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에 다녀온 옥수수박사 김순권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장군의 추천사다. 그러나 아프리카인을 기아에서 구한 기여는 노벨평화상감이지만
생물
계에 공생의 장을 역설하고 이것을 연구로 실현시킨 기여는 노벨생리의학상감이었다. 모든 과학계가 아직 김박사의 철학과 이론을 이해하고 지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지난 1996년 노벨상위원회에 제출된 ... ...
불로장생의 비약, 동충하초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중국 육상선수팀 마군단의 비밀동충하초는 크게 두가지면에서 인간에게 유익한
생물
이다. 먼저 약재로서의 기능이다. 동충하초는 오래전부터 중국에서 중용한 한약재로 사용돼 왔는데, 어떤 종류는 불로장새의 비약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사람의 면역 기능을 강화시킨다는 점이 가장 커다란 ... ...
효소라는 이름의 촉매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아미노산의 결합 순서는 각
생물
체가 어버이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 속에 들어 있는 그
생물
체의 설계도다.세포 내에서 이뤄지는 단백질 제조 현장에는 이 설계도의 복사본이 준비돼 있어, 펩티드 합성효소는 이 설계도를 참조하면서 차례차례 아미노산을 연결해 간다. 따라서 같은 단백질일 것 ... ...
인간의 정자를 생산하는 쥐 등장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얻을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그러나 과학자들은 안전 문제에 대해서 염려하고 있다.
생물
학자들은 인간정자가 쥐에서 성장할 때 유전적인 변이를 일으킬지도 모른다고 우려하고 있다. 그리고 쥐가 지닌 바이러스에 감염된 채 정자가 인체에 이식될 수 있다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 ... ...
Ⅰ 생명체 곰삭이는 자연의 분해자: 버섯은 곰팡이 일종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조직을 파괴하는 병균으로 변모한다.이런 면에서 신영오 교수(강원대 의대·병원성미
생물
학)는 "사람의 적은 기생성 곰팡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실상 곰팡이 전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한다. 몸을 호시탐탐 노리는 기회주의자들에게 사람이 대책 없이 노출된 셈이다.곰팡이는 ... ...
Ⅲ 약주는 곰팡이: 페니실린의 후예들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1929년 어느날 영국의 알렉산더 플레밍은 병원성 미
생물
을 연구하던 중 우연히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다. 미
생물
을 배양한 접시에 푸른곰팡이가 떨어져 있었 ... 만드는 것 같다. 먹이가 모자른 상황에서 다른 미
생물
과 생존경쟁을 벌이다 보면 다른 미
생물
을 죽이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 ...
이별의 씨앗이 된 현미경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있고 착실한 소년이었을 뿐 별다른 에피소드는 없었다. 다만 뒷날을 예감케 하는 것으로
생물
학에 취미가 있었던 점과 내륙 지방에 살면서도 바다에 관심을 나타냈던 것은 특이했다.결혼 약속 받기 위해 개업코흐는 19세 나던 1862년 괴팅겐 대학교 의과대학에 입학해 4년의 학업을 마친 뒤 1866년에 ... ...
Ⅱ 병 주는 곰팡이: 식품 오염시키는 독소분비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가축들 사료 먹고 떼죽음1960년 영국에서 사료를 '잘못 먹은' 칠면조 10여만마리가 집단 떼죽음을 당했다. 사료에는 브라질에서 생산된 땅콩이 섞여 있었다. 수입사료를 먹은 지 1주일만에 벌어진 '칠면조 X 질병' 사건의 시작이었다.즉시 원인규명에 나선 과학자들은 칠면조에 간암이 발생했음을 발 ... ...
Ⅳ 별난 곰팡이 세가지: 고등
생물
과 공생하면서 환경운동도 펼쳐
과학동아
l
1998년 03호
살아있는 소나무와 공생관계를 이루어야 비로소 생존이 가능하다. 곰팡이가 다른
생물
과 공생을 한다? 그렇다. 자연계에서 이런 관계는 드물지 않다.많은 종류의 고등식물에서 뿌리 주위의 토양에 곰팡이의 균사(실모양의 곰팡이 본체)가 발달한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균사는 집단을 이뤄 뿌리 ... ...
정월대보름의 계수나무와 옥토끼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그는 1972년 미국정신분석학회에 달이 실제로 인간을 비롯한
생물
의 행동에 강한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보고했다.보름달이 뜨는 날은 살인과 폭력, 자살 등이 다른 날에 비해 현저하게 많이 일어난다는 통계적인 증거를 제시한 것이다. 그는 달의 인력이 밀물과 썰물을 일으키는 ... ...
이전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