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맨
사항
점
개조
심줄
색
키이
d라이브러리
"
건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수 있어. 물론 열쇠는 서로 가지고 있어야겠지. 암호화하는 열쇠와 푸는 열쇠가 같다는
건
서로 대칭인 관계를 의미해. 암호화한 방법을 반대로 하면 암호를 풀 수 있는 거지. 비밀 열쇠 암호의 약점은 여러 명이 암호를 공유해야 할 때야. 열쇠가 많아지면 보안에 문제가 생길 확률이 높아지거든 ... ...
3. 서프라이즈! 수학으로 본 세상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쌍둥이처럼 다니던 친구가 있었다. 나를 위한 특별한 날인 생일이 누군가와 같다는
건
그 사람과 묘한 동질감으로 다가오기 마련이다. 그럼 한 반의 친구들 사이에 생일이 같은 사람이 있을 확률은 정확히 얼마나 될까? 1년 365일 중에 30명이니까 그다지 높지 않을 거라고 생각할 수있다. 생각에만 ... ...
신종플루, 수학이 막는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있는 것처럼 움직여. 이런 바다 속 세계의 모습도 수학으로 분석할 수 있어.쓰러지면 무조
건
심폐소생술?사람이 호흡곤란으로 쓰려져 있다면, 보통 사람들은 달려가 심장 부위를 누르며 사람을 살리려고 하겠지. 그런데 그거 알아? 쓰러진 사람이 70kg의 남자라면 폐보다는 오히려 배쪽을 눌러 호흡이 ... ...
바다에서 찾은 청정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세계에서 규모가 가장 크답니다.조류라고 하면 밀물과 썰물을 말씀하시는
건
가요? 그
건
조력발전 아닌가요? 아이고, 기자도 정말 헷갈리네요~.조력발전은 바닷물을 가둬 놓고 밀물과 썰물 때의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해요. 하지만 조류발전은 바닷물이 빠르게 흐르는 곳에 터빈을 설치해 놓고, 태양과 ... ...
오른쪽? 왼쪽? 보행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추구하는 최근 추세와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2⃞ 좌측통행이 불편해? 바꾸는
건
더 불편해!좌측보행을 우측보행으로 바꾸는 것은 오래된 습관을 하루 아침에 바꿔야 하기 때문에 큰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좌측보행이 가져오는 작은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오히려 큰 불편함을 참아야 하는 ... ...
옮기고~ 뒤집고~ 돌리고~ 도형을 춤추게 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수 있을 만큼의 여유가 없다보니, 옮겼을 때 ‘생기는’ 도형이란 게 무엇을 말하는
건
지 잘 모르겠다는 학생도 있다. 옮겼을 때 위치가 바뀐다는 것보다는 모양에 변화가 없다는 것을 더 강조하는 활동이다. 숫자 3 주변에 거울을 대고 숫자 3을 비췄을 때 거울에 보이는 그림이 왼쪽과 같으려면 어느 ... ...
'채식'하는 거미 있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나오는 노란 점액, 즉‘벨트체’다.바기라가 벨트체를 먹을 때 길잡이 역할을 하는
건
개미다. 개미는 아카시아의 빈 줄기에 살면서 벨트체를 마음껏 먹는 대신 초식성 곤충으로부터 아카시아를 지켜준다. 바기라는 개미를 몰래 따라갔다가 개미가 잠시 자리를 비우는 사이 재빨리 벨트체를 들고 ... ...
잉카 금 정련기술, 유럽보다 수 세기 앞섰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수은아말감으로 금과 은을 정제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유럽 전역으로 퍼지게 된
건
12세기가 지나서였다.잉카제국 이전부터 아메리카 대륙의 토착민들이 금과 은을 추출하고 정련하는 기술이 있었다는 주장은 예전부터 제기돼왔다. 1552년 스페인 정복자들은 잉카제국을 침범했을 당시 납치한 ... ...
어린왕자가 다녀간 대청도 '모래사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바다
건
너 중국 산둥반도에서 모래바람이 불어왔다. 먼 곳에서 찾아온 모래를 길들인
건
바람이다. 바람은 축구장이 70개나 들어갈 만큼 커다란(66만m2) 도화지에서 모래더미를 주물러 높이가 40m나 되는 언덕을 만들어낸 예술가다. 수천 년 동안 모래를 쌓았다가 무너뜨리고 뒤엎기를 반복하면서 ... ...
기상 오보 바로잡을 파란 눈의 ‘구원투수’ 나섰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설명했다.여기에 삼면의 바다에서 습한 공기가 전해지는 우리나라는 급작스럽게 기상조
건
이 변하기가 쉽다. 여름철에 형성된 뭉게구름은 서울 하늘의 1/4 정도밖에 차지하지 않을 정도로 작지만 날씨에 영향을 미친다. 이렇게 작은 규모에서 일어나는 급작스러운 반응은 모델에서 잡아내기 힘들다. ... ...
이전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5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