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공
서문
본업
프로
스페셜
소식
소문
d라이브러리
"
전문
"(으)로 총 5,360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라즈마 물리학 핵융합발전의 미래를 연다
과학동아
l
198701
핵융합이 성공을 못하고 있지 않은가?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플라즈마 핵융합을
전문
용어로는 제어된 열핵융합(Controlled Thernomuclear Fusion)이라고 부른다.현재 추구되고 있는 플라즈마 핵융합의 방법으로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첫번째 방법이 수소폭탄의 작용원리와 비슷한 충격 핵융합법(Inertia Fusion ... ...
기술진흥우수경영인 금탑산업훈장수상 김상홍 삼양사 회장
과학동아
l
198701
%인 연구개발비를 계속 늘려 90년에는 3.5%로 높이고 종합연구소의 연구인력도 학사급이상
전문
연구원을 현재의 75명에서 90년에는 1백 50명이상으로 보강할 계획입니다."틈이 날때마다 책을 즐겨읽으며 아침마다 거르지않고 약 20분간씩 하는 맨손체조로 건강을 관리한다는 김회장은 인화를 ... ...
정밀화학 의약·농약의 개발주력
과학동아
l
198701
반도체 등에 사용되는 무기화학 제품 등이다.현재까지 정밀화학공업계는 산업체는 물론
전문
연구기관에서도 수입대체를 위한 국산화를 목적한 외국제품 모방생산 연구에 역점을 두어왔다. 따라서 이에 따른 연구로 유기화학계에서는 기존 의학품, 농약, 염료 등의 새로운 제법연구가 주종을 ... ...
제임스D.왓슨
과학동아
l
198701
유전학자들이 연구하고 있다. 또 해마다 열리는 하계 세미나에는 3천여명의 분자생물학
전문
가들이 구름처럼 모여든다.현재는 암연구에 골몰왓슨은 요즘 항혈액응고물질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그는 DNA 조환방법으로 혈전증 치료제인 조직플라스미노겐활성제(TPA : 혈액응고를 분해하는데 없어서는 ... ...
PC수출의 기수 박성규박사, 올해의 인물로 선정
과학동아
l
198701
PC수출의 새장을 개척한 대우통신의 박성규박사를 '86 올해의 인물'로 선정하였다. 컴퓨터
전문
지 기자들로 구성된 한국컴퓨터기자클럽은 국내 정보산업에 크게 공헌한 인물을 매년 학계 업계 관계에서 선정 발표하고 있다.이번에 수상한 박성규박사는 황무지였던 국산 PC수출에 첫발을 내딛어 ... ...
난대림에서 고산식물까지 식물생태계의 특징과 의문점
과학동아
l
198701
지대에는 철쭉은 아예 없고, 대부분이 진달래이며 산철쭉이 드물게 자라고 있다는 것이
전문
가들의 지적이다.제주도(한라산)의 초원군락을 대표하는 것이 억새군락이다. 한라산의 중산간지대인 산굼부리 분화구 주위를 보면 억새군락이 장관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것을 많은 사람들이 ... ...
PART2 비약적인 기술혁신의 비결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01
정상에 있는 하나의 완성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거대한 산의 몸체에 해당하는 조립과
전문
적 특수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세계 최고수준의 제품을 낸다는 것은 그에 상응하는 훌륭한 주변기술이 있다는 뜻이다. 예컨대 초고밀도 집적회로를 만들기 위해서는 실리콘 원판을 비롯해 진공장치, ... ...
한국에 전기들어온지 100년
과학동아
l
198701
올해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전등이 켜진지 1백주년이 되는 해.한국전력공사는 전기백년을 기념하면서 전기와 에너지에 대한 인식을 높히기 ... 건립할 예정이다.이밖에 세계 60여개국의 3백 50여명의 에너지관계
전문
가가 참석 하는 세계 에너지회의도 개최할 것이라고 한전측은 밝혔다 ... ...
PART1 하이테크에서의 일본의 기술력 세계제일은 시간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8701
진단한다.그러나 한가지 이점은 있다. 정부가 주도하여 민간업체협력기구를 탄생시키고
전문
성없이 난립한 기업들을 조정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미국이 지레짐작으로 일본을 경계하는 바이오테크놀로지분야에서 또한번 일본의 소용돌이가 휘몰아칠 가능성도 전혀 ... ...
한국항공대학
과학동아
l
198701
항공기계 공학과. 항공공학의 이론과 실험을 토대로 항공기 설계·제작 분야에 필요한
전문
지식을 배우게 된다.이외에 항공통신정보공학과라든가 항공전자공학과 항공경영학과 등도 항공공학에 관련된 분야뿐 아니라 해당학과의 일반 공과대 과정도 함께 이수하게끔 돼있다. 말하자면 공과대학 ... ...
이전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