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만 막는 백신 개발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생성된 쥐는 식사량에는 변화가 없었지만 1일 체중 증가는 백신을 맞지 않은 쥐에 비해 3
분
의 1 이하로 감소했다. 또 지방의 축적도 적었다.이는 식욕을 촉진하거나 지방을 축적시키는 기능이 저하돼 몸 안에서 에너지 소비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 ...
STAR TREK 2266년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우주선으로‘뿅’하고 순식간에 이동하며 7만광년 떨어진 은하 저편으로‘슝’하고 몇
분
만에 날아간다. 23세기를 그린 SF TV시리즈‘스타트렉’이 9월로 방송 40주년을 맞았다. 한국 기초과학의 메카 고등과학원의 도움을 받아 2266년으로 시간여행을 떠나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STAR TREK 22 ... ...
항공 스포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예비낙하산이 펴지도록 한 안전장치. 주낙하산과 예비낙하산이 모두 안 펴질 확률은 15만
분
의 1이다. 패러글라이딩낙하산(parachute)과 행글라이딩(hang gliding)의 합성어. 달리거나 제자리에서 이륙해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낙하산을 이용해 활공한다.산 정상이나 능선에서 약 10m 정도 도움닫기 후 ... ...
태권V 몸 속엔 뭘 담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사람들이 거부감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크기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부
분
은 로봇의 손이다. 컵이나 냉장고 손잡이를 잡기 위해 수많은 모의실험을 통해 7개 관절로 된 3개의 손가락을 가진 손으로 설계했다. 물건을 제대로 잡기 위해서 손끝의 촉감을 느낄 수 있는 인공 피부를 ... ...
히파르쿠스와 브래들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바로 광행차(光行差) 현상이다.브래들리는 1729년 이 사실을 핼리에게 보고했고 이 발견 덕
분
에 브래들리는 최고의 천문학자 위치에 올랐다. 1742년 핼리가 죽자 브래들리는 최고의 영예인 그리니치 천문대장에 임명됐다. 19년 주기로 자전축 흔들림브래들리는 광행차 발견 이후로도 계속 별의 위치를 ... ...
바다에 이산화탄소 저장하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조사해 환자의 치료에 이용한다염색체 위에 일정한 순서로 배열돼있는 유전자가 감수
분
열 때 교차를 일으키는 빈도 이를 알면 염색체 위의 특정유전자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다손가락을 움직여 손가락 끝 지문이 있는 부위끼리 맞닿게 하는 동작 엄지는 다른 네 손가락과 각각 마주보기가 ... ...
1. 세계로 가는 철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곧 국가산업 전체의 발전이나 다름없다.철도의 가치가 새롭게 인식되면서 철도 재도약의
분
위기도 조성되고 있다. 이른바 ‘철도 르네상스’가 다시 찾아온다는 전망이다. 그 일등공신은 속도기술의 혁신이다.속도가 세상을 지배하는 시대에 고속철도는 이미 필수불가결한 존재다. 2004년 4월 개통한 ... ...
마음은 중형차, 지갑은 소형차 소비자의 선택은?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보였다. 경제적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IMF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분
석 결과에 따르면 소형차는 아직 자동차를 구입하지 않은 젊은층을 중심으로, 중형차는 현재 소형차를 보유한지 오래된 고객을 중심으로 홍보활동을 전개해 나가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물론 회사 내부의 ... ...
'아이드리 시러이'의 신데렐라 방해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시간 30
분
이 빨리 간 것이다. 지금 시계가 10시 45
분
을 가리키고 있으므로 원래 시간은 4시15
분
이다. 12시까지는 7시간 45
분
남았다.세 번째 문제의 정답관찰력이 필요한 문제. 그림을 잘 보고 유리구두를 찾아보도록 하자.네 번째 문제의 정답주사위를 생각하면 쉽다. 모양을 이리저리 돌려서 생각하면 .. ...
간질 간질 알레르기, 비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면역세포. 외부에서 침입한 항원과 싸운다.비만세포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화학물질을
분
비한다. 누가 알레르기에 걸리나?알레르기 물질이 몸에 들어온다고 해서 누구나 알레르기가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특정한 항원에 민감한 사람만 걸리는 것이죠.알레르기는 유전됩니다. 알레르기 항체(IgE 항체 ... ...
이전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