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뿔
모
모서리
귀퉁이
각도
호른
각성
d라이브러리
"
각
"(으)로 총 6,296건 검색되었습니다.
축구공의 무늬는 모두 몇 개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합해 모두 7개의 작은 삼
각
형이 있는 셈이다. 즉 빗금친 내부의 작은 삼
각
형은 원래 삼
각
형의 1/7이다. (5) ② (오른손잡이의 관점에서). 이 세상이 대칭인가 아닌가 하는 문제는 당장 우리의 얼굴이 대칭인가 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서, 공학적으로 대칭이면 문제풀기가 훨씬 쉬워진다는 것 뿐만 ... ...
6 바다 속에서 대체식량 캔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아주 작은 크기의 해양생물들은 그 용도가 무궁무진한 자원임에도 불구하고 임자가 따로 없다.인간은 이미 오래 전부터 물고기를 비롯해 바닷말 등과 같은 다양한 해양산물을 이용해 왔으나 ... 해양생물공학기술 개발과 내실있는 해양이용에 관한 연구를 시작할 때가 아닌가 생
각
한다 ... ...
새 생명의 요람, 겨울눈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탄생을 준비겨울나무를 자세히 살펴보면 수형(樹型)과 겨울눈의 특색이 나무에 따라
각각
다르기 때문에 자주 본 사람은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잎이 다 떨어진 나무를 잘 관찰해 보면 군데군데 돌기같이 불쑥 불쑥 나와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식물의 눈(芽)이라고 한다.겉으로 보기에는 ... ...
플라스틱 재활용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폴리프로필렌을 재생하는 기술을 개발하기도 했다.그러나 재생된 플라스틱 제품 속에는
각
종 불순물이 함유될 수 있으므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는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제품에만은 재생품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재생 플라스틱은 원재료를 사용한 것 보다 아무래도 물성이 약간 ... ...
3 작물개량과 육종의 첨병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도입해 소득을 증대시키고 국제경쟁력을 높여 나가야 한다. 농촌진흥청을 비롯해
각
대학 부설 유전공학연구소 종묘회사 등 일부 연구기관에서는 무공해 농법을 위한 새로운 소득작목과 병충저항성 품종개발을 목표로 유전공학연구를 착수해놓고 있다. 현재는 조직배양 기술을 이용한 무병종묘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반응과 효소공학을 알기 위해서는 화학과 생물공학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각
과학분야가 독자적인 영역에만 머물러 있었다. 다른 과학분야와의 미미한 교류로 인해 본격적으로 효소산업을 구축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둘째로 알려진 효소의 수가 얼마 안된다. 모든 생물의 세포내에서는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있다는 반영이다.염색체 21에 대한 유전정보 탐구가 여기서 끝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각
도에서 보면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보다 높은 해상도를 가진 지도를 작성하고 유전지도 내에 구획된 DNA의 유전문자(염기)의 순서를 결정한 뒤 이를 전산화해야 한다. 이어서 새로운 ... ...
실크로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실크로드는 한없이 먼 길이다. 이 길은 대부분 사막과 초원, 험준한 산맥과 고원, 깊은 계곡을 거쳐야 한다. 또 중간에 유목민들의 기습 때문에 생명을 내걸 ... 사막에서 폐허화된 오아시스 도시를 발견할 수 있는 것도 장세월에 걸친 기후변동과 연관해 생
각
할 수 있는 연구과제에 속한다 ... ...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믿고 있다. 왜냐하면 인류역사를 돌이켜볼 때, 그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생
각
들이 한계를 돌파해 왔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아직 반도체기술의 미개척 영역은 많이 남아 있다. 특히 광소자 양자소자 분자소자 마이크로머시닝 등은 반도체산업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분야들이다. ... ...
별은 죽어 무엇을 남기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스케이터가 팔다리를 안으로 웅크릴수록 더 빨리 돈다는 점에 유의하면 이해할 수 있다(
각
운동량 보존의 법칙). 중성자별들은 보통 1초에 1회 이상 회전한다. 이렇게 빠른 회전에 의한 엄청난 원심력은 보통의 별이라면 산산히 깨뜨릴 수 있지만 중성자별에게는 별 영향을 주지 못한다. 왜냐하면 ... ...
이전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