‘선풍기를 틀고 자면 죽는다’는 이야기 들어본 적 있나 요? 이 말을 듣고 더운 여름에 선풍기를 틀고 ... ...
- [연중기획]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1탄수학동아 l2021년 07호
- 판단하는데, 이때 사람과 컴퓨터를 구분할 수 없다면 그 컴퓨터는 인간 수준의 사고능력을 지닌 인공지능이라고 판단합니다. 2014년 앨런 튜링의 사망 60주년을 기리기 위해 열린 행사에서 2001년 러시아 연구원들이 만든 ‘유진 구스트만’이라는 챗봇이 튜링 테스트가 만들어진 지 64년 만에 처음으로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