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뉴스
"
천문학
"(으)로 총 90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브라헤와 케플러
2019.10.17
증명하신 어르신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우여곡절을 겪은 탓에 케플러는 1609년에야 《신
천문학
》이라는 논문으로 자신의 결과를 발표할 수 있었다. 브라헤가 죽은 지 8년이 지난 때였다. 케플러의 결과는 그 유명한 ‘케플러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에는 제1법칙과 제2법칙을 발표했고 훗날 제 ... ...
‘별에 영감을 얻다’ 천문硏 17~18일 예술인 창작기획 워크숍
동아사이언스
l
2019.10.16
천문학
계 주요 이슈를 주제로 한 강연과 야간 관측,
천문학
자와의 대화 등 예술인들이
천문학
을 이해하고 상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작품을 구상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기획됐다. 천문과 예술 창작기획 워크숍은 2017년부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공동 개최했다. 2018년에는 업무협약(MOU)을 ... ...
외계 행성에서 수증기 존재 가능성 발견
과학동아
l
2019.10.15
수소가 분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를 주도한 앙겔로스 트시아라스 UCL 물리학및
천문학
부 연구원은 “대기를 구성하는 입자 중 최대 50%가 수증기일 가능성이 있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대기 중 생명체가 만들어낸 메탄 등이 존재하는지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doi: 10.1038/s41 ... ...
먼 우주에서 찾아온 '성간천체', 태양계내 혜성과 공통점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19.10.15
발견된 오무아무아와 달리 태양계에 접근하는 도중 발견돼 관측 시간이 길 것으로 보여
천문학
자들의 기대가 큰 상황이다. I2/보리소프는 12월 8일 태양과 지구의 2배 가량의 거리인 약 3억 ㎞까지 근접하게 된다. 이후 궤도를 따라 태양계를 빠져나가게 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대 별은 하나로 합쳐지며 자기장을 내뿜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3
두개의 별이 합쳐지는 모습을 재현한 것이다. 파비앙 슈나이더 독일 하이델베르크대
천문학
연구소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거대별이 서로 융합되는 동안에 자기장이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조사했다. 거대 별은 태양 크기의 1.5배로 그 중 약 10%가 아주 강력한 표면 자기장을 갖고 있다. 이런 강력한 표면 ... ...
지구 충돌 막아라… 적외선 망원경으로 소행성 감시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2013년에는 러시아 첼랴빈스크 상공에서 소행성이 폭발하는 사고도 있었다.
천문학
자들은 올해 6월 기준 1981개의 지구위협소행성을 발견했다. 지난해 1년 동안 새로 발견한 지구위협소행성만 총 83개에 달한다. 대부분 미국 연구팀들이 찾아내고 있다. 적외선 우주망원경이 필요한 이유는 확인된 ... ...
우주 탄생부터 일상의 혁신까지… 인류의 미래 밝힐 위대한 발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1
외계행성의 발견이다. 송용선 한국천문연구원 이론천문센터장은 “우주론은 물리학과
천문학
의 융합학문이다. 제임스 피블스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는 이 두 가지 다른 학문이 어떤 방식으로 융합해야 하는지 해답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우주의 시초부터 우주배경복사가 나오기까지 물리적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먼 우주도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편견 깬 외계행성
2019.10.10
천문학
은 수천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가장 오래된 과학 분야 중 하나지만, 외계행성
천문학
의 역사는 30년도 채 되지 않는다. 하지만 그 시작이 된 마요르와 쿠엘로의 위대한 발견은 우리가 우주를 올려보는 시선, 그리고 우주 속 우리를 내려다 보는 시선 모두를 완전히 바꿔 놓았다. 그들이 받은 ... ...
우주 최강 자석별 '마그네타' 두 별 충돌로 태어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0
것도 시뮬레이션 결과 확인됐다. 두 별이 하나로 합쳐지는 일은 드문 일은 아니다.
천문학
자들은 은하수 내 별의 10%가 두 별이 하나로 합쳐져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슈나이더 연구원은 “별들을 관측하면 10% 정도가 표면에서 강한 자기장을 형성하는 것으로 관측되는데 이는 우주상에서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우주 구조 연구의 설계자, 제임스 피블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연구자가 아니었으면 우주배경복사 발견은 세상에 없었을 것이다. 우주론은 물리학과
천문학
의 융합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피블스는 이 두 가지 상이한 학문이 어떤 방식으로 융합해야 하는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했다. 입자물리학에서 알려진 표준모형이 어떤 방식으로 우주팽창 과정에서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