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퀴리부부, 라듐의 존재를 입증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7월과 12월, 두 사람은 공동명의로 ‘콩트 랑뒤’라는 학술지에 섬우라늄광에서 분리한
물질
속에 마리의 모국 폴란드의 이름을 딴 ‘폴로늄’과 광선(ray)에 해당하는 라틴어를 따서 이름붙인 ‘라듐’이라는 새로운 방사능 원소가 존재할 것이라고 발표했다.그날 이후 두사람은 순수한 폴로늄과 ... ...
수천종 미생물 게놈 한꺼번에 분석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인간게놈프로젝트에서 개발된 DNA 염기서열 분석 방법을 이용해 수천종의 미생물 게놈을 한꺼번에 분석해내는데 성공했다.생물에너지대안연 ... 만드는지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렇게 밝혀진 사실들은 폐광과 같이 유독성
물질
로 오염된 환경을 복원하는데 이용될 전망이다 ... ...
두개의 혜성, 봄하늘을 가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상세히 볼 수 있다. 코마 내부에는 빛나는 별같이 보이는 밝은 점이 보이며 여기서
물질
들이 솟아오르는 제트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런 현상은 큰 혜성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광경이므로 주의 깊게 관측해 볼 필요가 있다 ... ...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결정적인 증거로 찾고 있다. 에클로자이트는 대륙충돌로 인해 깊이 들어간 지각
물질
이 지하 약 50km 이상 깊이의 높은 압력에서 만들어진다.암석학적으로 한반도 충돌설이 제기된 것은 1995년 고압변성광물조합이 임진강습곡대에서 발견되면서부터다. 북중국지괴와 남중국지괴의 충돌대 경계가 ... ...
꿈꾸고 성공한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심장에도 마찬가지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알아냈다. 이 실험은 신경신호 전달이 화학
물질
에 의한 것임을 발견한 것으로 1936년 뢰비에게 노벨 생리·의학상을 안겨줬다. 뢰비는 이 실험에 대한 힌트를 꿈에서 얻었다고 밝혔다. 그는 1921년 부활절 밤 꿈에서 뭔가를 보고 비몽사몽간에 종이에 적은 뒤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늘어서 자석의 성질을 나타낸다이웃한 전자들의 스핀이 번갈아 반대방향으로 배열된
물질
크롬이나 망간이 대표적인 예다이미지를 변화시키는 컴퓨터 애니메이션 기법으로 두 장 이상의 사진에서 각각의 특징을 일대일대응시켜 변환한다 사람을 동물로 변화시키거나 남자와 여자의 얼굴을 ... ...
4층 높이 전자현미경 대덕에 등장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항공우주소재처럼 극한 상황에서 견딜 수 있는 신
물질
을 개발하는데도 활용 가능하다.크지만 예민하다그러나 이 현미경은 덩치에 어울리지 않게 무척 예민하다. 장비가 설치된 건물을 비롯한 주변 환경이 분해능과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일본 ... ...
기타줄 불태우는 산소의 인해전술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가득찬 집기병 속에서는 불꽃을 내면서 잘 탄다.탄다는 것은 연소반응이다. 연소는 타는
물질
이 어떤 온도(발화점) 이상에서 산소와 반응해 빛과 열을 내는 현상이다. 연소와 같은 화학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반응물을 이루는 성분 알갱이들사이에서 충돌이 일어나야 한다. 즉 기타줄을 구성하는 ... ...
살아있는 물리학의 신화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입자들로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이 논쟁에 종지부를 찍었다. 쿼크는
물질
의 형태를 만드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로,
물질
-분자-원자-소립자-쿼크의 구도를 이룬다. 그는 이 발견으로 주기율표를 만든 멘델레예프에 비유돼 ‘20세기의 멘델레예프’라고 불렸으며, ‘소립자들의 분류와 ... ...
배움은 뇌 구조를 변화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현상이 일어나면 기존에 있던 시냅스에서 신경전달
물질
이 더 많이 분비되거나, 신경전달
물질
과 결합하는 수용체 수가 많아진다. 그러면 정보를 더 오래 기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랫동안 반복적인 학습을 하면 시냅스 수가 많아진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 시냅스가 많아지면 전체 뉴런의 부피가 ... ...
이전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