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장치예요. 양자점이라고 하는, 전자 하나만 빠질 수 있는 우물 모양의 소자를 만든 뒤 앞뒤로 장벽을 만들죠. 이 장벽의 한쪽만 낮추면 전자가 양자점으로 들어오고, 다시 반대쪽 장벽을 낮추면 전자가 빠져나가요.”2012년 영국에서 최고 수준의 단일전자 펌프를 만들었는데, 우리나라 표준연이 올해 ... ...
- “건설환경의 패러다임이 바뀔 것”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지휘자 같은 역할입니다. 건설 계획부터 시공, 그리고 건물이 다 지어진 뒤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까지 전체적인 사업을 진두지휘하죠. 건설도 결국은 하나의 사업입니다. 당연히 정부나 기업은 제한된 시간과 자본조건에서 최고의 효율을 내고자 하겠죠. 특히 도로나 다리 같은 건축물은 세금으로 ... ...
- 바다 밑에서 만난 동화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완성된 계획을 그대로 이미지에 담기 위해 노력합니다. 스튜디오에서 각 장면을 촬영한 뒤, 사전에 골라둔 깊은 바닷속 풍경을 배경으로 사진을 합성합니다.예술과 자연의 관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정직하게 말하자면, 제 예술 작업은 자연에 의해 완성됩니다. 저는 늘 전에 없던 완전히 ... ...
- 존 내쉬, 영화처럼 잠들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볼 수 있다는 획기적인 결과였다. 내쉬 본인은 이 결과에 가장 자부심이 컸다고 한다.그 뒤 내쉬는 해석학의 편미분방정식 문제에도 관심을 가져 1956년에는 당시 유명한 미해결 문제이던 힐버트의 19번째 문제를 해결해냈다. 안타깝게도 그 몇 달 전에 이탈리아 수학자 엔니오 드 기오르기도 같은 ... ...
- 확산 모형으로 메르스 길목 막는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대응, 그리고 정책에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중요한 도구다. 전염병 대유행이 끝난 뒤에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연구를 해야 하지만 수학 모형의 중요성을 잘 모르는 사람이 많다”고 토로했다. 메르스를 교훈으로!전염병 모형을 꾸준히 연구하면 다른 병에 대처할 때도 도움이 된다. 정 교수는 ... ...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꿈이 있는데 어떻게 이룰지 모르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며 인터뷰가 끝난 뒤에 기자에게 ‘과학기자가 되는 방법’을 취재해 가기도 했다. 에너지가 넘치는 사람은 주변에 그 힘을 전파한다더니 김상미 선생님이 딱 그런 분이었다. 선생님의 이야기가 수학자의 명언 못지않게 독자에게 ...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중의적인 그림이라도 일단 첫눈에는 감각적으로 첫 번째 모습을 인지하고, 약 340ms 뒤에 두 번째 그림을 의식적으로 인지한다고 결론내렸다. 그리고 시각적으로 한계가 있어서 중의적인 그림임을 알더라도 두 모습을 동시에 볼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아주 작은 변화가 큰 변화로~그렇다면 왜 그림 ... ...
- 파워의 한국, 정교함의 일본?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추측할 수밖에 없다. 한국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타자들의 기록 변화율을 구한 뒤, 여기에 일본리그에서 메이저리그로 이동했을 때 변화율을 적용하는 것이다. 한국타자 중 일본에서 뛴 타자는 총 7명이다. 그 중 한국야구 초창기인 1980년대에 일본에서 뛰었던 백인천과, 일본에서 150타석에도 ... ...
- 박종화 생명과학부 교수 - 늙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말했다. 하지만 돈을 벌려고 사업을 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제로믹스에서 수익을 낸 뒤 이것을 다시 회사에 투자하고, 이로써 건강한 사람이 많은 사회를 만드는 것이 그가 회사를 설립한 진짜 이유다.인터뷰가 끝날 무렵에서야 그가 괴짜라고 불리는 이유를 조금 알게 됐다. 원래 하나만 보고 ... ...
- 500년 역사서 ‘실록’ 보존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유체 추출 방식입니다. 이산화탄소를 액체와 기체의 중간 상태(초임계유체)로 만든 뒤 여기에 밀랍을 녹이는 방식인데, 실험해보니 종이의 변색도 바로잡고 밀랍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었습니다.아직은 실제 실록에 보존 기술을 적용하지 않았습니다. 박종서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
이전5075085095105115125135145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