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각국의 컴퓨터 연구「컨소시엄」 90년대에 승부를 건다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다양한 혁신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예산규모도 1
백
3억달러에 이르고 회원기업은 1천6
백
여개사, 프로젝트 건수도 3
백
2건으로 방대하다.또한 JESSI는 첨단반도체칩의 경쟁력강화를 목표로 네덜란드의 필립스 서독의 지멘스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합작회사인 톰슨 등 3개사가 50억달러의 자본을 들여 ... ...
발굴·복원되는 찬란했던 문화유산 멕시코의 고대유적과 현대문명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정복자가 '악마가 쓴 글'이라 하여 모두 소각하여버렸다. 인류의 긴 역사에서 볼 때 5
백
년이란 시간은 수수께끼를 낳을 정도로 긴 것은 아니다. 그런데도 라틴아메리카의 인디오문화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그 시대와 그 민족을 이해할 실마리가 수수께끼처럼 사라져버렸다. 이것은 귀중한 ... ...
태양계의 신비 얼마나 벗겼나 12년의 대장정 보이저 드라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구성하는 성분과 고리 및 위성을 관찰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 계획의 핵심은 무게 약 3
백
㎏인 탐사장비를 목성의 대기 속으로 떨어뜨려, 중력에 의해서 파괴될 때까지 데이터를 받아내는 것이다. 최근 핵추진위성이라 하여 반핵운동가들에 의해 발사반대운동이 일고 있다.율리시즈/태양탐사1990년 1 ... ...
밤에도 본다 야간 감시장비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적외선카메라를 제조하려는 시도도 이뤄지고 있다. 아무튼 이 센서가 실용화돼 물체를 1
백
만분의 1도까지 식별할 수 있게 된다면(현재는 1/1천도정도까지 식별) 새로운 적외선의 세계가 펼쳐지리라 기대된다.레이저 레이다의 등장이번에는 야간감시장비와 함께 영상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 ...
북한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국가 학위 및 학직 수여 등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물리수학 생물학 지질학 원자력 흑
백
금속 기계공업 연료 규산염연구소 등이 있으며 천문기상대 과학원종합공장이 설치되어 있다. 함흥분원에는 고분자화학 유기·무기화학연구소가 있다.농업과학원은 육종학 토양학 직물재배학 수의학 사료학 ... ...
교사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별이 있는데 그 중에서 아주 작은 주계열성에 불과합니다." 아이들은 얼떨떨해진다. 1천5
백
억이란 숫자는 우리가 평생 세어도 못 세는 숫자임에도 불구하고 별로 큰 숫자임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우리 우주는 계산상으로 약 1천억개의 은하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 중에서 우리 ... ...
유니시스에 대규모 수출계약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수출할 기종은 'AT 286'과 'AT386'기종으로 연말까지 3만대, 내년에는 약 15만대(1천1
백
억원상당)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XT기종이 아닌 AT기종으로 이처럼 많은 양의 컴퓨터수출계약을 맺기는 국내업체로는 고려씨스템이 처음이다. 고려씨스템은 유니시스에 전량 OEM방식으로 수출할 계획이다. 이번에 ... ...
온실효과로 균열·이동시작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상당부분이 바다밑에 가라앉게 되며 또 예측못한 생태계의 대변혁을 가져오게 될 것은 명
백
하다. 따라서 장래에 닥칠 재난을 어느 정도 예측해서 대비책을 세우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원인은 온실효과 때문최근의 리모트센싱 결과(레이다나 지진계 사용)에 따르면 서부빙대는 굉장한 규모로 ... ...
40여년만에 처음 지질학자가 살펴본
백
두산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민족의 영산
백
두산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천지를 둘러싼 고준영봉의 비밀을 소개한다.가깝고도 먼 곳에 있는 우리 민족의 영산인
백
두산을 남 ... 상반된 격심한 지질작용을 겪으면서도 의연히, 그리고 장엄하게 우리 앞에 선
백
두산의 자태는 분명히 우리민족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 ...
측우기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매우 중요하다.이렇게 측우기를 써서 강우량을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일은 세종 때 이후 1
백
년여년 동안 잘 시행되었다. 그러다가 어느 사이엔가 조금씩 흐트러지기 시작했다. 특히 임진왜란의 참화로 측우기에 의한 강우량 측정의 전통은 끊어지고 말았다. 거의 모든 측우기가 없어졌다. 지금까지 ... ...
이전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5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