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독점
단독
전용어장
어장
전모
전적
뉴스
"
전용
"(으)로 총 927건 검색되었습니다.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완벽한 ‘안드로이드’에 대한 고민… ‘엑스마키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8.10
인공지능’은 컴퓨터가 아니라, 별도의 독창적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봤다. 따라서 로봇
전용
으로 발전한 인공두뇌 시스템을 별도로 개발해 에이바를 만들었다며 네이든과 칼렙이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도 영화 속에서 볼 수 있다. 적어도 기자가 보기엔 이런 작은 배려가 영화의 신뢰성을 한층 ... ...
쌍둥이 대형망원경 제미니천문대에 내년부터 한국
전용
관측시간 생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25
공동 운영에 참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한국은 내년부터 6년 동안 연간 25일의
전용
관측일수를 확보하고 관측시간 배분, 연구주제 선정 등 주요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게 됐다. 천문 연구에서는 망원경의 크기가 커질수록 관측 가능한 천체의 종류가 많아진다. 더 멀고 어두운 천체까지 ... ...
세계 최고의 운전 실력자
팝뉴스
l
2018.07.21
최고 레이서”의 운전 장면을 담았다고 찬양(?)을 받는 이미지다. 어두운 자동차
전용
도로다. 차 한 대가 빠르게 달린다. 운전자는 차를 몰면서 사진을 촬영하는 위험한 짓을 했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사진 촬영의 위험성은 애교 수준이다. 촬영자는 운전대를 손으로 잡고 있지 않다. 손이 할 ... ...
‘액체 금속 전자회로’ 개발… 접을 수 있는 기판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7.18
의견이 많다. 전자섬유의 대안으로 액체 금속인 갈륨 혼합물을 이용, 미세한 회로를
전용
프린터로 찍어내는 ‘프린팅’이나 ‘패터닝’ 방식도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갈륨 혼합물은 액체가 방울지려는 성질인 표면장력이 커 수십 ㎛ 이하 아주 가느다란 선폭의 전자회로를 만들기는 어려웠다 ... ...
구글 렌즈, 텍스트 너머 세상을 검색한다
2018.06.29
몇 시간만에 처리할 수 있게 됐다”고 말한다. TPU는 구글이 직접 개발한 머신러닝
전용
프로세서다. 머신러닝은 단순 반복 작업의 무한 반복이 이뤄지기 때문에 CPU보다도 코어 수가 많은 GPU가 유리하고, 이보다 더 머신러닝 데이터 처리에 최적화된 TPU가 머신러닝의 학습을 도우면서 실생활에 ... ...
[남북협력 시나리오]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
과학동아
l
2018.06.11
시설의 규모(길이 180m, 폭 20m, 높이 6층 건물)보다 훨씬 작다.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전용
시설이었던 유로케믹(Eurochemic). - 유로케믹 홈페이지(http://www.eurochemic.be) 제공 재처리 시설은 방사능 준위가 높기 때문에 대부분 로봇 등을 이용해 원격으로 해체할 수밖에 없다. 원격으로 작동하는 크레인과 ... ...
유럽 수질연구 구심점… 독일 연방지질조사소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8.06.08
혹은 얕은 바다 지하에 흐르는 지하수(담수)를 확인하는 일이다. 전자기파 등 각종
전용
탐지장치를 갖춘 헬리콥터로 지표 아래 지하수를 확인하는 작업을 독일 일부 지역부터 시작했다. 헬리콥터에서 쏜 전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파장을 분석, 땅 속 100m까지 지하수가 있는지 탐지할 수 있다. ... ...
IoT 날개 단 공장… 중장비 26대 작업현황 손금 보듯
동아사이언스
l
2018.06.04
작업 환경이다. 그동안은 작업자가 일일이 손으로 작업일지를 썼지만 이제는 작업 전후
전용
단말기 화면의 시작 버튼과 종료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된다.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데도 유용하다. 중장비 배차 효율도 높아졌다. 작업자들이 필요한 중장비와 ... ...
[짬짜면 과학 교실] 스스로 돕는 식물의 생존법
2018.06.02
끌어 올려 곳곳에 나르는
전용
도로예요. 체관은 잎에서 만든 양분을 곳곳에 배달하는
전용
도로예요. GIB 제공 꽃은 아름다워요. 그런데 꽃이 눈에 잘 띌 만큼 아름답고 향기로운 것에는 다 이유가 있어요. 그것은 식물의 번식을 돕는 벌과 나비 같은 곤충을 끌어 들이려는 목적이에요. 그래서 꽃은 ... ...
[융합이 미래다] ① 석학도 못푼 과제… 젊은 과학자들 ‘융합연구’로 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25
빠른 것도 융합연구의 특징이다. 아모레퍼시픽은 항암 환자를 위해 유분 함량을 높인
전용
화장품 개발에 착수했다. 스위스 신약 개발사 ‘리젠시 헬스케어’는 ‘우리가 항암환자용 탈모약을 개발해 보겠다’며 국내에 공동연구를 타진해 왔다. 연구진은 현재 항암 치료 후 3년째 탈모를 겪고 있는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