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
광택
윤
불빛
창고
라이트
광선
뉴스
"
광
"(으)로 총 529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정] 한국화학연구원 外
2014.12.02
장태선 △계면화학공정센터장 박인준 △바이오융합화학연구센터장(겸직) 송봉근 △
광
에너지융합소재연구센터장 문상진 △분리막연구센터장 남승은 △차세대전지소재연구센터장 강영구 △고기능고분자연구센터장 원종찬 △박막재료연구센터장 정택모 △의약바이오연구본부 의약화학연구센터장 ... ...
100배 빠른 인터넷 기간망 국산화 기술 개발
2014.11.26
공급시험을 완료하고 납품계약 체결을 진행 중이며, 소비자를 위해 100배 빠른
광
가입자용 기기를 생산하는 연구소기업을 창업할 예정이다. 정현규 ETRI 통신인터넷연구소장은 “중소 장비업체와 협업해 가입자망부터 전달망까지 토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라며 “향후 ... ...
우리가 제안한 OLED조명 기술 ‘국제표준’ 됐다
2014.11.11
기준값, 표시사항 등을 포함시켰다. ETRI는 이번 안전분야 국제표준에 이어 앞으로 OLED
광
원에 대한 효율과 수명 등 성능표준도 주도하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OLED 조명 제작을 손쉽게 할 수 있는 모듈 표준도 선점할 계획이다. OLED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유비산업리서치에 따르면 2020년 OLED 조명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범위의 파장대가 연속적으로 분포한 게 아니라 좁은 파장대를 지닌 청색
광
, 녹색
광
, 적색
광
이 조합돼(또는 다른 파장 빛의 조합으로) 나온 것이기 때문이다. 앞에서도 얘기했지만 청색빛은 일주리듬이나 멜라토닌 합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스몰렌스키 교수는 서평에서 학계 연구자뿐 아니라 ... ...
사카린은 설탕을 대신할 수 있을까
2014.08.11
사카린은 설탕보다 300배나 달아 많은 식품에 쓰이다가 1970년대 들어 동물실험(쥐)에서 방
광
암을 일으킨다는 결과가 알려지면서 퇴출됐다가 사람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1992년부터 젓갈, 김치, 절임식품을 제외하고는 사카린을 쓸 수 ... ...
햇빛만 있으면 수소 얻는다
과학동아
l
2014.06.11
높아 수소 생산 효율이 기존의 2배 이상 높다. 임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3차원
광
전극은 약한 전기를 흘려 주면 효율이 훨씬 더 높아지기 때문에 상업용 수소생산시설에도 쉽게 활용할 수 있다”면서 “전기화학공정이 간단하고 풍부한 구리 자원을 이용하기 때문에 값싸게 만들 수 있는 ... ...
KAIST 학부생이 세계적 저널에 논문 발표
과학동아
l
2014.05.29
‘셀’과 네이처 자매지에 잇따라 게재했다. 생명과학과 이서은(21) 씨도 올해 3월 한국
광
학회 우수논문상을 받았다. 박 교수는 “역사 속 유명한 과학자들은 대부분 20대 초반에 아무도 수행하지 않은 세계적인 성과를 거뒀다”며 “다양한 과목을 동시다발적으로 배우는 학부생 때가 창의적인 ... ...
반도체 공정 ‘10나노’ 장벽 무너지나
과학동아
l
2014.04.30
10nm는 반도체 공정의 ‘한계’로 여겨졌다. 연구팀은 공정의 패러다임을 바꿔
광
리소그래피 공정 대신 고분자 물질들이 스스로 조립되는 ‘분자자기조립’ 현상과 원자를 층층이 쌓는 ‘원자층증착법’을 융합했다. 산화알루미늄을 5nm 두께로 쌓은 뒤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해 5nm 간격의 ... ...
'나노 수류탄' 터뜨렸더니 암세포가 퍽!
과학동아
l
2014.04.06
암환자의 조직을 이식한 생쥐에 나노수류탄을 주입한 결과 약물처리를 하지 않거나,
광
감각제와 산화철 나노입자 중 하나만 주입한 생쥐에 비해 종양이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나 교수는 “정밀한 생체지표인 pH를 이용해 초기 작은 종양도 쉽게 진단할 수 있다”며 “그동안 ... ...
혈관 내부 찍는 고화질 내시경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3.12
촬영하지 못해서 혈관 상태를 자세히 파악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먼저 고속으로
광
단층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혈관 내벽을 고속으로 스캔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했다. 이 장치로 사람의 심장 관상동맥과 비슷한 토끼 대동맥 7㎝길이의 혈관을 5.8초만에 초당 350장의 속도로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