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눈초리
시선
눈꼬리
관심
주의
눈
d라이브러리
"
눈길
"(으)로 총 656건 검색되었습니다.
12월은 컴퓨터 구입 최적기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LG전자가 `‘모빌리안’이라는 이름으로 한글 윈도CE를 내장한 휴대용 PC를 발표해
눈길
을 끌었다. 현재 양산 단계에 들어간 모빌리안은 한글 윈도95와 똑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작은 키보드와 펜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고 내장된 28.8kbps 모뎀으로 PC통신도 할 수 있는 그야말로 휴대용PC다. 이에 ... ...
외계생명체가 전하는 희망의 메시지- 콘택트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자라서 천문학자가 되고, 여전히 외계에 존재하는 생명체를 찾는데 몰두한다. 주위의
눈길
과 따돌림에도 불구하고 외계생명체와의 교신을 열망하던 엘리는 어느날 드디어 베가성으로부터 메시지를 받게 된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 개막식 때 히틀러는 자신을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처음으로 ... ...
2. 대권을 향한 손짓 그리고 얼굴표정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표현한다는 말이다.김대중 후보는 표정 관리도 뛰어나다. 연설문을 읽을 때 항상
눈길
이 수평을 유지한다. 말이 조금 틀려도 별로 개의치 않는다. 여유로움의 표현이다.또 심소장은 “김대중 후보의 얼굴은 속으로 무슨 생각을 하는지 읽을 수 없는 포커페이스(poker face)”라고 얘기한다. 노련한 ... ...
SF예언력은 어느 정도?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토론토에서 발행되는 어느 일간지를 보게 되었다. 연예면에서 별도의 박스기사 하나가
눈길
을 끌었는데, 그것은 ‘오늘’이 ‘심판의 날’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 기사에서 ‘심판의 날’(Judgement Day)은 바로 SF영화 ‘터미네이터 2’의 부제를 일컫는 것이었다. 물론 심판의 날은 현실화되지 ... ...
인터넷에 생중계되는 개인 사생활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방 안으로, 그것도 자진해서 설치되는 기현상이 일어난 것이다.이런 웹캠 가운데 가장
눈길
을 끄는 곳은 제니퍼 링글리가 운영하는 ‘제니캠’이란 이름의 사이트. 필라델피아의 디킨슨 대학을 졸업하고 프리랜서 웹 디자이너로 활동하고 있는 이 여성은, 자신의 방에 캠코더를 설치해 놓고 ... ...
이동통신 춘추전국시대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서비스에 나섰다. 꿈의 디지털 기술로 중무장한 이들 사업자들은 저마다 '내가 최고'를 외치며
눈길
끌기에 분주하다. 우리의 통신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휴대전화와 PCS, 시티폰을 중심으로 향후 전개될 텔레토피아의 모습을 살펴본다 ... ...
두유먹고 자라면 암발병 줄어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두유를 먹이면 암이나 심장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점이 밝혀져
눈길
을 끌고 있다. 최근 미국 오하이오 신시네티의 소아병의학센터에서 케네스 셋첼 연구진은 두유를 먹은 아기의 혈액에서 보통 성인의 11배에 해당하는 대량의 성호르몬 물질 피토에스트로겐(phytoestrogen)을 검출했다. 이 물질은 암과 ... ...
인터넷 다마곳치, 휴대폰 다마비치 등 속속 등장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등교 발걸음이 가볍다. 며칠을 조른 끝에 드디어 얻어낸 전리품을 보느라 손에 자꾸만
눈길
이 간다.“삐삐” “삐삐” 수업 도중 호주머니 속에서 들려온 전자음. 선생님과 아이들의 시선을 한몸에 받은 주연이는 결국 하루도 못돼 자신의 분신을 떠나버려야 했다. 주연이의 분신은 다름 아닌 요즘 ... ...
땅 위에 살게 된 최초의 식물 이끼 기르기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교과서에 자주 등장하지만 직접 관찰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매우 작아 평소
눈길
이 머물지 않기 때문이다. 이끼는 어떤 생애를 보내고, 키우려면 어덯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자.봄과 함께 피어나는 각양각색 꽃들은 저마다 아름다움을 뽐낸다. 하지만 꽃의 화려함에 뒤지지 않게 아름다운 초록 ... ...
4륜구동의 비밀은 힘나누기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출력 1백마력의 차라면 구동바퀴 각각에 50마력이 걸리는 것이다. 이 경우 구동바퀴가
눈길
이나 구덩이에 빠져 헛돌기라도 하면 빠져나올 방법이 없다.반면 4륜구동은 같은 출력조건이라면 각 바퀴에 2륜구동방식의 2분의 1인 25마력씩 출력을 배분한다. 따라서 앞이나 뒤 어느 한쪽이 미끌어져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