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테러리스트 검거, 데이터 분석이 책임진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CCTV 영상을 10TB 분량 가까이 모았다. 그리고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해 범인을 찾기
시작
했다. 그 결과 목격자 진술과 일치하는 행색의 남자가 사고 현장에 폭탄이 든 것으로 추정되는 가방을 놓고 가는 영상을 발견했다.데이터 마이닝이란 통계분석 중 하나로, 대규모 데이터에서 새로운 정보를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직선 상의 점들로 생각하는 것이 수와 공간 사이의 기본 관계이기 때문이다. 거기에서
시작
하면 n차원 공간을 실수 n개의 순서쌍 Rⁿ으로 간주하는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Rⁿ에 각종 연산 구조가 주어져 있음을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이때 덧셈은 다음과 같이 항상 단순하게 각 좌표를 따로 ... ...
[체험] 두근두근 생애 첫 코딩, 스크래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아이디어에 맞게 소프트웨어로 재탄생시키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어떤 것부터
시작
해야할지 모른다면, 삼성전자 ‘주니어 소프트웨어 아카데미’의 지도를 활용해 보자 ... ...
얼굴 대면 문이 딸깍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전신인 셈이다. 그는 “2000년대 후반부터는 생체인식 보안기술이 발전하기
시작
했다”며 “여러 기술 가운데 얼굴인식 방식이 사용도 간편하고 응용할 수 있는 범위도 넓어 유망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2012년에는 직장 동료들과 함께 파이브지티를 창업했다. 1주일에 3~4일씩 밤을 새워가며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세계적인 곤충박사 ‘징그러 몬만지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일단 한번 쫓아가 보자!”다른 잎 조각을 가지고 있던 잎꾼개미 한 마리가 도망치기
시작
했다. 몬만지네 박사와 썰렁홈즈는 개미를 쫓아 숲으로 들어갔다.“바…, 박사님 여기에 곤충이 있을 것 같은데요…. 왠지 좀 무서워….”미션3 다르게 소리 내는 곤충 음악가“이건 무슨 소리지요?”숲속으로 ... ...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심리학 박사학위를 받고 UCL로 자리를 옮겨 1960년대 말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
했다. 먼저 살아 있는 쥐의 해마에 전극을 삽입했다. 그리고는 쥐가 길을 탐색하고 움직일 때 해마의 뇌세포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측정했다. 쥐가 특정 위치에 도달하자 조용히 있던 해마 신경세포가 갑자기 ... ...
[과학뉴스] 폭발 위험까지 알려주는 똑똑한 배터리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통과할 수 있어 평소에는 전압을 잴 수 있는 전극 역할을 한다. 하지만 합선이 일어나기
시작
하면 양극 사이의 전압차가 갑자기 사라지면서, 그 사이에 있는 구리막의 전압 역시 0이 된다. 연구팀은 이 전압을 관찰해 합선이 일어나기 직전에 사용자에게 경고를 보내는 배터리를 만들 수 있다고 ... ...
[hot science] 포스트시즌의 세가지 미신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숫자와 기록을 바탕으로 최저 비용으로 최고 효율을 추구하는 야구 방식이다. 머니 볼을
시작
한 이후 오클랜드는 2000년부터 2003년까지 높은 승률을 기록하며 4년 연속 포스트시즌에 올랐다. 문제는 포스트시즌에만 올라가면 번번이 무너진다는 것이다. 오클랜드는 올해도 여지없이 포스트시즌 첫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회장은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2016년부터 사용후핵연료의 포화가
시작
되는 원전이 생길 예정”이라고 말했다. 원전끼리 사용후핵연료를 서로 나눠 저장하거나, 연료봉을 좀더 조밀하게 배치하는 대책을 통해 최대한 늦추면 그 기간을 2024년으로 늘릴 수 있다. 하지만 그래도 발등의 불인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게놈 연구 때 사용했던 전략을 활용해 유전자 순서대로 단백질을 분석하자는 움직임이
시작
됐다. 그 결과 2012년 9월 10일 염색체를 기준으로 삼은 ‘염색체 기반 인간프로테옴프로젝트(C-HPP)’가 공식 출범했다. 이 프로젝트는 10년 뒤인 2022년 9월 9일에 종료될 예정이다. 현재 상염색체 22개와 ... ...
이전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