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코기
고기
육질
살가죽
살갗
식용부분
가죽
스페셜
"
살
"(으)로 총 673건 검색되었습니다.
4000년 전 중국 대홍수 유적 찾았다!
2016.08.08
길을 열고 아홉 강의 물길을 이끌어’ 마침내 지긋지긋한 홍수피해로부터 황허 유역을
살
려내고 새로운 국가의 틀을 만들었다. 사마천은 글 말미에 “순과 우 때 비로소 공물과 부세가 갖추어졌다”고 평가했다. 최근 고고학 발굴 결과 사마천의 ‘사기’에 나오는 요임금 시대 대홍수는 3900여 년 ... ...
[타운이 만난 사람들-멘티편] “무엇을 찾아야 할지 자신이 잘 알아야 해답을 얻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6.08.05
초반에는 어려운 일이 많았을 것 같아요. ▹조심해야겠다고 생각한 계기가 있었어요. 22
살
때 제가 MBC 도전 발명왕이라는 프로그램에 나간 적에 있었는데, 이후에 여러 업체에서 연락이 왔었어요. 그런데 기술을 얻기만 하려는 사람들이 많은 거예요. 다짜고짜 특허 자료를 내놓으라는 분도 있었죠. ... ...
몸에 좋은 성격 이야기
2016.08.02
질병과 관련 되며(특히 심장질환) 심지어 명을 재촉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살
펴보았다. 건강과 장수에 도움이 되는 성격은 꼼꼼하고 규칙적인 성실성이라는 것과 행복한 사람들이 불행한 사람들에 비해 건강하게 오래 산다는 이야기를 했다. 물론 성격은 유전적으로 타고나는 부분이 적지 ... ...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영광 뒤엔 화려한 그림 한 장
동아사이언스
l
2016.08.01
일이다. 윤관현 대표는 표지그림 의뢰를 받으면 먼저 그림이 실릴 학술지의 특징부터
살
핀다. 저마다 선호하는 그림이 있기 때문이다. 연구의 정확성을 우선시하는 곳, 신비한 그림을 좋아하는 곳, 창의적이고 재치 있는 그림을 좋아하는 곳 등 다양하다. 김현주 작가는 “유명 학술지일수록 그림 한 ... ...
형제자매는 라이벌인가?
2016.07.23
성장했더라면 어땠을까. 어쩌면 인간의 형제애는 삶의 결핍과 위기 속에서 함께
살
아내려고 서로를 다독이면서 피어나는 꽃이 아닐까. 그런 짠한 삶을 바라보면서 비로소 우리는 말할 수 있지 않을까. 피는 물보다 진하다고. ※ 필자 소개 윤병무. 시인. 시집 과 이 있으며, ... ...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을까?
2016.07.19
한다. 같은 가방도 자신을 위해서
살
때보다 아픈 아이들을 위한 기부 목적으로
살
때 더 큰 행복감을 느끼는 현상이 관찰되었다고 한다(Dunn et al., 2008). 소득수준과 상관없이 기부와 봉사활동을 많이 하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행복한 경향도 나타난다. 또한 최근 심리과학지 ... ...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
2016.07.19
말을 받아들여야겠지. 그럼에도 글 앞에서 인용한, 막스 보른(하이젠베르크가 스물두
살
에 행렬역학을 완성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 멘토다)의 편지에서 볼 수 있듯이 하이젠베르크가 과연 고의로 최선을 다하지 않았느냐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원자로 연구도 결국은 플루토늄 ...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
2016.07.12
걱정 때문이었다. 즉 다른 미생물의 섭취는 억제하고 유산균을 많이 먹으면 150년을
살
수 있다며 자신이 20년 가까이 엄격하게 실천하고 있었는데 그 절반도 못되는 나이에 죽게 생겼기 때문이다. 실제 메치니코프의 사후 그런 식의 기사가 여럿 나왔다. 메치니코프는 당시로는 드물게 대중에게도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
2016.07.04
멘델은 사본 40부를 유럽 각지의 저명한 과학자들에게 보냈다. 이 가운데는 그보다 열세
살
연상인 다윈도 포함돼 있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별 다른 반응이 없었다. 사실 멘델의 해석은 너무 시대를 앞서 간 거라 그의 논문을 읽었더라도 의미를 알아차리지 못했을 것이다. 여담이지만 1882년 다윈이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
2016.06.13
미생물에서 얻은 천연분자 대다수는 불안정해 쉽게 파괴되거나 부작용이 커 구조를
살
짝 바꿔 이런 문제를 해결한 분자가 약물로 쓰이는 경우도 많다. 약물 목록에서 합성화합물을 빼버린다면 인류의 평균수명은 뚝 떨어질 것이다. 한편 오늘날 인류가 처한 에너지, 환경 위기를 극복(또는 완화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