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략
지략
음모
모방
모해
모함
복사
뉴스
"
모사
"(으)로 총 525건 검색되었습니다.
2cm 몸으로 14cm 점프 ‘소금쟁이 로봇’
2015.07.31
넘지 않을 정도로만 힘을 준다. 연구진은 소금쟁이의 도약 과정을 로봇으로
모사
하기 위해 형상기억합금을 소재로 썼다. 형상기억합금은 잘 휘면서도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는 특성이 있어 로봇이 물에 떠 있을 때와 도약할 때 다리 모양을 바꿀 수 있다. 연구진은 다리에 초경량 액추에이터(구동 ... ...
저는 말랑한 ‘개구리 로봇’입니다
2015.07.14
수평으로는 75cm까지 폴짝폴짝 뛸 수 있다. 보통 생체모방 로봇은 생물의 뛰는 방법을
모사
하기 마련이지만 이 로봇은 개구리 뒷다리를 흉내 내지 않고도 개구리의 점프력을 재현했다. 개구리 로봇의 점프 비결은 로봇 아래쪽에 붙어 있는 말랑한 렌즈다. 평소에는 렌즈의 오목한 면이 아래로 ... ...
해마 꼬리가 각진 이유는?
2015.07.05
뱀처럼 땅 위를 슬금슬금 기어 다니는 ‘뱀 로봇’. 이들의 공통점은 생물의 움직임을
모사
한 로봇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특이한 로봇을 만들기 위해 생물을 유심히 관찰하는 로봇공학자나 기계공학자가 있다. 오랜 세월 환경에 적응하며 진화해 온 생물은 나름의 모양과 기능을 갖추는데, 여기서 ... ...
인공피부는 호크아이를 구할 수 있을까
2015.05.08
뇌의 신경망을
모사
한 최강의 인공지능을 갖춘 울트론은 어벤져스를 위협하는 악당으로 등장한다 -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제공 아이언맨, 캡틴 아메리카, 토르…. 슈퍼히어로 군단 ‘어벤져스’가 이번엔 가공할 인공지능 ‘울트론’에 맞선다. 끊임없이 자신을 복제하는 울트론은 가상의 ... ...
이래도 화성에 가시겠습니까?
2015.05.05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 우주방사선연구소에서 실험용 쥐에게 우주 방사선을
모사
한 고에너지 방사선을 6주간 쪼였다. 그 결과 방사선을 장기간 쪼인 쥐의 뇌에서 발생한 염증이 신경세포 간 신호 교환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척추신경과 신경세포에서 신호를 주고받는 부위인 ... ...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5.03.26
본연의 임무를 다하기 힘들죠.” 임 박사가 설명했다. LBTS에서 시험 중인 연료전지
모사
장비. 연료전지는 산소 없이도 전기를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수중에서 은밀한 작업을 수행하는 잠수함의 차세대 동력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 이영혜 기자 제공 실제로 중형급 이상 잠수함 개발의 핵심은 ... ...
위조 불가능한 ‘인공 미세지문’ 개발
2015.03.25
사람의 지문과 연구진이 지문을
모사
해서 만든 인공 미세지문(오른쪽 위). 연구진은 머리카락 굵기 정도의 지름으로 여권 식별자용 인공 미세지문을 만들었다. -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사람 지문처럼 복제가 불가능한 ‘인공 미세지문’을 만들어 위·변조를 방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 ...
암 전이 환경 그대로
모사
하는 ‘인공 세포막’ 개발
2015.03.18
TNT 멤브레인을 사이에 두고 암세포와 정상세포 사이의 물질교환 모식도. -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제공 국내 연구팀이 생체 속 암전이 환경을 그대로 구현하는 데 쓸 수 있는 다공성 나노막(멤브레인)을 개발했다. 차국헌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와 남좌민 서울대 화학부 교수가 주도한 공동 ... ...
휴대용 초음파 검사기 가능해진다
2015.03.02
비파괴검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기계연구원 나노자연
모사
연구실 송경준·허신 선임연구원 팀은 부경대 기계공학과 김제도 교수팀과 공동으로 인공구조물을 통해 음파의 경로를 제어해 음향 신호를 전원 없이 최대 10배까지 증폭하는 데 성공했다고 2일 밝혔다.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
2014.12.30
한국기계연구원과 서울대 등이 공동 개발한 것으로, 인공와우의 핵심소자인 ‘생체
모사
무전원 인공기저막 소자’를 개발한 것이다. 이 소자를 이용해 인공와우를 제작하면 기존 인공와우처럼 귀 외부에 구멍을 뚫고 소형 마이크를 이식할 필요가 없어지며, 별도의 배터리를 연결할 필요도 없어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