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정
정정
캠퍼스
구내
개정
교열
보정
뉴스
"
교정
"(으)로 총 763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살며 사랑하며 늙어가며
2019.04.14
일기장을 꺼내봅니다. 개발새발 연필로 쓴 일기장입니다. 누가 빨간 볼펜으로 맞춤법을
교정
해주었네요. 어머니가 아마 해주신 것 같습니다. 갑자기 마음이 뭉클해집니다. 이런 시절도 있었는데, 누나는 아무래도 좋은 엄마가 될 것 같지 않습니다. 근데 어머니가 들어오셔서 세금을 내달라고 ... ...
'길일 잡고 택배로 자료 보내 첫 영상 만들었다' 블랙홀 첫 관측 뒷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이외에도 세계 다른 지역에서 관찰하기 때문에 블랙홀 관찰 위치가 미묘하게 다른 것을
교정
하고, 각 전파망원경 고유의 잡음도 제거하는 데 쓰였다. 이렇게 하나로 합쳐진 데이터는 2017년 6월 4개 팀에게 배포됐다. 각 팀은 팀마다 보유한 고유한 알고리즘으로 데이터에서 영상을 생성하는 작업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적 겸손도가 떨어지면 '꼰대'가 된다
2019.04.06
있을 것이라는 사고 방식이 그런 경우다. 이들은 다른 사람이 틀리면 자신이 나서서
교정
해 주어야 한다거나 자신에게는 사람들을 ‘계몽’ 시킬 의무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사람들은 나의 의견을 귀담아 듣고 배워야 한다. 나의 의견들은 그만한 가치가 있기 때문”, ... ...
칼 안대고 휜 코·각막·시력
교정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칼을 대지 않고 전류만 흘려보내는 것만으로도 콜라겐 조직을 변형시킬 수 있다. 사진은 전류를 이용해 각막의 곡률을 원래(파란색)보다 훨씬 휘어지게(빨간색) 변형 ... 뇌질환으로 인한 관절염을 치료하거나, 각막을 깎지 않고도 곡률만 바꾸어 시력을
교정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
교도소 노역도 육체노동에서 IT노동으로 바뀌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4.01
더버지와의 인터뷰에서 “일이 고된 것은 마찬가지지만 AI는 정형화된 노역 행위를 ‘
교정
개혁’으로 비춰지도록 한다”며 “사회에서 AI를 판매할 때 쓰는 방식과 비슷하다”고 말했다. 2017년 제프리 빅햄 카네기멜론대 컴퓨터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메커니컬 터크’를 한 시간 내내 하면 벌 수 ... ...
[의학게시판] 이승엽 야구장학재단, 사랑의 소아혈액암 후원금 전달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3.27
11시 30분까지 별관 4층 미카엘홀에서 열린다. 이번 건강강좌는 치아
교정
시기와 다양한
교정
치료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다. 안장훈 치과 교수의 강의를 시작으로 질의응답, 올바른 양치법 순으로 진행된다. 별도의 신청 없이 누구나 무료로 참석 가능하다. ◆ 을지대 을지병원이 ... ...
로봇 수술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치료 성공률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특히 수술적 치료에 실패해 다시 무호흡이 생기는 환자 중에서 설근부의 폐쇄가 제대로
교정
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최근 국내에서는 로봇을 이용해 다른 기구로는 접근하기 힘들었던 설근부 수술을 안전하게 시행하고 있다. 연구팀은 양압기 치료에 실패했거나 착용을 중단한 중증 폐쇄성 ... ...
7개국 학자들 "정자·난자·배아 유전자편집 임상 멈춰야"
연합뉴스
l
2019.03.15
개국 18명의 과학자 및 윤리학자들이 생식세포를 이용한 유전자 편집(
교정
) 임상연구를 멈춰야 한다며 14일 모라토리엄(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다음 세대로 유전되는 정자와 난자의 DNA(유전물질)에 대한 변형을 금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또 생식세포 외에 배아에 대한 유전자 편집 ... ...
서울대, 김진수 교수 특허 헐값 계약 논란에 “결과론적 해석일 뿐”
동아사이언스
l
2019.03.12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
교정
연구단장이 서울대 화학부 교수 시절 개발한 유전자
교정
기술을 자신이 세운 회사인 ‘툴젠’으로 빼돌렸다는 내용이 언론을 통해 지난해 9월 7일 처음 보도됐다. 당시 서울대는 즉각 보도자료를 내고 “김 단장이 교수로 재직했던 2012~2013년 유전자 가위 원천 기술을 ... ...
동맥경화 진단, ‘色’다른 진단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8
곳에서 활성화 대식세포를 골라 성공적으로 염색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유전체
교정
연구단과 함께 염색에 관여하는 유전자도 분리하는 데 성공했다. 장 부연구단장은 “IBS 연구단 간의 공동연구 덕분에 이같은 성과를 올릴 수 있었다”며 “이 형광물질로 다양한 염증성 질환을 진단하고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