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악마"(으)로 총 5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초여름 더위 빨리 온 여름이 더 위험하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기사 l20140529
- 요새는 초여름 더위가 흔하다. 그런데 이것은 좋은 징조일까, 아니면 나쁜 징조일까? 그것은 나쁜 징조이다. 왜냐하면 사망률이 더 높기 때문이다. 그래서 KEI는 "초여름에 더위가 시작되서 우리나라 전체 인구가 36%죽었지만, 그렇지만 한여름에 더위가 시작되면 우리나라 전체 인구가 23%죽는다"고 말했다.사람들은 보통 초여름 더위를 좋아하지만, 그 속에는 ...
- 요즘 롤(리그어브레전드의 줄임말) 이 인기라합니다.접속자가 300만명이라합니다. 롤의중독자포스팅 l20140316
- 요즘 롤(리그어브레전드의 줄임말) 이 인기라합니다.접속자가 300만명이라합니다. 롤의중독자는 롤과일심동체가됩니다. 오죽하면악마의 게임이라할까요. ...
- 슛~! 과학으로 즐기는 2010 월드컵어린이과학동아 l20100531
- ‘슛~, 고올~? 아! 골대에 맞고 나오는군요….’ 아이쿠, 저럴 때는 각도를 그냥 조금만 틀었어도 골인데 말이야! 여기는 남아공, 우리는 대한민국 대표팀을 응원하러 온 붉은악마 과학자 모임이지. 그런데 응원석에만 앉아 경기를 보고 있자니 입이 근질거리는구만! 축구에 숨어 있는 과학 원리가 얼마나 많은지 사람들이 잘 모르는 것 같더라구. 에헴, ...
- 샤랄라~, 요정이 춤을 춘 흔적이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1031
- 닥터고글은 마음이 아프지만 정확한 사실을 알려 주고자 설명을 계속 한다. “그…, 그리고 페어리링은 사실 요정의 고리라기보다는 악마의 고리에 더 가깝지 않나 싶어요. 잔디밭에 페어리링이 생기면 잔디가 말라 죽거든요.” 허망상 씨는 이제는 아예 눈물을 뚝뚝 흘린다. “페어리링이 잔디를 죽이는 거예요?” “네. 균사는 물이 흡수되지 않도록 하는 성 ...
-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2)어린이과학동아 l20080313
- {tIMG_c13} 말을 타고 달려라~? 말은 5000~6000년 전에야 가축이 된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그래서 영화에서 노예사냥꾼들이 네 발 달린 악마라고 불리는 말을 타는 것은 틀린 이야기죠. 하지만 말을 타는 장면을 통해 영화가 더 긴장감 있고 재미있어진 것은 사실이겠죠? {tIMG_c14} 10000BC의 피라미드와 돛단배 영화에 등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2)어린이과학동아 l20070613
- 낳아. 이 알은 새똥에 섞여 나뭇잎에 붙어 있다가 나뭇잎을 갉아먹는 참쨈물우렁이의 몸으로 다시 들어가는 거야. 이런 내가 정말 악마 같아? 혀가 아니었어? {BIMG_R19}안녕? 난 렉사넬라라고 해. 혀가 인사해서 놀랐니? 혀처럼 보이지만 난 혀가 아니라 물고기의 입에 사는 기생충이란다. 나는 물고기의 혀를 먹어 버리고 그 자리에 날카로운 발 ...
- 매직 크리스마스! - 3개의 선물상자를 열어라 (1)어린이과학동아 l20061214
- 공연되기도했어. 우리나라도 삼국시대부터 항아리에 몸을 숨기는 마술을 했다고 전해져. 그런데 서양의 중세시대 때는 마술이 나쁜 악마의 술수로 오해를 받았어. 하지만 1800년대 이후에는 영국 왕실에서 마술 공연이 열리는 등 유럽 상류사회의 놀이문화로 발전하게 돼. 그러다 20세기를 넘어서면서부터 미국의 빠른 경제 발전을 따라 마술의 중심도 유럽에 ...
- 서양 귀신 VS 동양 귀신 (1)어린이과학동아 l20060727
- 완성의 상징이라고 생각하여 추석, 정월대보름 같은 명절까지 즐기지요. 서양은 반대입니다.중세 서양 사람들의 세계관은 밤은 악마가 지배하는 세상이었는데 보름달은 밤의 기운이 충만할 때 뜬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보름달이 뜨면 나쁜 기운을 받아 사람들이 이상해지고 괴물들이 깨어난다고 믿었습니다. 평소에는 멀쩡한 사람이었다가 보름달의 기운을 받으면 ...
- 우리는 왜 월드컵에 열광할까?(3)어린이과학동아 l20060614
- 침착해야 하고, 상대팀을 분석하여 과학적인 작전을 짜야 하고…. 이제 월드컵이 끝났으니 조금 쉬어도 되겠지? 그런데 저길 봐! 붉은악마 응원단이었던 친구가 왜 저렇게 한숨을 쉬고 있지? 어디 심리투시경을 쓰고 볼까? 황 교수에게 또 도움을 청해야겠군. 월드컵 증후군 이겨내기 황상민 교수: 열광적인 응원이 끝나면 우리 몸에는 변화가 생기지. 흥분 ...
- 붉은악마 응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060613
- *응원 문화 : 많은 사람들이 모이면 개인은 평소와는 다른 행동을 하게 된다. 수소와 산소는 둘 다 불에 타지만 둘이 모여서 된 물(H2O)은 불에 타지 않고 오히려 불을 끈다. 이와 마찬가지로 개인이 모여서 군중을 이루면 개인의 특징이 약해지고 군중 전체의 성격을 따르게 된다. 월드컵 응원의 경우 군중의 관심은 국가대표 팀의 승리 하나에만 집중되어 있으므 ...
이전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