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002년에는 미국에서 복제고양이가, 프랑스에서는 복제토끼가 만들어졌다.우리나라에서는
서울
대 수의학과 황우석 교수팀이 1999년 복제젖소 영롱이와 복제한우 진이를 연달아 탄생시켰다. 2001년에는 생명공학 벤처 마크로젠이 미국에서 복제쥐를 탄생시켰고, 2002년에는 경상대 축산과학부 김진회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7월 14일 경상대 농대 김지회 교수팀이 처음으로 복제돼지를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이어
서울
대 황우석 교수가 같은해 8월 해파리의 형광 유전자를 삽입한 돼지를 복제해냈다. 같은달 경상대 김진회 교수팀은 인간 조혈촉진인자인 '에리스로포이에틴' (EPO) 유전자를 주입한 복제돼지 6마리를 ... ...
펭귄과 친구 된 남극월동대장 장순근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못했다.장순근 박사가 걸어온 길1946년 함남 안변 출생1969년
서울
대 지질학과 졸업1975년
서울
대 지질학과 석사1980년 프랑스 보르도1대학 지질학 박사1984년-1985년 미국 캘리포니아대 연수1980년-현재 한국해양연구원 근무(현재 책임연구원)1988년-1989년 남극 세종기지 1차 월동대장1990년-1992년 남극 ... ...
발효과학의 결정체 김치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유산균(루코노스톡 김치아이)의 게놈지도 초안이 최근 완성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서울
대 미생물연구소는 마이크로비아와 공동으로 루코노스톡 김치 아이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99% 이상 판독했다고 밝혔다. 향후 전체 염기서열을 순서대로 정확하게 배열하는 보완작업을 거쳐 김치게놈지도가 ... ...
다시 외쳐지는 집합 구호, 슈퍼컴퓨팅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프로젝트로 성장해, 세계 각처의 방구석에 슈퍼컴퓨팅 열기를 불어넣어 왔다.● ● 최근
서울
대와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삼성전자가 산학협동 연구과제로 개발한 슈퍼컴퓨터 ‘페가수스’도 이러한 ‘누구나’ 슈퍼컴퓨팅의 연장선상에 있다. 지난해에도 고등과학원에서 76개의 AMD 애슬론 ... ...
로켓에 꿈을 실은 과학계의 김남일 채연석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우량도서로 뽑혔다. 최근에는 소년 시절 이 책을 읽고 과학자가 되기로 결심했다는
서울
시립대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의 안도열 교수를 만나기도 했다. “저도 잘 모르는 사람이 제 책을 보고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받았다니, 놀랍기도 하고 나름대로 보람도 느꼈답니다”라며 채 박사는 ... ...
겸손한 과학이 만든 인간과 자연 공동체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맑은 시냇물이 흐르고 산새들이 지저귀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지역이 대접받고 있다.
서울
시장 선거에서 청계천 복원이 제1공약이 된 것도 이런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다.그러나 자연의 희생 위에 이룩된 현대문명에 익숙해진 사람들이 자연과 함께 살아갈 수 있는 공동체를 만들 수 있을까. 또 ... ...
파킨슨병 정복하는 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들어가 어떤 부작용을 일으킬지 모르기 때문이다”라고 말한다. 현재 뇌질환연구센터는
서울
대 의대와 공동으로 말기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하기 위해 노력중이다.배아 줄기세포 이용한 연구도 성공한편 마리아병원 생명공학연구소의 박세필 박사는 파킨슨병 치료법을 또다른 ... ...
2. 대선 공약 주요 항목으로 떠오른 과학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기피 현상이 9개 주제 중 하나로 ‘당당히’ 끼인 것이다. 이날 패널리스트로 나온
서울
대 행정대학원의 김동욱 교수는 “대선의 정책토론회 주제로 이공계 기피 현상이 등장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며 “그만큼 대통령 선거에서 과학기술정책이 차지하는 비중이 과거 어느 때보다 높아졌다고 ... ...
2. 복잡한 생명현상 파헤친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이 중 게놈서열 자동 주석시스템은 일본 국립동경농공대에 수출하는데 성공하기도 했다.
서울
대 생명과학부 생물정보학 협동과정 천종식 교수는 대학원과정에서 우수한 인력 양성에 힘쓰고 있다. 대학시절부터 컴퓨터계산생물학에 빠져들었던 그가 요즘 주로 하는 연구는 생명체의 진화를 밝히는 ... ...
이전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