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통
총체
보편
전반
일반담보
담보
일반심리학
d라이브러리
"
일반
"(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중력은 작용하지만 중력의 효과가 아주 미미해 무게가 0에 가까워진 상태를 말한다.
일반
적으로 우리가 무중력이라 부르지만 무중량이라는 표현이 더 적당하다. 탄성이 크지 않은 가는 고무줄을 사용할 때는 길이를 컵의 높이보다 짧게 해줘야 한다 ... ...
1. 20년 후 한국인 체형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30cm 정도의 길이를 의미한다. 신체를 이용한 용어들이기 때문에 다른 단위보다 아무래도
일반
인에게 친숙하게 느껴진다.한국인의 경우 전통적으로 높이나 크기를 표현할 때 자신의 신체구조를 기준으로 삼는 경향이 강하다. 예를 들어 눈을 수평기준으로 잡고, 위쪽에 있으면 ‘높다’ 아래 있으면 ... ...
3. 유전공학으로 탄생할 21세기 신한국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발달했다는 점 정도의 특징이 발견된다. 물론 고고학자의 관점에서는 중요한 차이겠지만
일반
인에게는 별종으로 보일만한 특성이 눈에 띄지 않는다.스티븐 호킹의 예언하지만 4만년 후 미래의 한국인이 현재 우리의 외모를 알게 된다면 크게 놀랄지 모른다. 그들의 눈에는 현재의 한국인 대다수가 ... ...
에이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수영하고, 물을 같이 마시고, 물건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정도로 옮기지 않는다는 것은
일반
전염병과 다른 점. 또 눈물, 땀, 침 등의 분비물에도 에이즈 바이러스는 들어있지 않다. 그래서 재채기나 기침을 겁낼 필요는 없다. 모기나 다른 곤충에 의해 옮겨지지도 않는다.에이즈바이러스는 쉽게 ... ...
피타고라스의 음정 이론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현재는 건반 악기를 중심으로 해서 1옥타브를 반음씩 12등분한 평균율(equal temperament)이
일반
적으로 쓰이고 있다. 반음씩의 등분은 이에 대응하는 진동수의 비를 일정하게 정한다는 말과 같다.(식1)이에 따라 각 반음에 대응하는 진동수의 비를 ${}^{12}$$\sqrt{2}$≒1.0595 로 정해야 한다. (무리수가 이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멀리까지 전달된다. 음성이 굵고 낮을수록 소리의 파장은 길다. 그런데 남성의 목소리는
일반
적으로 여성에 비해 굵고 낮기 때문에 파장이 길다. 따라서 남성의 소리에너지는 여성에 비해 자궁 안에 더 많이 전달되는 것이다.물론 태아가 아버지의 말이 무슨 의미인지 깨달을 수는 없을 것이다. ... ...
스페이스 셔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운항 계획을 세우듯이 우주왕복선 수송계획을 세워 수입과 지출을 계산해보았다. 만약
일반
인공위성과 국방부(DOD)에서 따로 쏘아올리는 군사위성 발사사업을 통합한다면 충분히 수지가 맞았다. 결국 NASA는 ‘우주의 평화적 이용’이라는 기치를 포기하고 군(軍)과 노골적으로 결합하고 말았다 ... ...
초고속인터넷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있다. 월 이용료가 3만원대로 ISDN의 2만원대보다는 높지만, 속도대비 가격은 낮은 편으로
일반
이용자에게는 적당한 상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나로통신에서 내놓은 ‘나는 ADSL-라이트’와 한국통신의 ‘ADSL B&A’가 여기에 해당한다.서비스 안 되는 곳 많아그러나 ISDN과 마찬가지로 ADSL 또한 서비스 ... ...
교과서 실험 이의 있습니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때 관찰되는 아지랑이 현상으로 용해여부를 비교하도록 돼 있다.문제는 소금 속의 수분
일반
적으로 생각할 때 소금은 물에 잘 녹고 아세톤에는 녹지 않는다. 물과 아세톤이 들어있는 각각의 비커에 소금을 물에서는 녹고 아세톤에서는 녹지 않는다. 그러나 소금을 헝겊에 싸서 실험을 할 경우에는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지난 15년간 서울교육대학생(20세 전후, 매년 1백50명-3백명)과 각지의 초등학생, 그리고
일반
인의 얼굴을 70개 지역에서 측정한 결과를 살펴보자.먼저 머리 윗부분에서 커다란 특징이 드러났다. 원래 한국인의 머리 가운데 정수리 부분(두개부)은 끝이 뾰족한 ‘고구마형’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머리 ... ...
이전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