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덤
묘소
뫼
묘
산소마스크
마스크
묘지
스페셜
"
산소
"(으)로 총 59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
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35억 년 전 스트로마톨라이트가 설사 시아노박테리아로 입증된다고 할지라도 그게
산소
발생 광합성의 증거는 될 수 없기 때문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대응하도록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즉 혈중 우리딘 수치가 올라가면 체온이 떨어지고
산소
소모량이 감소한다. 몸의 대사율을 낮춰 최대한 버티기 위해서다. 영양을 섭취하면 혈중 우리딘 수치가 내려가고 체온이 회복된다. 물론 포유동물 같은 정온동물에서 이런 온도 변화의 폭이 크지는 않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속 희미한 빛이 닿는 곳, ‘트와일라잇 존’
동아사이언스
l
2017.03.05
제작하는 호흡용 고압 기체 통에는 질소보다 혈액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작은 헬륨 등을
산소
와 섞어 사용합니다. 그는 수심 30m-150m 사이 희미하게 빛이 드는 ‘트와일라잇 존(약광층)’에 서식하는 물고기들과 산호들을 관찰하기 시작했다. - SCIENCE / Sonia Rowely 제공 알록달록 색이 예쁜 산호초와 ... ...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모든 걸 걸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관련된 실험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사업단은 지난 11월에 ECR-IS에서 인출된
산소
빔을 최초 가속구간인 저에너지 가속구간의 상전도 가속관(RFQ)에서 가속하는 데 성공했다. - IBS 제공 3명의 연구위원은 중이온가속기 건설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으면 좋겠다고 입을 모았다. 다만, 몇 가지의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대장균을 받았고 화학자답게 먼저 형광 메커니즘을 연구해 1994년 이 과정에
산소
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한편 해파리의 GFP는 형광이 선명하지 못했기 때문에 첸은 단백질의 아미노산을 바꿔치기해 더 강한 형광을 내는 GFP를 만드는 연구에 착수했고 1995년 성공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그 ... ...
성인병의 주범? 콜레스테롤의 오해와 진실
2016.12.21
많아지면 혈관 벽에 쌓여 동맥경화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특히 LDL 콜레스테롤에 활성
산소
가 작용해 산화 LDL 콜레스테롤이 되면 우리 몸이 그것을 이물질로 인식해서 혈관 벽으로 잡아들이려고 해 동맥경화가 더 심각해지기도 한다. 따라서 LDL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를 낮추고, HDL 콜레스테롤 ... ...
그린란드 빙하, 완전히 녹아 사라졌던 시기 존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2.11
유전적 질환을 갖고 있다는 얘기는 꾸준히 제시됐다. 호흡기를 막고 다니는 의상이라서
산소
부족이 원인일 수 있다는 추정이 많다. 하지만 해외 선진국보다 사우디의 게놈(genome) 연구가 늦게 시작돼 아직 명쾌한 답은 없는 실정이다. 사우디는 뒤늦게 10만 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3년의 게놈 ... ...
표범의 추억
2016.11.08
더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유전자에 변이가 일어났다. 고기를 소화하는 과정에서 활성
산소
가 많이 나와 DNA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 단백질 소화와 흡수에 관여하는 유전자 세 개도 바뀌었다. 다들 육식에 적응한 결과다. 바꿔 말하면 유전자에서 이런 변이가 일어나지 않은 사람이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산소
가 늘어나고 이산화탄소가 줄기 시작하면서 문제가 생겼다. 즉 이산화탄소 대신
산소
를 붙잡는 비율이 높아지면서 광합성 효율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기후가 건조해지면 수분의 증발을 막기 위해 기공을 닫아야 해 세포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더 낮아진다. 이런 기후변화는 신생대, 특히 ... ...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
2016.10.10
아세토부틸리쿰(Clostridium acetobutylicum)이라는 박테리아가 만드는데 반응조건이 까다롭고(
산소
를 싫어한다) 수율이 낮다. 따라서 석유계 부탄올이나 바이오에탄올 같은 기존 주자들과 경쟁하려면 이 박테리아가 바뀌어야 한다. 2000년대 들어 각국의 과학자들은 ‘대사공학(metabolic engineering)’이라는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