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끝"(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점선면 마을의 전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3호
- 선분이라고 불러요. 선분의 길이는 잴 수 있지요. 선의 한쪽 끝에만 점이 있고 다른 한 쪽 끝은 한없이 뻗어나갈 때, 이것을 반직선이라고 부른답니다. 그런데 만약 선을 셀 수 없을 만큼 많이 이어 붙이면 어떻게 될까요? 바로 면이 만들어져요. 선은 길이만 잴 수 있지만, 면은 넓이까지 구할 수 ... ...
- [SF소설] 대합창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건물 한 켠의 어정쩡한 장소에서 같이 마주쳤다.“야, 나 오늘 일냈다. R426. 잡았어. 끝냈어.”“뭐요? R426을 어쨌는데요?”“해독했어.”“해독이요? 누가 뭔 약을 타서 중독됐는데, 풀려 나셨다는 거예요?”“그게 아니라니까. R426 전파 신호에 외계인들이 무슨 통신문을 보낸 것인지 해독하는 데 ... ...
- [기획] 확 달라질 폴리매스! 2022년을 기약하며…수학동아 l2021년 12호
- 폴리매스 시상식은 이렇게 끝이 났습니다. 2022년에는 더 많은 회원이 폴리매스에서 수학과 신나게 놀았으면 좋겠어요. 그래서 준비한 시상식의 마지막 행사! ‘폴리매스 100배 더 재밌게 즐기기 강연’을 들어볼까요? 답을 향해 조금씩 나아가 보세요! 지식이 발전하면서 수학 문제 하나를 푸는 데 ... ...
- 지사탐, 우동수비대 모여라! 동물· 곤충 사진 잘 찍는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간단해요. 검지손가락으로 위쪽 줌 버튼을 누르며 사물을 확대한 뒤, 촬영 버튼을 누르면 끝이지요. 녹화 버튼을 누르면 영상을 찍을 수 있고, 카메라를 스마트폰과 와이파이로 연결하면 찍힌 사진을 스마트폰으로 볼 수 있답니다 ... ...
- [헷갈린 과학] 똑같은 콩인데, 뭐가 다르다고? 순두부 VS 판두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형태와 강도의 물체를 잡을 수 있는 로봇손을 개발했다고 밝혔어요. 로봇손의 표면이나 끝 부분이 잡아야 하는 물체의 모양에 맞게 변해 두부처럼 부서지기 쉬운 물체도 들 수 있지요. 이 로봇손은 요리와 서빙, 제품 포장 등에 활용될 수 있답니다. ‘판두부’는 두부를 판에 넣은 채로 잘라 ...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랑은 자전거를 타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잽싸게 끼어들었어요. 몽룡은 방자를 한 번 째려보고는 말을 이어갔지요.“피나는 노력 끝에 지금은 어느 정도 앞으로 갈 수 있지만 문제는….”“문제는 도련님 몸이 멍투성이가 되었다는 겁니다. 이제 여름이라 옷으로 가릴 수도 없어요.”방자가 또 끼어들자, 몽룡은 한숨을 쉬었어요.“휴, ... ...
- 진짜보다 더 진짜처럼, 상상력을 그려내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생활하던 만달로리안 종족은 구 제국의 임무를 받고 한 행성에 도착한다. 우여곡절 끝에 목표물이던 요다 종족의 아이를 생포하는 데 성공했지만, 알 수 없는 음모에 의해 일은 꼬여간다. 결국, 온 우주를 떠돌면서 수차례 위협을 받는데….2019년 개봉한 디즈니플러스 드라마 ‘만달로리안’ 中▲VP ... ...
- [매스미디어] 스파이더맨 : 노 웨이 홈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이때 거미줄은 원 위를 운동해요. 거미줄의 한쪽 끝이 건물 벽에 붙어 있고, 다른 한쪽 끝에 MJ가 매달려 있으니까요. 알랭 교수는 원 운동하는 물체의 가속도를 구하는 구심 가속도 공식 a(가속도)=v2(속도2)r(반지름)을 이용했어요. 이 공식에 따르면 원의 반지름이 클수록 가속도가 작아지고, 운동 ... ...
- 누리호│기적의 성공, 작은 아쉬움 “내년 5월 완벽에 재도전”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두 번째 누리호는 현재 조립동에서 예정대로 조립이 진행 중입니다.두 번의 발사가 끝난 뒤에도 발사체 개발 사업은 이어질 예정입니다. 10월 23일 과기정통부는 내년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사업’에 예산 1727억 6000만 원을 편성하며 후속연구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 사업은 ... ...
- 불완전한 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공부하고 있던 저에게 편지로 실험의 진행 상황을 계속 보내주셨습니다. 수많은 고민 끝에 결국 실험물리를 선택하게 됐죠. 후회는커녕 그때 실험물리를 선택한 것은 정말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그는 3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연구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았다. 많은 그룹에서 리더 역할을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