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뉴스
"
하늘
"(으)로 총 1,927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 예술가가 알고리즘을 공부하는 이유
수학동아
l
2020.08.29
학습해 새로 입력한 이미지를 정확하게 분류하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해 서울
하늘
에서 얼굴 형상의 구름을 찾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가 하면, 꽃 사진을 늘리거나 뒤틀고 조각낸 뒤 인공지능이 꽃이라고 인식한 사진으로 ‘어디까지 꽃이라고 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전시를 열기도 한다. ... ...
[영상+]영원히 나는 꿈의 무인기 한발짝 성큼...국산 무인기 이틀동안 날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26
개발한 고고도 장기체공 태양광 무인기(EAV-3)가
하늘
을 날고 있다. EAV-3는 53시간 연속비행에 성공하며 장기간 비행이 가능함을 입증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국내 태양광 무인기가 53시간 연속비행에 처음으로 성공했다. 종전기록을 20시간 넘게 뛰어넘으며 이틀 연속 낮에는 태양에너지로 ... ...
테슬라 크기 소행성, NASA '깜깜이' 속 지구 최근접 지나쳤다
연합뉴스
l
2020.08.19
밝혔다. [나사 홈페이지 캡처·재판매 및 DB 금지] 이 소행성은 호주 동쪽의 태평양
하늘
위를 시속 2만7천600마일(4만4천417㎞)의 속도로 지나갔다. 나사가 추정한 소행성의 크기는 10∼20피트(3∼6m)로, 대략 테슬라 모델 3 정도의 크기라고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보도했다. 폭스뉴스는 "소행성 ... ...
[프리미엄 리포트]돌멩이 하나에 30억 원? 운석 재테크 해볼까
과학동아
l
2020.08.15
대기 마찰에 타고 남아 지표면에서 발견된 유성의 잔해물이다. 지구로 유입될 때는 종종
하늘
이 번쩍이거나 굉음이 동반된다. 2013년 러시아 첼랴빈스크 운석은 흔한 오디너리 콘드라이트였지만, 공중 폭발을 일으켜 인근 주택의 유리창이 전부 깨졌고, 충격파가 지구 반대편에서도 측정될 만큼 ... ...
[주말N수학]항공우주 영상 분석 뒷받침하는 수학의 세계
수학동아
l
2020.08.15
하늘
에 떠 있는 인공위성은 하루 종일 지구 곳곳을 촬영한다. 최근에는 드론 기술이 발달하면서 드론을 이용한 항공 촬영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이런 먼 거리 촬영 영상을 용도에 맞게 분석하려면 데이터 처리 과정을 거쳐야 한다. 여기에 수학을 활용하는 회사가 있는데, 수학 박사학위를 ... ...
[백신 업데이트]中 백신 중화항체 형성·안전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GMT)을 비교한 JAMA 논문 속 그래프다. 중간 농도로 14일 간격으로 두 차례 접종한 경우(
하늘
색)보다 21일 간격으로 두 차례 접종한 경우(빨간색)이 중화항체와 IgG 항체가 형성 효율이 높았다. 각 그래프 좌측은 위약을 접종 받은 그룹의 결과다. JAMA 논문 캡쳐 연구에는 한계도 있다. 논문에는 이 ... ...
[오늘의 우주과학]급속히 어두워졌던 베텔게우스, 밝기 떨어진 원인은 '먼지 구름'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올라 형성된다. 대부분 태양보다 반지름이 1000배 이상 커진다. 베텔게우스는 지구 밤
하늘
에서 가장 밝은 별 10위권에 드는 별로, 약 420일 주기로 외곽 대기가 부풀었다 수축했다를 반복하며 밝기가 0.2등급에서 1.2등급까지 변하는 변광성이다. 베텔게우스는 지난해 10월부터 평소의 규칙적인 변광 ... ...
메뚜기떼 습격 막을 길 열렸다..."핵심은 체취"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하늘
을 뒤덮은 메뚜기떼의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이달 4일 중국 윈난성 임업초원국은 올 들어 푸얼과 훙허 등 관내 4개 지역에서 메뚜기떼 습격을 받아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다. 피해 면적만 103.8㎢(제곱킬로미터)로 서울 서초구(47.1㎢)의 2배에 이른다. 메뚜기떼는 전통적으로 아프리카와 ... ...
행성사냥꾼 테스 2년간 찾아낸 외계행성만 2100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8.12
전보다 3배 빠른 속도로 촬영하는 ‘고속 촬영’이 목표다. 기존에는 30분마다 전체
하늘
을 찍었으나 이제는 10분마다 촬영하게 된다. 이를 통해 테스는 기존처럼 2분마다 별 수만 개의 밝기를 수집하는 동시에 20초마다 별 수천 개 밝기도 측정하게 된다. 측정 속도가 빠를수록 별의 특성을 알려주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목성 대기에서 치는 새로운 번개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0.08.08
내려다 본 모습을 상상한 그림을 이번주 표지에 실었다. 잘 보면 매우 복잡하게 엉켜
하늘
을 가득 덮은 구름 내부에서 번개가 치고 있다. 번개는 크고 밝은 푸른 번개와 좀더 규모가 작은 붉은 번개 두 가지다. 붉은 번개는 다른 구름보다 좀더 위로 솟구친 구름에서 발견된다. 헤이디 베커 미국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