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징후
표현
표지
조짐
제시
표명
암시
뉴스
"
표시
"(으)로 총 1,398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세포 잡는 T세포, 공격 전환의 급소 찾았다
연합뉴스
l
2020.07.28
면역세포의 간판격인 T세포가 암세포나 각종 감염 세포를 파괴하려면 외부 위험 요인을
표시
하는 항원을 먼저 확인해야 한다. 이런 항원 분자가 T세포의 표면 수용체와 결합해야 비로소 T세포가 공격성을 띠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T세포가 공격 모드로 전환할 때 그 길목을 지키고 있는, T세포 ... ...
'핵융합' 실증할 국제실험로 조립 착수…첫 부품은 한국産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기술력을 확인시켜준 것”이라고 말했다. ITER의 토카막을 구성하는 주장치 주요 부품을
표시
했다. 국기는 조달 참여 국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핵융합은 수소 원자에 중성자가 1개 또는 2개 추가된 무거운 수소인 ‘중수소’나 ‘삼중수소’를 1억~1억5000만 도 이상의 초고온 환경에서 ... ...
러시아발 부산항 입항 첫 환자부터 방역망 붕괴 위기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0.07.24
대해서는 배에 올라타 검역을 했지만 그외 지역에서 온 선박은 단순히 증상 유무를
표시
하는 전자검역을 실시했다. 하지만 아이스 스트림호가 유증상자 선원을 숨기고 입국하면서 집단감염이 일어난 사실을 뒤늦게 알아차릴 수밖에 없었다. 이조차도 러시아에서 먼저 내린 전 선장이 확진 판정을 ... ...
위성으로 동해 북측 수역서 불법조업한 중국 어선 1600척 추적...5260억원 규모
동아사이언스
l
2020.07.23
이동하는 모습이 선명히 보인다. 동그라미는 인공신경망이 쌍끌이 기선을 식별했다는
표시
다. 플래닛랩스 제공 연구팀은 10~20m 크기에 전구를 5~20개 단 어두운 소형 북한 어선이 러시아 연안에 진출해 오징어를 잡는 상황을 발견했다. 2018년에만 약 3000척이 이런 불법 조업에 나섰다. 이정삼 ... ...
폭우에 긴장감 높아진 中 싼샤댐..."붕괴 위험 주장 근거 없어" 반론도
동아사이언스
l
2020.07.22
유포되면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양쯔강 중류에 위치한 싼샤댐(왼쪽 두 번째
표시
)은 상류에 충칭, 하류에 우한과 난징, 상하이 등 대도시와 관련이 있다. 세계가 댐 붕괴 위험 가설과 홍수 소식에 민감한 이유다. 위키미디어 제공 하지만 이런 우려에 근거가 없다는 지적도 많다. SNS 등에서는 ... ...
증강현실(AR)로 되살아난 신라 최대 사찰 '황룡사'
연합뉴스
l
2020.07.22
않고, 체험자가 움직이거나 이동해도 건물이 정확한 자리에 서 있을 수 있도록 위치
표시
기준점인 마커(marker)를 땅에 설치하고 카메라 위치추적 기능을 적용했다"고 덧붙였다. [국립문화재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실물이 없었던 한양 도성의 서쪽 정문인 돈의문 ... ...
가장 앞선 코로나19 英·中 백신 후보 2상까지 안전성·항체 형성 확인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1
접종시 증가량이 더 많다. 오른쪽은 코로나19 감염 뒤 회복환자의 혈장을 이용해 IgG 양을
표시
한 그래프다. 백신 접종에 따른 IgG 양과 비슷한 양이 형성됐음을 알 수 있다. 중증(검은 사각형 점)일 경우 항체량이 더 많은데, 백신 접종으로는 그 수준까지는 올라가지 않았다. 랜싯 논문 캡쳐 면역 반응 ... ...
"기초연구 주도권 잡을 기회 놓쳤다" '방역선진국' 한국 기초연구에선 목소리 못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7.21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역 주민 역시 바이러스 관련 연구소가 입지하다고 하면 거부감을
표시
하는 경우도 많아 연구소 입지 선정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많다 ... ...
110억년 우주팽창의 역사 자세히 담은 새 3D 우주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허블상수(세로축)과 우주 곡률(가로축)의 추정 범위를 그래프로
표시
했다. 데이터의 증가로 측정값 범위가 좁아졌다. 대략 허블상수는 67~70 사이, 곡률은 0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5년 유럽우주국(ESA)의 우주 마이크로파배경복사(CMB) 측정 결과에 따른 분석값과 비슷하다. SDSS 제공 ... ...
보현산천문대에서 포착된 '니오와이스' 혜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3일 지구와 가장 가깝게 접근할 예정이다. 니오와이즈 혜성의 이온꼬리와 먼지꼬리를
표시
했다. 5일 저녁9시 24분 보현산천문대에서 천문연 전영범 책임연구원이 촬영했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니오와이즈 혜성은 1997년 헤일밥 혜성 이후 23년 만에 한국에서 맨눈으로 관측이 가능한 혜성이다.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