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학
보존
뉴스
"
보존과학
"(으)로 총 758건 검색되었습니다.
40년 미제사건 푼 과학수사,과학계 미투운동…올해 최고 과학뉴스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2
국제학술지 ‘사이언스’가 올해 과학계를 뒤흔든 12개의 이슈에 대한 순위 선정을 위해 온라인 투표를 진행한다. 한국 시간으로 오는 6일 오후 2시까지 사이언스 홈페이지를 통해 투표할 수 있으며, 그 결과는 이달 20일 발표할 예정이다. https://www.sciencemag.org/news/2018/11/choose-your-2018-breakthrough-year ... ...
[유전자 편집 아기 논란] 연구 허용하되 출산 별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1
허젠쿠이 중국난팡과기대 교수(사진)가 유전자를 수정한 인간 쌍둥이 아기 출산해 성공했다고 주장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EPA/연합뉴스 세계 최초로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유전자를 수정한 인간 쌍둥이 아기 출산에 성공했다는 주장이 나온 가운데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중국은 인간의 수 ... ...
[이강운의 곤충記]미세먼지 없는 호주 곤충들은 자신이 행복한 줄 알까?
2018.11.29
‘마음껏 숨 쉬고 싶다!’ 이 말이 이렇게 간절한 소원이 될 줄은 몰랐다.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아 코 점막이나 입안에서 조차도 걸러지지 않는다 하니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를 걸러낼 수 있는 곳은 울울창창한 숲밖에 없는 것 같다. 자욱한 미세 먼지, 희뿌연 초미세 먼지로 아무 것도 ... ...
[미래융합포럼]“2100년 인간은 전자두뇌를 갖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1
김태현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가 21일 서울 JW메리어트 동대문스퀘어에서 열린 ‘2018 미래융합포럼’에서 ‘양자 컴퓨팅’의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전승민 기자 enhanced@donga.com “영화 공각기동대를 보면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장면이 나옵니다. 영화 속 이야기지만 현실에도 비슷한 기술 ... ...
[이강운의 곤충記] 아름다운 색과 뚜렷한 개성을 지닌 호주의 딱정벌레들
2018.11.16
농사를 짓고 마을과 도시를 만들며 살아 온 작은 한반도를 보다가, 대륙이 한 국가인 오스트레일리아의 광활하고 손대지 않은 태고의 자연을 보니 우주의 시작과 생명의 탄생을 보는듯한 착각이 든다. 오랜 세월 고립된 대륙이었기 때문에 코알라나 캥거루, 오리너구리 등 이 나라가 아니면 구경조 ... ...
길이 1cm 세계에서 가장 작은 '랩터' 발자국 화석 진주에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이번에 발견된 '드로마에오사우리포미페스 라루스'를 복원한 모습. 참새 몸집의 작은 랩터 류 공룡으로 추정된다. - 사진 제공 김경수 교수/복원도 Dr. Anthony Romilio 세계에서 가장 작은 ‘랩터’ 공룡의 발자국 화석이 한국에서 발견됐다. 랩터는 영화 ‘쥬라기 공원’에서 날렵한 몸짓과 지능적인 무 ... ...
“인간 개입없는 야생의 땅, 전체 육지의 23%뿐”
동아사이언스
l
2018.11.01
브라질의 아마존 숲 을 지나 흐르는 카테테강 주변을 걷고있는 여성의 모습이다-Taylor Weidman 제공 100년전만 해도 인간이 가축을 기르거나 곡물을 생산하는 육지 면적은 전체의 15%였다. 최근 인간의 활동 영역이 이때보다 5배 이상 증가했다는 연구가 나왔다. 야생동물이 자유롭게 생활하기는 그만큼 ... ...
[이강운의 곤충記]은밀한 언어 '케미'
2018.10.31
하늘에 닿는 바벨탑을 쌓기 전 노아의 후손은 모두 같은 언어를 사용했다 한다. 하늘이 노하여 서로를 이해할 수 없도록 언어를 뒤섞어 놓아 소통하지 못하면서 혼돈의 길로 들어섰다. 수많은 시간을 쏟아 부어 힘들게 외국어 공부를 하지만 노력한 만큼 완벽해지지 않는 외국어 때문에 늘 화가 난 ... ...
[이강운의 곤충記]생태계 망나니 '붉은불개미'를 위한 변명
2018.10.17
작년 추석 이후 며칠 전까지 2년 여 동안 온 나라를 들썩이며 많은 사람들의 신경을 건드리는 주인공은 붉은불개미(Red Imported Fire Ant)였다. 하찮은 벌레라고 가볍게 여겼던 곤충 한 종이 전 국민을 이렇게 하나의 주제로 몰입시킬 수 있다니 위력이 대단하다. 하지만 제한된 정보만을 근거로 무시무시 ... ...
국내 연구진 ‘원자 두께’ 2차원 물질 생산 새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15
미국 MIT 연구팀이 2차원 물질을 빠르교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사진 제공 Peng Li/MIT 한국 과학자들이 주도하는 국제 공동 연구진이 미래 반도체와 휘는 디스플레이 등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매우 얇은 전자 소재인 ‘2차원 물질’을 상용화가 가능할 정도로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