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주자
거주민
시민
국민
레지던트
정주자
공민
d라이브러리
"
주민
"(으)로 총 738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스크와 파일의 중개인 디렉토리
과학동아
l
199302
표지가 붙어 있는 서류철의 정확한 명칭은 폴더다.이를테면 동사무소에서는 개인별
주민
등록카드를 폴더에 끼워서 캐비닛에 보관한다. 매킨토시 컴퓨터에서는 아예 디렉토리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고 폴더라는 용어만을 사용한다. 그러면 왜 IBM계열의 컴퓨터에서 디렉토리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 ...
가이아 이론이란?
과학동아
l
199301
상황을 비판하고, 예를 들어 체르노빌 사고 이후 근처의 순록을 절멸시킨 것은 지역
주민
에게 방사능 이상의 심각한 생존 문제를 야기한 것이라고 지적하는 것이다. 각종 환경 규약과 환경산업이 새로운 제국주의적 양상을 띠고 있는 최근의 국제적 상황에서 러브록의 이러한 지적은 생각해 보아야 ... ...
4 석유대신 바이오매스를
과학동아
l
199212
반응기부피 5백㎥ 이상)를 설치, 여기서 발생하는 메탄을 공급망을 통해 지역
주민
들에게 연료로 제공함과 동시에 열병합발전에 이용하고 있다.대부분의 선진국에서는 생활하수 또는 산업폐수에 의한 수질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혐기성(산소를 좋아하지 않는) 세균으로 ... ...
규슈
과학동아
l
199212
792년 대폭발 이후 휴화산으로 알려져 왔으나, 1991년 6월 3일 또다시 대폭발이 일어나 부근
주민
의 마음을 조이게 했다.이 운젠악(雲仙岳)은 임진왜란때 왜병에게 끌려간 조선 사람들이 의지할 곳 없는 마음을 천주(天主)에게 맡겨 귀의했던 곳이기도 하다. 이때 조선 부인 가운데 이사벨라의 박해는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11
공룡화석의 보고다. 20세기 전반에 중국 서부의 미개척지로 진출한 중국인들은 그곳
주민
들이 공룡의 척추뼈를 기름등잔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격했다. 현재 중국에는 공룡 전문 박물관이 세 곳이나 있을 정도다.이렇게 세계 도처에서 많은 종류의 공룡화석군이 보고되고 이들에 대한 연구가 크게 ... ...
실크로드
과학동아
l
199211
눈이 녹아 땅속을 흐르는 물이 산록에서 저절로 스며나와 오아시스를 이루는데, 이곳
주민
들은 '카렌스'라고 하는 지하수로를 만들어 사막에 관개한다.지표면은 바람에 침식돼 마치 버섯모양의 토주(土柱)를 이룬 기기묘묘한 경관을 나타내는데, 이곳 사람들은 이것을 용퇴(龍堆)라고 한다. 이곳에 ... ...
과학캠프 교사로 맹활약하는 이화여대 아마추어 천문회 폴라리스
과학동아
l
199211
'매우 이기적'이라는 생각이 들어 매년 학교에서 공개관측회를 개최한다고 한다. 지역
주민
들과 동네 꼬마들에게 거문고자리의 직녀별을, 페르세우스자리 이중 성단을, 안드로메다은하를 설명하다보면 자신들이 '과학대중화'의 기수가 된듯한 착각을 일으키기도 한다. 교과서에 파묻혀 지루하게만 ... ...
4 차세대 고속증식로 슈퍼피닉스 실용화
과학동아
l
199210
생긴 사용후 핵연료를 재처리하여 얻은 플루토늄을 일본으로 운반하기 위한 것이다.
주민
협조로 핵폐기물처리장 건설최근 원자력산업 중 가장 골칫거리인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 처분에도 프랑스는 일찍부터 면밀한 계획을 세워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먼저 방사성 폐기물을 전담할 방사성 ... ...
지구상의 마지막 원시부족 힘바족의 고향 나미비아
과학동아
l
199209
심지어는 도둑질까지도 서슴지 않았기 때문이다.19세기 이곳을 식민지화한 독일은 원
주민
에 대한 대규모 학살 행위를 감행, 헤레로족의 숫자가 8만명에서 2만명으로 줄어드는 등 어려운 시기를 맞았으나 독일이 제1차 세계대전에서 패배하고 1915년 나미비아를 남아프리카에 넘겨줌에 따라 이들은 ... ...
PART1 어떤 민족이 무슨 쌀을 먹나
과학동아
l
199209
지금부터 6천년 전을 거슬러 올라가 인도의 아삼지역과 중국의 운남지역에 살고있는
주민
들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하는 이야기가 가장 믿을 만하다.물론 처음에는 강가에 살고있는 야생벼(벼의 조상)를 수집하여 먹었을 것이고 다음에는 야생벼의 종자를 채취하여 가지고 와서 자기의 밭에 심기도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