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뜻 깊은 선물을 주고 싶다며 필자에게 연락했다. 당시 몽타주 시스템을 완성해가던 중이어서 정신없이 바빴지만 이 기술이 좋은 일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에서 흔쾌히 지원하기로 했다. 대한적십자사가 이산가족을 대상으로 사진을 모으고, 사진의 해상도 등을 고려해 선별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앞으로는 공개된 인공지능 기능을 활용해 더 좋은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능력이 중요해질 것이다. 알파고 기술을 활용한 실질적인 제품이나 서비스는 구글 딥마인드 팀조차도 아직 완성하지 못했다. 알파고 제로의 강화학습 방법은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하기 어려운 분야에서 특히 유용할 것이다. ... ...
-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포함됐기 때문이다. 이런 비정상적인 연구 문화는 논문 수와 같은 정량적인 평가에 치중하는 R&D 시스템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이 많다. 최근 국내에서는 연구 내용을 더 깊숙이 들여다보고 독창성과 우수성 등 연구의 질적인 측면을 평가하려는 R&D 평가 시스템이 시도되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지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좋아하는 마음을 확인한다는 설정이다. 박 이사장은 “대중이 과학기술에 관심을 가지는 사회 분위기가 형성돼야 상상력과 창의력도 발휘될 여지가 크다”며 “이런 기반을 조성하는 게 재단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생체신호, 즉 심박수가 빨라지거나 호흡량이 많아지고 시선이 고정되며, 피부 온도, 혈중 호르몬 농도가 달라지는 것을 측정만 하면 됩니다. 손목에 찬 장치로 혈류량을 측정해 실시간 심박수를 측정하는 기술은 이미 상용화돼 있습니다. 또 신축성 있는 센서를 장착한 다양한 스마트 셔츠로 입은 ... ...
- [Issue] 심장마비에 기침이 효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손톱 밑을 바늘로 찌르면서 시간을 낭비해선 안 됩니다. 협심증도 대표적인 전조 증상 중 하나입니다. 협심증도 여러 가지여서 강하게 스트레스 받을 때만 통증이 나타나는 안정형 협심증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통증이 사라졌다고 안심할 게 아니라 곧바로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겨울철, 비만, ... ...
- [Culture]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간의 마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자기를 돌아봐야 한다. 마치 한 편의 영화를 보듯이 자기가 살아온 삶을 돌아보고, 그 중 ‘가짜’인 마음의 ‘사진’을 버려야 한다. 이렇게 명상을 통해 쓸모없는 가짜 메모리를 버려야만 비로소 ‘완성’될 수 있다. 나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며, 결국 함께 협력하고 융합할 수 ... ...
- [Career] 원자로 안전 책임질 설계 프로그램 ‘맥카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몬테카를로 기법을 적용해 107~108개의 중성자를 임의로 추출한 뒤, k값과 시간에 따른 중성자의 상태를 확률적으로 계산해냈다. 그리고 이를 C++언어로 구현해 ‘맥카드(McCARD)’라는 입자해석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이렇게 하면 4개월이 걸리던 계산 시간을 1초로 대폭 줄일 수 있다. 맥카드는 2016년 ...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영국에서 함께 연구한 동료들의 국적은 폴란드, 체코, 스페인, 프랑스, 네덜란드, 미국, 중국이었어요. 노트북과 펜이 있으면 어디서든 연구할 수 있다는 것도 좋아요. 좋은 아이디어는 언제 잘 떠오르나요?사람들과 같이 이야기할때 좋은 아이디어가 잘 떠올라요. 동료와 커피를 마시면서, 혹은 ... ...
- 반려견 표정의 시그널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교수도 옥시토신 호르몬을 이용한 실험으로 반려견과 사람의 의사소통에 눈 마주침이 중요하다는 실험 결과를 발표했지요. 뇌의 시상하부에서 생성되는 옥시토신은 호감 가는 상대를 보았을 때 뇌하수체를 거쳐 혈액으로 분비되는 호르몬입니다. 주인이 반려견과 눈을 마주치며 시간을 보낼 때 ... ...
이전5115125135145155165175185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