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교과연계수업] 꽉 막힌 도로, 수학으로 해결한다!
수학동아
l
2012년 09호
있다. 이것을 ‘브래스의 역설’이라고 한다. 독일의 수학자 디트리히 브래스가 1968년
발표
한 ‘교통계획의 역설’이라는 논문에서 이 내용을 다뤄 그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그렇다면 브래스의 역설대로 교통체증을 더 유발하는 불필요한 도로가 있을까? KAIST 물리학과 정하웅 교수는 미국 ... ...
태양은 가장 완벽한 원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태양계에서 가장 둥근 천체가 무엇일까? 정답은 태양이다.미국과 브라질 공동연구팀은 최근 태양동역학관측위성의 태양내부구조자기영상장치로 태양을 관측한 결과 태양 ... 거치면서도 모양이 변하지 않는다”라고 밝혔다.이 연구는 지난 8월 16일 ‘사이언스 익스프레스’에
발표
됐다 ... ...
밀림을 잃은 동물 왕국 -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그들의 생활모습 때문이다.마다가스카르에 사람이 처음 온 것은 불과 2000년 전. 올해
발표
된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에 따르면 그들은 인도네시아에서 왔고, 당시 약 30명의 가임여성이 있었다고 한다. 마다가스카르 사람들은 쌀농사를 지으며 인도네시아 사람들이 사용하는 배를 이용해 물고기를 ... ...
과학적인 지도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이에 대한 반발로 1967년 독일의 역사학자 아르노 페터스는 19세기 중반 제임스 골이
발표
했던 도법을 빌어 오늘날 골-페터스 도법이라고 불리는 방식을 만들었다. 골-페터스 지도는 각 나라의 실제 넓이를 반영했다. 페터스는 이 방법이 메르카토르 도법을 대체할 수 있다고 주장해 논란을 ... ...
소년, 위기에 처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연애 못지않게 만족스럽고 안정적이었습니다.2007년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연구팀이
발표
한 논문은 심지어 장거리 연애가 근거리 연애보다 더 안정적이라는 결과를 담고 있기도 했습니다. 연구팀은 그 이유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상대나 둘 사이의 관계를 더욱 이상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 ...
적정기술, 36.5℃의 기술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검색해 적정기술 제품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조사하라. 조사한 것을 모둠별로 모아서
발표
해도 좋다. 파워키워드나눔과 기술(http://www.stiweb.org) 검색.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http://www.dongascience.com/)에서 ‘적정기술’을 검색.책 ‘소외된 90%를 위한 디자인’을 참조.예시답안A1 ① 비교적 단순한 ... ...
[변신] 일곱 손가락과 여덟 발가락 문제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생각해볼 필요가 있어. 유명한 고생물학자인 스티븐 제이 굴드 역시 ‘자연학’ 지에
발표
한 에세이에서 이 문제를 제기한 적이 있지.”수의사는 그림 하나를 보여 줬다. 어떤 동물의 다리 뼈를 그린 그림이었다. 처음 봤을 때는 크게 의식하지 않았는데, 뭔가 예사롭지 않다는 느낌을 받았다. 마치 ... ...
다이아몬드 만큼 단단한 탄소구조체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성질의 탄소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그 결과를 사이언스 8월 17일자에
발표
했다. 풀러렌이란 축구공과 모양이 똑같아 흔히 ‘탄소 축구공’이라 부르는 지름 1nm(나노미터)의 구형 탄소구조체다.연구팀이 발견한 새로운 구조체는 풀러렌을 고압으로 찌그러트린 형태다. 전체적으로 ... ...
초기 인류, 혼자가 아니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호모 속 턱뼈 화석 세 구를 연구해 이같은 사실을 밝히고 그 결과를 8월 9일 ‘네이처’에
발표
했다.미브 리키 교수는 1972년 아프리카 케냐 북부 쿠비 포라 화석지에서 ‘KNM-ER 1470’이라고 이름 붙인 화석을 하나 발굴했다. 두뇌 크기가700cc 대로 당시 존재하던 다른 친척 인류에 비해 컸다. 비슷한 ... ...
세상에서 가장 정확한 1초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토륨이온(Th+)을 이용하면 광시계의 한계보다 10배 더 정확한 시계를 만들 수 있다고
발표
했다. 이 시계를 이온 핵시계(ion nuclear clock)라고 한다. 이 시계가 구현된다면 3조 년 동안 1초가 어긋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온 핵시계는 이론적으로만 제시됐을 뿐 실제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아직 난관이 많다. ... ...
이전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