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뉴스
"
반사
"(으)로 총 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옆에서 보면 깜깜이' 특정 각도에서만 보이는 디스플레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위변조 방지 태그, 개별 맞춤형 보안결제 시스템, 건물 창이나 벽면에 부착하는 초절전
반사
형 디스플레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노 교수는 “편광에 따라 색이 변하는 메타표면을 이용해 정보 보안 코드를 만들어 기존의 IoT 기술과 메타표면을 접목하고자 했다”며 “이번 성과는 ... ...
‘아른아른’ 화면 빛
반사
줄일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성공했다. 연구팀인 새로운 메타물질이 전자책이나 LCD 모니터, 옥외광고판 등의 빛
반사
를 줄이고 색상 재현도를 높이는 데 쓰일 것으로 기대했다. 또 고해상도 픽셀을 만들 수 있게 돼 홀로그램이나 태양전지, 위조 및 변조 방지기술 등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홍 선임연구원은 ... ...
“동해 지진, 동해 사라지는 전주곡일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가까운 지역 사이의 지층 구조를 마치 X선처럼 지각 내부의 구조를 밝혀내는 탄성파
반사
기술 등으로 새롭게 밝혀 지난해 7월 지질학 분야 국제학술지 ‘지질학’에 발표했다. 이 연구에서 연구팀은 동해에는 한반도 남부의 동해안에서 수십 km 떨어진 동해와 한반도 사이의 경계지점에 해안선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태양계 기원 간직한 소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파장인 550나노미터(㎚, 10억분의 1m) 4.5%로 나타났다. 알베도는 행성이 태양광선을
반사
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행성의 구성성분에 따라 알베도 값이 바뀐다. 지구의 알베도는 30%다. 4.5%는 수분이 적은 탄소질의 콘드라이트 운석에서 발견되는 수치다. 콘드라이트는 태양계 형성 초기에 만들어진 ... ...
부산대 연구진, 성능 개선된 양자통신용 광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제어해 효율이 높은 양자얽힘 광원을 개발했다. 원자 증기 셀은 빛이 진행할 수 있도록 무
반사
코팅 창이 달린 고진공 상태의 공간이다. 이곳에 원자를 넣고 밀봉하면 순수한 원자가 증기 상태로 머무른다. 또 이 양자 광원의 특성을 양자간섭과 양자상태 단층 측정을 통해 확인하는 것도 성공했다. ... ...
뇌에 초음파 쏴서 의사결정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활성화되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여기에 250kHz의 저강도 초음파를 40초 동안 가해
반사
실적 사고를 할 수 없도록 했다. 뇌를 초음파로 살짝 짓눌러 잠시 기능을 할 수 없게 한 것이다. 초음파 자극을 받은 원숭이는 자극받지 않은 원숭이에 비해 보상이 있는 선택을 내릴 확률이 평균 63%에서 49%로 ... ...
스마트폰 위치 찾기 오차 30m이내로 줄어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GPS)은 도심이나 아파트 단지 등 고층 건물이 밀집한 곳에서 신호 난
반사
가 심해 수백 미터 이상의 위치 측정 오차가 발생한다. 이런 이유로 최근 도심이나 실내에서 무선인터넷 와이파이 신호를 이용해 스마트폰 위치를 파악하는 기술이 주로 활용된다. 그러나 이 기술은 여러 대의 와이파이 ... ...
장갑처럼 끼고 문어처럼 움직이고...‘소프트로봇’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구현했다. 종이접기를 이용한 소프트 로봇은 이처럼 복잡한 로봇을 단순화하며 조건
반사
적으로 반응해 정교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과학자들은 2000년대 중반 이후 종이접기 로봇처럼 고정관념을 깬 소프트 로봇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아직까지 연구자별로 기술력 차이가 크지 ... ...
장갑처럼 끼고 문어처럼 움직이고… ‘소프트 로봇’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구현했다. 종이접기를 응용한 소프트 로봇은 이처럼 복잡한 로봇을 단순화하며 조건
반사
적으로 반응해 정교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과학자들은 2000년대 중반 이후 종이접기 로봇처럼 고정관념을 깬 소프트 로봇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아직까지 연구자별로 기술력 차이가 크지 않은 ... ...
김치 ‘매운맛’ 정도, 분자 수준에서 구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기술은 굴절률이 다른 두 경계면에서 빛의 입사각이 임계값보다 클 때 발생하는 전
반사
의 반대면에 생기는 전자기장에서 형광을 검출하는 기술이다. 단일분자 수준까지 검출이 가능한 현미경 기술이다. 연구팀은 김치 내 캡사이시노이드를 추출해 금 나노입자와 반응시킨 뒤 이 기술들을 접목해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