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실험을 했다. 직접 인공번개를 만드는 것이다.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벼락을 치게 한 뒤 천둥번개를 연구하려는 목적이었다.이미 이전에도 인공번개는 있었다. 미국 공학자 니콜라 테슬라가 발명한 ‘테슬라 코일’(수십~수백만 볼트의 고압 전류를 만드는 장치)이다. 코일 두 개의 공진주파수가 ...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발견하지 못했던 중요한 사실도 찾아낼 수 있다는 얘기다. 그래서 21세기에 들어선 뒤로는 점점 더 많은 생물학자들이 수학을 활용하고 있다. 수학 덕분에 생물에 대해 한걸음 더 다가서고 있는 셈이다.인터뷰수학으로 생명에 귀를 기울이다이언 스튜어트이언 스튜어트는 과학소설부터 수학 ... ...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꿈이 있는데 어떻게 이룰지 모르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다며 인터뷰가 끝난 뒤에 기자에게 ‘과학기자가 되는 방법’을 취재해 가기도 했다. 에너지가 넘치는 사람은 주변에 그 힘을 전파한다더니 김상미 선생님이 딱 그런 분이었다. 선생님의 이야기가 수학자의 명언 못지않게 독자에게 ... ...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그라운드 위에 수학을 펼쳐라! 2015 수학축구교실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모였다!인천축구전용경기장을 찾은 독자기자들이 인터뷰실에 모였다. 경기가 끝난 뒤 감독과 선수가 인터뷰를 하는 곳이다. 이곳에서 박제남 인하대 수학교육과 교수가 독자기자를 맞았다. 박 교수는 흥미로운 질문으로 수업의 문을 열었다.“엄마랑 같이 수박 사러 가 본 사람 있나요 ... ...
- INTERVIEW 글로벌 기업 바짝 추격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파악한다. 단어와 단어, 단어와 구문, 구문과 문장의 관계를 파악하는 게 핵심이다. 그 뒤, 미리 구축해 둔 데이터베이스에서 알맞은 답을 찾아낸다. 여기에는 연역적, 귀납적 두 가지 방법이 이용된다.“‘남산의 높이는 얼마인가요?’라는 질문에는 곧바로 ‘남산 높이=262m’라고 100% 정답을 낼 수 ... ...
-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줄이려면 면역력을 높여라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연구팀은 쥐에게 박테리아를 3주 동안 3차례 주입하는 방식으로 면역력을 강화시킨 뒤, 쥐에게 위협을 가했다. 그리고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위장관의 염증 정도를 조사했다. 그 결과 면역력을 강화한 쥐는 보통 쥐보다 염증이 덜 발견됐다. PTSD를 예방하는 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 ...
- 필래, 정신이 좀 드니?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유럽우주국(ESA)은 작년 11월 12일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 표면에 착륙했다가 60시간 뒤에 연락이 끊겼던 탐사로봇 필래에게서 신호가 왔다고 6월 13일 발표했다.필래는 혜성 착륙 도중 역분사 엔진이 작동하지 않아 태양빛이 닿지 않는 그늘에 착륙했다. 그 바람에 태양전지 배터리를 충전할 수 ... ...
- 18년 만의 슈퍼 엘니뇨 강타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뜻이다. 연구팀은 무엇보다, 강력한 라니냐의 75%가 슈퍼 엘니뇨가 발생한 이듬해에 뒤따라 발생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슈퍼 엘니뇨와 슈퍼 라니냐가 반복되면 지구 전체의 기후를 ‘들었다 놨다’ 할 수 있다. 이는 당장의 무더위, 강한 태풍과는 비교할 수 없는 기상 재앙이 될 것이다 ... ...
- 박종화 생명과학부 교수 - 늙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말했다. 하지만 돈을 벌려고 사업을 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제로믹스에서 수익을 낸 뒤 이것을 다시 회사에 투자하고, 이로써 건강한 사람이 많은 사회를 만드는 것이 그가 회사를 설립한 진짜 이유다.인터뷰가 끝날 무렵에서야 그가 괴짜라고 불리는 이유를 조금 알게 됐다. 원래 하나만 보고 ... ...
- 500년 역사서 ‘실록’ 보존하는 과학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유체 추출 방식입니다. 이산화탄소를 액체와 기체의 중간 상태(초임계유체)로 만든 뒤 여기에 밀랍을 녹이는 방식인데, 실험해보니 종이의 변색도 바로잡고 밀랍도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었습니다.아직은 실제 실록에 보존 기술을 적용하지 않았습니다. 박종서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
이전5075085095105115125135145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