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기
실례
견본
예제
사례
예시
용례
d라이브러리
"
예
"(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2007 대선은 과학전쟁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과학기술부조직으로 설립했다. 연구개발
예
산을 관리하는 권한도 기획
예
산처에서 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과학기술부총리에게 이양됐다.동시에 우리나라 과학기술 투자규모는 GDP(국내총생산)대비 3%로 늘었다. 과학기술공약이 대통령 당선에 큰 영향을 미쳤는지는 모르겠지만 당시 그 정책은 매우 ... ...
3. 줄기세포로 사람 살리는 맞춤형 쥐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완벽하게 변형한 쥐를 만들 수 있다.지금까지 태어난 유전자 적중 쥐는 약 1000종류다. 한
예
로 1994년 미국 록펠러대 제프리 프라이드만 교수는 렙틴이라는 유전자를 없앤 유전자 적중 쥐를 생산했다.렙틴은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단백질인데, 렙틴이 없으면 항상 배고픔을 느낀다. 렙틴이 없는 쥐는 ... ...
주사기여 안녕~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맞지 않아도 된다. 미국의 다국적제약사인 존슨앤드존슨의 ‘듀로스’가 대표적인
예
다.듀로스는 약 4cm의 길이의 길쭉하게 생긴 관으로 한 쪽 끝을 반투막으로 막아 놓고 다른 한 쪽에는 아주 작은 구멍을 만들어 놓은 장치다. 약물을 전달하는 데는 삼투압의 원리를 이용한다. 관 중간에 피스톤을 ... ...
한국인의 돌연사를 막아라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조기진단지표는 건강해 보이는 사람이 발병할 확률이 몇%인지
예
측하는 참조표준이다.
예
를 들어 내중막 두께가 매년 0.03mm씩 증가하면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확률도 매년 3.1배씩 증가한다는 식이다. 심뇌혈관 질환 발생 가능성 알려준다정확한 지표를 만들려면 측정장비와 측정부위, 측정 ... ...
뼈를 얻은 벅스버니, 도널드 덕, 톰과 제리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피부가 까질 수 있다.이형구 작가는 작업실에서도 하얀 가운을 입고 작품을 만든다.
예
술과 과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일까. 그는 해박한 해부학 지식을 바탕으로 만화 주인공에 과학의 옷을 입혀 뼈대를 만들어줬다. 상상 속에만 존재하던 만화 주인공들이 독자적인 생명체로 ... ...
PART1 한국 줄기세포 논문의 피와 땀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의뢰할
예
정입니다.”아직까지 인간 배아줄기세포가 임상에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예
정대로 진행될 경우 세계 최초의 사례가 된다. 우여곡절 겪은 국제 공동연구 “브록스마이어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시작했을 때는 영광스러웠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우여곡절을 겪을 줄이야… ... ...
PART3 줄기세포, 그 분화의 비밀을 찾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분화시키는데 성공한다 할지라도, 임상에 적용하려면 많은 난제를 극복해야한다.
예
를 들어 잔존해 있는 미분화 배아줄기세포가 함께 이식될 경우 테라토마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분화유도 뒤 원하는 세포만을 순수하게 분리해내는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또 분화된 세포가 생체 ... ...
2세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애인도 만날 수 있다.SK텔레콤은 지난 9월 베타서비스를 거친 SNS ‘토씨’(tossi)를 오픈할
예
정이고 다음커뮤니케이션은 e메일에 기반한 SNS를 개발하고 있다. 야후는 지난 9월 차세대 SNS인 ‘매쉬’를 선보이며 국내 진출을 엿보고 있다.LG경제연구원 장재현 선임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SNS를 이용한 ... ...
PART1 투표는 이성보다 감정이 우세?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발언이 등장하고, 마지막으로 그를 변명하는 내용인 “사회보장
예
산이 언제쯤 고갈될지
예
측한 결과가 1996년과 2004년 사이에 크게 달라졌다”는 경제학자의 말이 실렸다.참가자 대부분은 자신이 지지하는 후보의 모순된 진술을 무시하려고 애썼다. 이때 그들의 뇌에서도 놀라운 현상이 벌어졌다. ... ...
PART2. 현실이 되는 가상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안경을 쓰지 않고도 생생한 입체 화면을 볼 수 있는 무안경식이 개발되었지. 대표적인
예
를 살펴볼까?지금 우리가 보는 텔레비전은 영상이 텔레비전 모니터 안에 맺혀. 그래서 입체감을 느끼는 데는 한계가 있지. 만약, 텔레비전의 영상이 모니터 밖으로 튀어 나와 맺힌다면? 거대한 공룡이 밖으로 ... ...
이전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