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잘하는 동물 친구들] 동물에게 배운 지혜 사막개미를 닮은 로봇, 앤트봇!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2호
거리를 재서 움직임을 결정하는 센서예요. 움직일 때마다 자신의 걸음수를 계산해 짧은
길
을 찾아갈 수 있어요. 앤트봇은 정확하게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을까요? 실험을 한 결과, 목적지에서 5~14m 떨어진 곳에 앤트봇을 두고 목적지를 찾아가게 했더니 무려 99.32%의 정확도로 도착했어요. ... ...
[인터뷰] "나에게 상처주지 않
길
" 황유경 GC녹십자랩셀 세포치료연구소장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신약 개발은 무수히 많은 실패를 견뎌낸 자만이 거머쥘 수 있는 특권이다. 수많은 후보 물질 가운데 치료에 효과가 있는 물질을 골라내고, 수차례 까다로운 검증을 거쳐 끝끝내 안 ... ‘나’에게 관심을 갖고 보살피는 것을 게을리하지 않
길
, 그래서 나에게 상처주지 않
길
당부드려요 ... ...
[융복합 파트너] 새로운
길
개척한 분자구조의 설계자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유기합성 연구는 아주 작은 로봇을 설계하는 과정과 비슷합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무언가를 설계하고 조금씩 바꿔가며 우리가 원하는 기능 ... 하지만 그 덕분에 여전히 방대한 연구가 가능합니다.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반응의
길
을 찾아가는 탐험가의 마음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 ...
[과학뉴스] 동의없는 ‘불멸 세포’ 채취 유가족, 생명공학 회사 제소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내기로 약속했다. 당시 에린 오시아 HHMI 소장은 “과학과 의학이 공정해지려면 아직 갈
길
이 멀지만 헬라 세포가 부당하게 획득됐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은 그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SF소설] 바키타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가능하겠지요. 저는 벌써 고민입니다. 우리가 살았던 첫 번째 지구에 대한 기록을 남
길
것인지에 관해. 그래도 대장님, 저는 인간이 바키타가 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우리는 두 번 다시 어떤 것도 빼앗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대장님과 나누도록 하겠습니다.마지막 기록 ... ...
컴퓨터 없이 코딩한다! 쪼물락 코딩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1호
뒤로 되돌아 가도록 명령하는 거예요. 이를 이용하면 미로 속에서도 쪼코가 자동으로
길
을 찾도록 만들 수도 있지요. 더 놀라운 것은 이 기능이 ‘로봇 청소기’와 비슷하다는 점이에요. 로봇 청소기는 쪼코보다 센서가 조금 더 많을 뿐 기본적인 원리는 비슷해요. 로봇 청소기 가장자리에 있는 ... ...
[이공계 잡터뷰] 화장품 연구 넘어 전략기획까지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제품을 다룰 때도 있다.“직접 개발한 제품일 경우엔 아무래도 자식 같아서 한 번 더 눈
길
이 가는 건 어쩔 수 없더라고요. 그러다 실제 소비자들이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좋은 성과를 냈을 때는 덤으로 큰 기쁨을 느낄 수 있어요.” 전략기획자의 냉철함과 연구자의 열정은 그렇게 만났다 ... ...
[매스크래프트] #23. 나에게 빠져 빠져! 미로의 숲!
수학동아
l
2021년 11호
그럼 막다른
길
이 등장해 되돌아 나와야 합니다. 규칙 ⓑ에 따라 아무런 표시가 없는
길
을 따라가면 탈출 성공! 퓨처킴이 트레모 미로 알고리듬으로 미로를 탈출하는 모습은 11월 1일 수동 TV에서 볼 수 있어요 ... ...
[과학공학 콘텐츠 제작소] 당신에게 고향의 추억을 바칩니다...윤인순 할머니의 오르골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건반)이 들어있습니다. 건반을 튕기면 실로폰을 연주할 때처럼 건반이 짧을수록 높은음,
길
수록 낮은음이 납니다. 원통의 9시 방향에 나 있는 돌기는 오르골의 건반 아래에 맞물려 있습니다. 구멍이 뚫린 종이 악보가 원통의 기둥면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입니다. 그러면 12시 방향에 있던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운봉산에 쌓인 돌무더기, 사실은 빙하기의 증거!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0호
형태로 흘렀다는 증거를 곳곳에서 찾을 수 있어요. 첫 번째 증거는 암괴류를 따라
길
게 나타나는 움푹 꺼진 자국이에요. 이곳은 암석 밑의 얼음이 두꺼워서 암괴가 가장 빠르게 흘렀던 자리예요. 기후가 따뜻해지며 얼음이 녹으면 돌무더기가 내려앉으며 고랑처럼 쑥 들어간 부분이 나타나게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