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드라마 뿌리깊은나무 수학으로 다시보기!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마방진은 풀지 못한 것일까? 사실 세종은 33차보다 차수가 낮은 홀수차 마방진을 풀 때,
가능
한 경우의 수를 모두 대입하면서 풀었다. 3차 마방진의 해법은 단 하나지만, 5차 마방진의 해법은 275,305,224개다. 단계가 올라갈수록 어마어마해지는 해법 중 단 한 가지를 발견하면 성공으로 인정하고 다음 ... ...
서커스 최고 스타, 저글링에 도전하다!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어떤 방법으로 던졌는지 다 기억하지 못한다. 사실상 무작위 저글링을 하기란 불
가능
하다.그렇다고 여기서 포기할 수학자들이 아니다. 워링턴 교수와 미국 코넬대 수학과 알렌 넛슨 교수는 무작위 저글링 묘기를 보기 위해 무작위 저글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했다."화려한 묘기를 기대하며 ... ...
Part 3. 뉴로피드백으로 명상 쉽게 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전체 조직을 재정비하여 발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명상 역시 뇌의 가소성 때문에
가능
하고 효과가 나타난다. 뉴로피드백이 좀 더 쉽게 명상의 효과를 볼 수 있게 하는 방법인 이유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마음을 리모델링 하다Part 1. 명상의 뇌과학Part 2. 심리학자, 명상에 ... ...
눈 크게 뜨고 보세요!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작품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검은 드레스를 입고 긴 머리(수건이라는 주장도 있다)를 늘어뜨린 모나리자는 어둑어둑한 풍경을 뒤로 하고 두 손을 다소곳이 모았다. 원화처럼 깊은 눈매와 굳게 다문 듯 미소 ... 즐겁게 하고 있다. 더 놀라운 사실은 이 작품들이 살아 있는 물고기를 키우거나 연주가
가능
하다는 것이다 ... ...
목성 위성 ‘유로파’에 큰 지하 호수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더 존재할 것으로 보고 있다. 호수가 여러 개라는 것은 그만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가능
성이 높다는 의미다.그러나 이 호수는 얼음 아래 깊이 있어 지금처럼 영상을 분석하는 것만으로는 실제로 생명체가 사는지를 확인할 수는 없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11월 16일자에 발표됐다 ... ...
세계 최고 그린에너지섬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차갑고 겨울에는 바닷물이 따뜻한 특성을 이용하면 바닷물과 약간의 전기로 냉난방이
가능
하다. 찬물을 순환시키면 냉방, 뜨거운 물을 순환시키면 난방이 되기 때문이다.박 센터장은 “제주 지역은 국내 다른 지역에 비해 따뜻하다보니 오히려 냉난방 시스템이 발달하지 않아 불편하다”면서 ... ...
[knowledge] 한송이 생명을 피우기 위해 지구는 그렇게 뜨거웠나 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표면이 빙하로 덮여 있는 행성이 많아요. 이 행성들에도 생명체가 살 수 있다는
가능
성을 제시했죠”그 중 유로파는 프리스쿠 교수가 가장 주목하고 있는 위성이다. 그는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는 보스톡 호수와 구조가 같다”며 “암석 위에 바다가 있고 그 위에 빙하가 있다”고 말했다.실제 이번 ... ...
1998년 윌리엄 마틴 교수의 진핵생물 기원의 수소가설 제안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진핵생물은 처음부터 따로 진화해 나타난 걸까. 여러 정황을 고려해볼 때 그럴
가능
성은 거의 없다. 생명과학자 대다수는 진핵생물이 원핵생물에서 진화했다고 믿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원핵생물이 진핵생물로 ‘점프’할 수 있었을까.세포핵이 먼저냐 미토콘드리아가 먼저냐1960년대 말 미국의 ... ...
‘마피아’의 자원개발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자원개발과 이에 따른 환경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연구실이다. 향후 발전
가능
성이 무궁무진하다. 젊은 후배들과 해외 현장에서 함께 뛰는 모습을 그려본다 ... ...
IT기술을 즐기며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결론적으로 호기심에 이것저것 주물럭거리는 일을 좋아하는 사람이 세상을 바꿀
가능
성이 크다. 그렇다고 세상을 변화시키겠다는 부담을 가질 필요는 없다. 그저 좋아하는 IT기술을 만지작거리며 다양한 아이디어를 실현하면 된다. 페이스북을 만든 마크 주커버그는 하버드 여학생 사진 중 누가 ... ...
이전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5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