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어린이과학동아
"
동물
"(으)로 총 5,225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우병은 무서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114
발생하는 병. 소의 뇌에 구멍이 생기며 성질이 포악해지고 정신이상을 일으키다 죽게 되는 전염병이다. 소의 뼈와 내장으로 만든
동물
성 사료를 먹은 소들이 주로 걸리며 광우병에 걸린 소의 고기를 사람이 먹으면 사람 역시 인간광우병에 걸릴 수 있다. 아직까지 확실한 치료법이 없어서 발병하면 100% 사망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인간광우병이 21 ...
살아 숨쉬는 녹색의 도시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31
만나고 온 웅이. 여전히 시골이 그립긴 하지만, 앞으로 도시의 모습이 어떻게 변할지 궁금해졌다. 맑은 공기를 마시며 집 앞에서 야생
동물
을 만나고 도시를 흐르는 강에서 맘껏 물놀이를 할 수 있다면 도시 생활도 그리 나쁠 것 같지는 않을 것 같다. 결국 도시에 남기로 마음을 바꾼 웅이. 자신도 환경과 인간이 더불어 사는 도시가 되는데 도움이 되자고 ...
살아 숨쉬는 녹색의 도시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31
없는 일들을 해낸다. 특히 환경보호 쪽에서의 활동이 두드러진다. 환경을 파괴하는 정부의 개발을 막고 환경오염으로 죽어 가는 야생
동물
을 구조하기도 한다. 전 세계적으로 1600여개 단체가 활동 중이며 '그린피스' 같은 유명한 NGO의 영향력은 막강하다. {BIMG_r15}"정부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시민들의 자발적인 활동이 환경보호에 있어 가장 중 ...
똥의 향기에 취하다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13
똥만 잘 눠도 건강하게 살 수 있다고 말하는데…. 매일매일 보는 똥에서 우리 건강의 실마리를 찾아보자. 똥은 억울해 똥 : 사람이나
동물
이 먹은 음식물을 삭이고 항문으로 내보내는 찌꺼기. 국어사전에 나와 있는 똥의 의미다. 입으로 들어간 음식이 소화되어 나왔을 뿐인데 음 식과 똥의 대접은 하늘과 땅 차이다. 똥이라는 말도 입에 올리기 싫다. 대 ...
2 놀라운 세상 - 신비한 숫자 2의 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928
되면서 두 손이 자유로워졌기 때문에 사람으로 진화할 수 있었습니다. 인류의 조상이 두 다리로 걷지 못했다면 우리들은 다른 형태의
동물
로 살아가고 있을 거예요. 로봇도 진화를 거듭해 두 다리로 걷게 됐지요. 수백 개의 모터를 이용해 사람처럼 한 다리에서 다른 다리로 중심을 이동하며 걷게 만드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이에요. 많은 연구를 거듭한 끝에 ...
지구용사 어과동 파이브!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30
다시 아프리카로 왔다. 조용한 늪지. 그 사이로 나일악어의 울퉁불퉁한 등이 보였다. 나일악어는 날카로운 20여 개의 이빨을 가진
동물
로 한번 물면 놓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조용히 나일악어가 사냥하는 모습을 지켜보기로 했다. 얼룩말 한 마리가 물을 마시러 왔다가 나일악어의 눈에 띄고 말았다. 나일악어는 커다랗게 입을 벌려 얼룩말을 물고 물 속 ...
1737 9월 9일 생체전기 발견한 갈바니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30
이탈리아 볼로냐대학교의 해부학 교수였던 갈바니는 해부 실험 중 개구리의 다리에 칼을 대면 다리에 경련이 일어난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것이 뇌에서 만들어진
동물
전기라고 주장했다. 올바른 설명은 아니었지만 그의 실험은 전기생리학과 전자기학,전기화학의 발전에큰계기가 되었다. ...
지구용사 어과동 파이브!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30
큰일난다. 강한 독을 가진 독화살개구리의 경우 만지기만 해도 죽을 수 있기때문이다. 타이판독사, 복어, 해파리, 독화살개구리. 어떤
동물
이 가장 독이 강한 걸까? 우열을 가리기가 무척 힘이 든다. 타이판독사나 복어, 해파리도 강한 독을 지녔지만 같은 양이라면 독화살개구리의 독이 가장 강력하다. 그래서 마지막 용사는 독화살개구리가 되었다. 이제 ...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14
이걸 먹고 살거든. 바다 괴물과 만난 아찔한 순간들 생물은 바다에서 태어났어. 현재 바다에는 1만 7000여 종의 식물과 15만 2000여 종의
동물
이 살고 있지. 하지만 바다 깊이 내려가면 햇빛이 들어오지 못해 식물이 광합성을 할수 없잖아. 또 무겁게 짓누르는 압력과 서늘한 수온은 어떻구. 난 깊은 바닷속에는 어떤 생명체도 살 수 없다고 확신 ...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14
살고 있다고 상상했어. 그 당시 바다는 캄캄한 우주만큼이나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거든.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하필 거대한 연체
동물
을 바다괴물이라고 생각했을까? 거대 고등어나 대왕불가사리도 있으면 좋을 텐데. 그건 바로 발달한 지능과 여러개의 다리를 가진 문어와 오징어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야. 크기까지 커지면 더 무섭겠지? 얼음 바다에도 생물이 ...
이전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5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