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붕~, 떠서 달린다! 자기부상열차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이번에는 미래의 자기부상열차를 보러 간다는 거야.컴컴한 창고 앞, 불을 켜자 그 곳에는 코일이 잔뜩 감긴 미래 자기부상열차의 엔진과 시뮬레이션 컴퓨터가 보였어. 서울에서 부산을 2시간 40분 만에 가는 KTX의 최고 속도는 시속 300km. 그런데 이 엔진을 단 자기부상열차는 시속 550km까지 달릴 수 ... ...
- 제2게임 행렬로 푸는 흑백 게임수학동아 l2010년 11호
- 표에 있는 네모 칸 다섯개는 게임에서 첫 번째 줄을 나타내는데, √표시가 돼 있는 곳의 돌을 뒤집으라는 뜻입니다. 저는 가장 앞에 있는 것 (□□□□ [체크 괄호] )을 선택해 첫 번째 줄의 가장 마지막 돌을 뒤집었습니다. 그 뒤 처음에 했던 것처럼 첫 번째 줄부터 마지막 다섯 번째 줄까지 흑이 ... ...
- 110년째를 맞이한 노벨상수학동아 l2010년 11호
- 010년 10월 4일 전 세계의 관심이 한곳으로 쏠렸다. 바로 스웨덴 스톡홀름이다. 이곳에서는 매년 10월 둘째 주 월요일부터 노벨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노벨 물리학상, 노벨 화학상, 노벨 문학상, 노벨 평화상,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를 매일 발표한다. 단 평화상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발표된다 ...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수학동아 l2010년 11호
- 줄로 매달았다는 뜻에서 사장교라 부른다. 밑에서 보를 받치는 기둥을 세우기 힘든 곳에 다리를 짓기 위해 개발된 형식이다. 거더교에서 보의 가운데가 약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기도 하다.현재의 사장교는 줄이 받는 힘과 지진이나 바람의 영향을 컴퓨터로 계산해 설계한다. 아름다운 ... ...
- 아다 요나트 박사와 과학 꿈나무들의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스테아로테르모필루스’라는 세균을 가지고 실험했다. 이 세균은 아주 차갑거나 뜨거운 곳에서도 살아남을 만큼 생명력이 강한 데다가 자라나는 속도도 빨라 실험에 쓰기 아주 좋았다고 한다. 사진은 사해의 모습이다 ▲ 리보솜은 크고 작은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리보솜의 큰 부분을 ‘50S’, ... ...
-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수학동아 l2010년 11호
- 따져가며 게임을 한다.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상황에 따라 3~4곳의 위치를 선정하고, 그 곳에 돌을 두었을 때 어떤 상황이 일어날지를 먼저 생각한 뒤 가장 유리한 쪽에 돌을 둔다. 이런 사고 과정은 수학의 최적화 이론과 관련이 있다. 어떤 문제 상황에서 정확한 답을 구할 순 없지만, 여러 가지 ... ...
- 우리 돈과 외국 돈이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0년 11호
- 사용합니다. 유럽여행을 할 때, 유로화만 있으면 독일이나 프랑스, 이탈리아 등 어느 곳에 가든지 물건을 살 수 있답니다.우리나라 사람이 다른 나라를 여행하려면 그 나라의 화폐가 있어야 합니다. 일주일 동안 미국을 여행하는 데 드는 경비가 2000달러라고 한다면 우리 돈이 얼마나 필요할까요? ... ...
- 교육 선진국 스웨덴·핀란드 교사단, 한국에서 한 수 배우다수학동아 l2010년 11호
- 도착했어. 금오공대 수학과 교수님들이 교사단을 반갑게 맞아 주셨지.가장 먼저 간 곳은 4D프레임으로 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를 만들어 전시하고 있는 체육관이었어. 높이8.6m의 거대한 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를 보자, 교사단의 입이 쫙 벌어졌어. 어떻게 이걸 만들었냐며 신기해하며 사진을 찍었지. ... ...
- 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과학동아 l2010년 11호
- 각고의 노력 끝에 수많은 외계행성을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아직 안심할 수는 없다. 찾아낸 외계행성 중에서 인류가 살기 적합한 행성이 어떤 것인지 모르기 ... 우주 끝까지 외계행성 찾는다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빛보다 빠르게 또는 느긋하게그 곳에 생명이 있다!외계행성을 ... ...
- 노벨상 수상자들의 국적을 묻다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영국은아예 노벨상 수상의 경제적 효과까지 들먹였다.이런 현상은 과학자가 태어난 곳과 별개로, 수상자가 실질적으로 연구활동을 하고 있는 나라도 노벨상을 기념할 자격이 있다는 생각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과학 연구에서 국제 공조와 협력, 그리고 해외 진출이 보편화된 현실을 엿볼 수 있는 ... ...
이전5145155165175185195205215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