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뉴스
"
두께
"(으)로 총 1,144건 검색되었습니다.
긁혀도 스스로 회복하는 웨어러블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1
기계적 강도가 셀 뿐 아니라 자가치유 속도가 놀라울 정도로 빨라졌다”며 “3mm
두께
의 절단된 소재가 상온에서 1분 후에 아령 1kg을 들 수 있을 정도의 강도로 회복된다”고 말했다. 초고속 자가치유 소재를 자르고 다시 붙였더니 60초 후에 추 1㎏을 들 수 있을 정도의 강도로 회복됐다. 화학연 ... ...
종이보다 수만 분의 1 얇은 평면자석 세계 첫 합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1.19
Fe4GeTe2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Fe4GeTe2는 0~10도에서 강자성을 나타낸다. 수 나노미터
두께
로 떼어냈을 때도 강자성이 그대로 유지됐으며, 다른 2차원 물질과도 쉽게 결합할 수 있어 향후 서로 다른 2차원 물질을 결합해 스핀정보소자를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또 스핀 상태가 열에 쉽게 ... ...
[프리미엄 리포트]소리에 소리를 더해 소음을 없앤다
과학동아
l
2020.01.18
DSP가 소리를 듣고 파형을 분석해 역파동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이어캡
두께
를 음속으로 나누면 된다). 그런데 실제로 노이즈 캔슬링 제품의 DSP의 처리속도는 0.25ms 수준으로 알려졌다. DSP의 처리속도가 같아도 소리의 높낮이(파장의 길이)에 따라 DSP가 처리할 시간이 늘어나기 ... ...
세포 움직임까지 느끼는 3D 촉각 인식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조밀하게 배열할수록 센서 간 간섭이 심해지는 문제가 있다. 연구진은 압력에 따라
두께
가 변화하는 물질을 이용한 트랜지스터 센서를 개발했다. 트랜지스터는 집적회로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의 반도체다. 연구진이 개발한 트랜지스터 센서는 센서 간 간섭없이 조밀한 배열이 가능하다. ... ...
"베젤프리·슈퍼씬…" 외신들, 삼성 인피니티 TV에 '주목'
연합뉴스
l
2020.01.06
베젤리스는 아니다"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삼성전자 베젤이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두께
인지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1㎜ 아래로까지 얇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 ...
자외선까지 전기로 바꾸는 태양전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의
두께
를 조절해 소자 표면에서의 반사를 최소화해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설계했다. 장 교수는 “고효율 유연 태양전지는 건물일체형 태양전지와 전기자동차, 드론 등 여러 분야에서 쓸 수 있다”며 “페로브스카이트 ... ...
한울5호기 재가동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적절히 수행됐음을 확인했다. CLP는 사고 시 방사성물질의 누출을 방지하는 기능의 6mm
두께
철판이다. 또 격납건물의 콘크리트 공극이 의심되는 부위의 CLP 93개소를 절단해 확인한 결과, 공극이 2개소 발견돼 구조물의 건전함을 확인하고 보수조치가 적절히 수행됐음을 확인했다. 원안위는 ... ...
빛 색깔과 편광 동시에 제어하는 소형 광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동시에 제어할 수 있어 활용분야가 다양하다. 반도체 양자선 구조는 물질의 조성이나
두께
변화를 통해 색을 조절할 수 있고 나노 수준의 편광 방향 조절도 가능해 효율적인 소형 광원으로 쓰인다. 기존에도 단순한 형태의 양자선은 있었지만 나노 단위의 정밀한 제어가 어려워 색깔과 편광을 ... ...
표준硏, 중소기업 장비로 반도체 난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측정표준기관들의 공동연구에서 결정된 ‘하프늄산화막’의
두께
와 연구팀이 측정한
두께
를 비교한 결과 1% 수준 차이에서 정확하게 일치했다. 김경중 책임연구원은 “중소기업과의 협력으로 탄생한 이번 기술은 반도체 산업 현장에 활용돼 차세대 반도체 소자의 생산 수율을 크게 향상시킬 ... ...
정밀 3D프린팅 기술로 높이 7μm 짜리 구조물 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9
가까은 거리에서 빠르게 굳는 고분자 용액을 쏘아 섬유를 만들어 쌓는 방법이다. 나노
두께
의 섬유를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하면서 쌓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높이 쌓으려면 복잡한 외부 부속품이 필요해 대개 2차원 평면 구조를 만드는 데 그쳤다. 조윤경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IBS그룹리더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