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
줄기
단체
대학
대학교
자루
카운터
d라이브러리
"
대
"(으)로 총 5,477건 검색되었습니다.
태평양의 열
대
꽃을 찾아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열
대
지방에서는 1년내내 꽃이 피는데, 해발3백m 이하에 특히 많다. 작열하는 태양, 감미로운 향기, 싱싱한 푸르름. 선명한 남국의 꽃들은 열
대
무드의 연출자이자 ... 인상적이다. 또 정열적으로 춤을 추는 여인들의 머리에 꽂힌 열
대
의 꽃들은 잊을 수 없는 강한 열
대
의 정취를 더해 준다 ... ...
미리 살아보는 21세기 초 109세까지 살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인간의 생명은 지구의 파멸이 없는한 확실히 연장된다. 또 뇌활동은 정지했어도 신체의 다른 기관은 활동하는 기이한 현상이 삶과 죽음의 경계를 모호히 할것이다. 한·일합 ... 포함되어 있다. 90년
대
말에는 '죽을 권리'단체가 크게 유행했으나, 21세기에는 '죽는 방법'단체로
대
체되었다 ... ...
동맥경화증에 시달리는 도시교통/하나의 치료법 궤도버스(오·반시스팀)의 도입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그러나 역사에 있어 영원한 불치병은 있을 수 없듯이 혁신적인 기술개발에 따른 첨단
대
중교통수단의 개발의 가능하다면 현재 우리가 불치병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도시교통문제도 언젠가 완치될 날이 있을 것이다 ... ...
사망률 통계에 할 말 있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의사 진단을 거치지 않은 사망신고 자체에 신뢰성이 약하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사망원인은 고혈압 동맥경화증 중풍 등 순환기계질환이 가 ... 어떤 의미에서는 의술 자체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도 있읍니다. 건강한 사람들을
대
상으로 하는 예방의학이라고 하면 쉽게 이해가 될 것입니다. ... ...
유도제어 우주비행의 핵심적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전자산업이 세계적 수준으로 발달한 우리나라에서는 우주과학기술중 어떤 분야보다도 유도제어기술의 전망은 매우 밝다. 인류가 우주공간에 쏘아올린 인공위성은 스스로 궤 ... 사고하면 우리나라도 현
대
과학의 총아인 항공우주공학의 선두에 나설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라고 기
대
한다 ... ...
석유는 곧 고갈 「태양-수소」시
대
가 온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심지어 모래먼지 하나 없는 지역이다. 하루종일 태양이 하늘에서 이글거리고 있다. 거
대
한 지역에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기에는 이상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는 지역이다. 여기에서 부터 독일에 수소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150×200km의 면적과 2~3개의 파이프라인이 필요할것이다. ...
일반인도 이용할 수 있는 종합정보망(WINS)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이야기. 특히 올림픽은 아시안게임과 달라 컴퓨터문화에 익숙한 유럽 미주 등의 국가가
대
다수 참가하기 때문에 WINS나 GIONS의 사용량이 엄청 많아질 가능성이 많다. -아무리 훌륭한 시스팀도 자료가 부실하면 무용지물이지 않겠읍니까. "물론이지요. 저희가 보도진들이나 체육관계자들에게 교육할 ... ...
가속기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높은 수준의 연구들이 될 것으로 기
대
된다. 특히 전자산업계에서는 미래의 고집적회로의
대
량생산은 X-선 석판화가 가장 유력한 방법이고 현재 연구가 초기단계이므로 이 방면의 연구의 조기착수와 과감한 투자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제반사항을 고려할 때 포항 방사광 가속기의 건설은 ... ...
과학기술계에도
대
전환 있어야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 따는 식의 과학기술정책을 지양, 민주적인 정책결정과정이 요청된다. 과학기술정책의 과학화가 시급 현원복 88년 ... 돼버리는 게 현재 우리 과학기술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실정입니다. 새해의, 새로운 시
대
는 과학계의 자기변혁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하겠읍니다 ... ...
「과학의 수도」였던 베를린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베를린이 과학의 메카가 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막스플랑크'가 가르치던 '훔볼트'
대
학이 재건되는등 현재의 부흥계획이 진전됨에 따라 베를린은 적어도 세계의 일류급 연구도시의 하나로 등장하기는 어렵지 않을 것 같다. 요즘 주목되는 연구기관으로는 '코흐연구소' '헤르츠연구소' ... ...
이전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5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