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똑똑한 소형위성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버금가는 능력을 가진 소형위성이 몰려오고 있다. 전세계 소형위성 퍼레이드‘
작은
고추가 맵다’는 말처럼 우주에서 신기술을 검증하는 역할을 넘어 기존 중대형위성의 역할까지 넘보는 소형위성. 전세계 소형위성 개발 프로젝트를 살펴보자. 미국은 항공우주국(NASA)을 중심으로 단기간에 비교적 ... ...
PART1 백신이 여는 질병 치료 르네상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예방용 백신 분야가 2007년 116억 달러의 시장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한 것보다는
작은
수치지만 치료용 백신의 연구기간이 짧은 것에 비하면 시장규모가 급속도로 커지고 있는 셈이다. 다국적 제약회사인 머크사나 노바티스 등이 치료백신 분야에 뛰어드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질병 치료의 ... ...
시력 9.0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연구한 결과 중심와에서 추상세포의 밀도는 평균 19만9000개/㎟에 이른다. 참깨 하나보다
작은
면적에 19만9000개의 세포가 빼곡히 들어차있는 모습을 상상하면 된다. 이때의 시력은 1700년대 로버트 훅이 정상시력이라고 생각한 1.0에 가깝다. 사람에 따라 추상세포의 밀도가 32만4000개/㎟에 이르는 ... ...
물고기자리 춘분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확인할 수 있을까. 올해 볼 수 있는 가장
작은
보름달과 크기를 비교해보자.올해 가장
작은
보름달은 지난 4월 2일에 떴다. 이때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는 40만6000km. 겉보기 크기는 29′24″였다. 26일 뜨는 보름달은 이보다 약 10% 더 크다.눈썰미가 좋은 사람은 보통 때보다 달이 커졌다는 느낌을 받을 수 ... ...
숨은 키 1cm 결정하는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교수는 “유전자 수백 개 가운데 HMGA2 유전자가 키에 미치는 영향은 0.3% 가량으로
작은
편”이라며 “연구결과가 어떤 사람은 190cm고 다른 사람은 145cm인 이유까지는 설명하지는 못한다”고 밝혔다 ... ...
일본 '가구야 공주' 달로 가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기대하고 있다. 현재 달의 기원을 설명하는 가장 유력한 이론은 45억년 전 원시지구에 더
작은
천체가 충돌했는데 이 과정에서 뿜어져 나온 가벼운 잔해가 모여 달이 됐다는 대충돌이론이다. 지구와 달의 방사성동위원소 조성이 비슷하다는 사실이 이 이론의 증거다. 이는 지구와 달이 같은 암석으로 ... ...
일본의 셀레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위해 인공적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만든 장치바닷물 하천 호수의 물 속에 떠돌아 다니는
작은
생물 운동력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자기 자신이 잘 방향을 잡지 못하고, 조류(潮流)에 따라 떠돌아 다니면서 번식한다 이 때문에 부유(浮游)생물이라고도 불린다 종류는 크게 그 상태와 형태에 따라서 ... ...
빙산은 이산화탄소 킬러?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4월 어느날 밤 뜨거운 물에 목욕을 하려던 참이었다. … 마치 바닷속에 있는 산꼭대기에 올라가 있는 느낌을 받았다. 곧바로 무시무시한 정적이 엄습했다.”1912년 ... 빙붕(氷棚·ice shelf)은 빙상에서 바다 위로 뻗어 나온 부분. 빙붕이 붕괴되면서 크고
작은
빙산(氷山·iceberg)이 생긴다 ... ...
가을들판 三色이야기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거쳐 과육은 소화되고 씨는 배설물과 함께 땅에 뿌려졌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크기가
작은
사과는 제대로 안 씹혀 거의 온전한 채 배설된다. 사과를 비롯해 많은 과일들은 씨앗이 붙어있는 자리인 태좌에 씨가 발아하는 것을 억제하는 물질이 함유돼 있다. 따라서 온전한 채 배설된 사과에서는 씨가 ... ...
산할아버지 구름모자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같기 때문이다.맑은 가을 하늘 부르는 낚시구름 가을에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권운.
작은
구름이 상층의 바람에 날려 새털이나 낚시바늘 같은 모양을 이루기 때문에 새털구름 또는 낚시구름이라고 부른다. 상승기류가 강하지 않을 때 생기기 때문에 하늘에 권운만 걸려있으면 그 날의 날씨는 맑다 ... ...
이전
507
508
509
510
511
512
513
514
5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