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방사능에서 벗어나는 법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방사성 물질은 몸속에 들어오면 소화, 배설 등 대사 작용의 영향으로 반감기가 더 짧아
진
다. 몸속에서 요오드131의 반감기는 7.6일, 세슘137의 반감기는 108일이다 ... ...
[영재교육현장] 수학자·과학자 돼보는 대
진
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키우고 전략을 구상하는 능력도 배울 수 있다.일본 화산 거쳐 미국항국우주국까지대
진
대 과학영재교육원은 방학 때마다 외국의 과학현장을 체험하는 해외과학캠프를 연다. 세계의 다양한 인종과 문화를 경험하면서 눈과 가슴을 활짝 여는 기회로 삼으려는 것이다.지난여름에는 일본의 화산과 ... ...
슈퍼 스펀지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그러자 갑자기 유리 가루가 부풀어 오르면서 아세톤을 흡수했답니다. 이렇게 만들어
진
물질이 바로 저예요.정말 신기하군요! 또 자랑할 것은 없나요?저는 물을 깨끗하게 하는 데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어요. 그 중 대표적인 예가 공장 주변의 지하수를 깨끗하게 하는 일이지요. 저를 지하수에 넣으면 ... ...
알쏭달쏭 표준을 잡아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있답니다. 우리가 쓰는 단위의 종류가 이렇게 많은지 몰랐어. 이런 국제 표준으로 정해
진
단위들이 없었다면 아마 복잡한 문제들이 일어나서 혼란이 생겼겠지? 표준시간이 없으면 각자 알고 있는 시간이 달라서 친구랑 한 약속도 지키기 어려울 테니 말이야. 우리 생활에 편리함을 주고, 질서를 ... ...
“수학은 뇌 전체 훈련에 효과적”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이는 당시 프랑스의 군사기밀에 부쳐져 15년간 공개되지 않았다. 그 뒤 수학자로 유명해
진
몽주는 1780년에 파리대학 수리학 교수가 됐고, 1791년에는 새로운 도량형인 미터법 제정에도 참여했다. 1794년 에콜 폴리테크니크에서 자신이 연구한 화법기하학 강의를 시작했다. ... ...
2011 한국수학올림피아드 1차 시험 대비법 수학 최고수라면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학생은 일반적으로 다른 과목도 잘해 KMO에서 좋은 성적을 낸 학생이 원하는 대학에
진
학한 비율도 높다.대학에서 더 어려운 내용을 배울 때 중고등학교 때 KMO에서 어려운 문제를 풀며 키운 집중력과 문제해결력이 빛을 낸다. 무엇보다도 훌륭한 학자나 전문가가 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KMO를 거쳐 ... ...
첨단 기술로 배를 띄워라!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안녕? 난 바다의 귀염둥이 돌고래야!방금 ‘뿌웅~!’ 하는 소리 들었지? 인간들이 만든 거대한 물고기가 지나가고 있어.저 물고기는 저렇게 큰 ... 물 속에 넣었다 뺐다 하면서 위아래로
진
동시키면, 물이 함께 출렁이면서 파도가 만들어
진
다. 야외 수영장의 인공 파도도 똑같은 원리로 만든다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체결하고 미국의 초전도 DC케이블 사업에 우선협상대상기관으로 선정돼 미국 시장
진
출이 확실시되고 있습니다.초전도 기술의 미래를 어떻게 보십니까?초전도 전력기기가 널리 쓰이면 고전압 송전에 따른 주민 불만도 해소할 수 있고, 급격한 수요 증가에도 쉽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고품질의 ... ...
고려대 봉사단 ‘쿠소’의 뜨거운 8박 9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학생들 수업은 ‘고무동력기 와 물로켓 만들기’. 고무동력기를 만드는 아이들의 표정이
진
지하기만 하다.] [❸ ‘한국관’ 교실 내부. 수업교재로 사용됐던 패널, 물로켓, 고무동력기 등이 교실을 가득 매우고 있다.] 캄보디아 학술원장 “국가 교육에 반영할 것”쿠소의 과학나눔에 관심을 ... ...
효모 인공포자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살아 남는다”며 “이에 착안해 효모의 인공포자를 만들게 됐다”고 말했다. 세포로 이뤄
진
바이오센서를 상용화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은 세포가 오래 살지 못한다는 것. 따라서 인공포자 기술은 바이오센서를 만드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할 전망이다. 이번 연구에는 KAIST 이해신 교수팀과 서울대 ... ...
이전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