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북
각
hadj
haji
d라이브러리
"
하지
"(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학연구소 이제 총체적 연구가 필요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생쥐든 어떤 다른 종이든 동일하다. 우리가 이목을 끌기에 아주 좋은 영장류 연구를 선택
하지
않은 것은 그 화석의 분량이 너무 적기 때문이다. 그러나 설치류에 있어서는 화석이 풍부하게 존재한다."자연과학 대학 캠퍼스 안에 자리잡고 있는 연구소의 실험실에 들어가 보면 이상한 느낌을 갖게 될 ... ...
BASIC강좌⑥ 응용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시켜야 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 우로 밀착을 시킨다. BASIC의 출력은 아무 명령을
하지
않으면 무조건 정해진 자리에서 좌로 밀착(left-justified)을 한다. (그림17)의 경우를 보자. 30번 PRINT문에서 TAB(10)으로 10번째칼럼(행)부터 N값을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출력된 결과는 좌로 밀착되어 있다. 이를 ... ...
천문학의 최전선 전파천문학이란 어떤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있는 이 작업은 현재 지구에서 가까운 별 수천여개의 탐사를 마치고 있으나 아직 성공은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록 외계의 고등문명체의 수가 1백만개라 하더라도 은하계 안의 별의 수 1천억개와 비교할때 평균으로 쳐도 10만개의 별을 찾아야 하나를 발견할수 있다는 이야기가 되니 현재와 ... ...
고3병의 현장 첫 징후는 성적저하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잘것을 당부 했다. 또 S고의 양호교사는"한반에 적어도 2~5명은 고3병증세가 있읍니다.
하지
만 부모님들이 알리기를 꺼려 학교와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읍니다"라며 안타까와했다. 한편 고3병이라는 병명아닌 병명이 매스컴에 자주 등장함을 못마땅히 여기는 견해도 있다. 강남정신과 ... ...
PART7 복합재료 재료의 한계 넘는 앙상블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크게 바꾸어 놓고 있다. 금속이나 합금과같은 균질한 재료는 그만큼의 관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재료를 지정하는 것과 구성요소의 설계는 전통적으로 별개로 행해져왔다. 그러나 복합재료는 항공우주기술 등의 분야에서 전통적인 재료를 대체하기 시작하면서 구성요소의 설계와 재료의 ... ...
난대림에서 고산식물까지 식물생태계의 특징과 의문점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사실이다. 1천9백50m정도의 산이면 이같은 고산식물이 없는게 보통인 점에 비추어 예외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일본의 높은 산이나, 지리산 설악산 등에도 위에 언급한 고산식물이 대개의 경우 없다고 한다.사실상 기후대로 본다면 남쪽에 위치한 한라산 보다는 북쪽의 설악산이나 지리산에서 더욱 ... ...
미국의 서해안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나를 빙자해 뭐라고 했지. 언제 내가 캘리포니아를 문화적 변경이라고 말했어""그런말은
하지
않았어. 단지 당신이 밝은 캘리포니아의 태양아래서 기분이 나빠졌다고 말했을 뿐이야""바로 그게 쓸데 없는 참견이란거야. 그건 영화속에서의 연기지, 실제의 나와는 다른건데, 거짓말과 참말로 뒤범벅을 ... ...
PART2 비약적인 기술혁신의 비결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나왔고, 다른 한편에서는 "그런 것들은 굳이 일본이 할 필요가 없고 오히려 미국이 연구
하지
않는 틈을 비집고 집중공략해야 한다. "는 '틈바구니론'이 나왔다.그러나 그런 논의는 70년대의 고도성장의 단꿈속에서 잊혀져 오다가 최근 다시 자체기술개발론으로 등장한 것이다. 즉 이제까지는 마라톤의 ... ...
제임스D.왓슨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것이다. 왓슨은 오늘날 대성한 과학자중에서 같은 분야의 다른사람보다 더 노력
하지
않은 사람은 없다고 말하면서 과학자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두뇌도 필요하겠으나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남다른 노력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 ...
인체 내부를 들여다보는 내시경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싶어했던 의학자들의 꿈을 실현시켜 주었고 또 그로 인해 각종 난치병이 수술에 의
하지
않고도 치유가 가능하게 됐다. 또 그 활용영역도 갈수록 임상의 각과로 확대되는 추세여서 머지않아 내시경이 거의 모든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응용될 전망이다.그러나 아직도 안전도면에서 완벽하다고는 볼 ... ...
이전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