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조
대비
견줌
비유
비김
비교분석
분석
d라이브러리
"
비교
"(으)로 총 6,845건 검색되었습니다.
2. 특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frac{운동물체의 속도}{빛의 속도})}^{2}}}$■빛의 속도 ≒ 30만km/초특수상대성이론 중에서
비교
적 잘 알려지지 않은 예언이다. 특수상대성이론에다 동역학적인 운동법칙을 적용하면 관측자의 속도에 따라 질량이 증가한다. 이 질량 증가 현상은 물체의 속도가 빛의 속도에 가까워질수록 그 효과가 더 ... ...
한글3.0b VS MS워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아래아한글로 안착시키는데 성공했으니 말이다. 주
비교
대상으로 거론되는 워드와
비교
한다면, ‘워드는 분명 좋은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아래아한글은 내게 알맞은 프로그램이다“라고 요약할 수 있다.지난해 10월말 발표된 3.0b는 사용자들에게 안겨줬던 초기 버전의 버그, 느린 속도에 대한 ... ...
1. 사고실험으로 이어진 16세 소년의 꿈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20여년 동안 고민한 결과가 드디어 완성된 것이다.일반상대성이론은 특수상대성이론과
비교
할 수 없는 여러가지 충격적인 예언들을 했다. 태양 곁을 지나는 별빛이 휜다는 사실은 영국의 천문학자 에딩턴이 개기일식을 관측함으로써 증명됐다. 이 밖에도 블랙홀, 중력파 등의 존재를 예언했다 ... ...
적외선에 미지 우주비밀 숨어있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방출한다. 성간물질과 암흑성운, 특히 목성보다 크고 태양보다 작은 갈색왜성은
비교
적 긴 파장의 적외선을 방출한다. ISO의 목적은 관측하기 힘든 적외선을 관측하는 것. 그러나 미약한 적외선을 관측하려면 ISO 자체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이 거의 없어야 한다.그 때문에 전체 길이 5.4m인 ISO 내부에는 ... ...
시속 2백km를 나는 셔틀콕의 비밀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라켓은 선수 개인의 선택이 가능한 영역이다. 길이 외에는 라켓에 대한 국제 규정에
비교
적 여유가 있어 다양한 재질과 무게를 가진 제품이 나와 있다.라켓의 핵심 부분인 줄은 탄력성이 좋을 뿐 아니라 힘의 균형에 의해 셔틀콕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재료를 주로 사용한다. 양의 창자를 꼬아 ... ...
3. 지능측정의 허와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접어들면서는 자기연령대의 사람과
비교
해서 지능이 떨어지 않지만, 젊은 시절과
비교
해서 도형을 인식하거나 기계를 움직이는 동작성 능력은 떨어진다. 반면에 상식같은 언어성 능력은 오히려 증가한다.연세대 심리학과의 윤진 교수는 "지적 능력, 즉 언어 수리능력에만 제한되던 지능의 개념이 ... ...
태양 파수꾼, 소호위성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지구환경과 생태계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 과거의 태양 활동 극대기와 극소기를
비교
하면 태양의 밝기가 0.1% 변화했는데 지구의 기온은 0.5℃가 상승했다. 또 16세기의 간빙기와 태양의 흑점활동이 저조했던 시기가 일치하는 것은 우연이라고 보기 힘들다. 그런 만큼 태양활동의 주기와 농작은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희미해져 간다. 하지만 해외에서 공부할 기회가 있다면 KAIST와 해외의 유명대학을 직접
비교
해 보고 싶다. 내가 보아온 것과 보지 못한 것 사이의 평가는 역시 한쪽으로 기울 수 있기 때문이다.얼마전 TV에서 연구원들이 등장하는 CF를 보았다. 그들이 등장할 때마다 화면엔 해외 유명 대학의 이름이 ... ...
1. 컴퓨터에서 맥 못추는 '과학 한글' 왜 그럴까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것이다. 그리하여 1만1천1백72자의 현대 한글을 완벽히 나타낼 수는 없지만 2천3백50자로 ‘
비교
적’ 자주 쓰이는 한글을 한정하고 나머지는 한자와 특수문자에 할당한 것이 ‘KSC5601-1987’이다.그러나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이 확산되고 컴퓨터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면서 한글을 완벽하게 표현할 수 ... ...
1. 남극의 자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백색의 남극은 더이상 미지의 땅이 아니다. 1820년 인류앞에 첫모습을 드러낸 남극은 그 이후 모험적인 탐험가들과 호기심어린 과학자들로부터 끊임 ... 백m정도. 빙상은 빙붕이 깨져서 생긴 것을 말한다. 빙해는 바다가 언 것으로 두께가 1-2m로
비교
적 얇다. 사진은 빙하가 흘러내리는 모습 ... ...
이전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