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기
파악
쥐기
d라이브러리
"
포착
"(으)로 총 1,001건 검색되었습니다.
먼지 따라 떠나는 지구과학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점은 1990년 2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탐사선 보이저 1호의 카메라가 60억km 밖에서
포착
한 지구의 모습이다. 세이건이 보이저가 보내온 사진을 보고 지구를 햇빛 속에 떠도는 먼지라고 표현했지만, 사실 지구는 우주먼지에서 태어났으며 지구에서 먼지는 사막 같은 땅뿐 아니라 대기와 해양을 ... ...
달콤쌉싸름한 초콜릿 대해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먹어도괜찮을까?흠! 예리한 제 눈이 친구들의 놀란 표정을
포착
했어요. 가공된 초콜릿에는 원재료인 카카오 말고도 다른 물질이 들어간다는 말 때문이지요?‘초콜릿은 몸에 나쁜 설탕과 지방 덩어리’라는 속설을 떠올리고 있는 건가요? 하지만 적어도 카카오가 많이 들어간 초콜릿에 관해서는 ... ...
제2 지구 찾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행성의 질량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별빛가림 현상이
포착
된 후보별은 시선속도 방법으로 추가 관측해 질량을 확인한 뒤에야 그 별 주위를 돌고 있는 천체가 외계행성인지 갈색왜성인지 구분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별이냐 행성이냐는 질량과 생성 과정에 따라 판단한다. ... ...
조지 스무트 이화여대 석좌교수 인터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이용해 개발할 이 위성은 우주 최대 폭발로 알려져 있는 감마선 폭발의 초기 순간을
포착
할 계획이다. 창의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박일흥 교수는 “UFFO 프로젝트는 IEU를 비롯해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의 스무트 교수팀, 같은 대학의 우주과학연구소 스티븐 보그 교수팀, NASA 에임스연구센터와 함께 진행 ... ...
깨알보다 작은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일어나는 현상을
포착
하려면 넓은 영역을 감시하다가 현상이 발생하는 곳을 재빨리
포착
해 확대할 수 있어야 한다. 갑자기 ‘뻥’ 터지는 큰 소리가 들렸을 때 무의식적으로 빠르게 눈을 돌리는 일과 같다. INTERVIEW - 우연히 접한 마이크로 거울로 섬광 잡는 망원경 만들어박일흥 교수가 MEMS 망원경을 ... ...
[천문우주]화성은 살아있다! 메탄 발견으로 드러나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마스 익스프레스’가 화성에서 메탄을 발견한 적이 있지만 이번처럼 규칙적인 방출은
포착
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화성에서 여름을 맞아 기온이 올라갈 때 협곡이나 급경사면에 있는 구멍을 막고 있던 얼음이 녹으며 지하에 묻혀 있던 메탄이 솟아오른다고 설명했다.우주생물학자들은 지구의 ... ...
별의 전령사, 갈릴레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게 흠이다. 20배율 망원경으로는 달이 절반쯤밖에 안 보이고, 목성을 찾는 일은 물론 계속
포착
하기도 힘들다. 그는 관측자의 호흡과 맥박 때문에 흔들리는 것을 막기 위해 안정된 장소에 망원경을 고정시키고 렌즈를 헝겊으로 깨끗하게 닦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마분지로 대물렌즈 둘레를 가려 ... ...
녹차밭의 곡선미와 부산항의 역동성 공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4000억 달러가 그냥 이뤄진 것이 아님을 실감케 한다. 컨테이너항의 역동성을 완벽하게
포착
한 한 장의 사진이 경기 침체로 움츠러든 사람들에게 힘내라는 격려의 목소리를 소리 높여 외치고 있다.“이 장관을 한 번 보세요. 멋지지 않습니까?”강석기 기자 sukki@donga.com1. 수출 한국의 1번지 부산항, ... ...
넌센스! 오징어먹물 염색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프로그램을 보면 낚시에 걸려 올라오면서 허공에 먹물을 뿌리는 오징어의 절박한 모습이
포착
되곤 한다.오징어나 낙지 먹물의 검은색은 멜라닌 때문이다. 멜라닌은 두족류뿐 아니라 동물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색소로 사람의 머리카락이나 피부색도 멜라닌 때문이다. 멜라닌은 아미노산인 ... ...
펨토초 레이저로 시시각각 변하는 단백질 찍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주변 특이한 분자의 삶을 소개하는 ‘순간
포착
! 분자 세상에 이런 일이’ 팀에 한 과학자의 제보가 들어왔다. 뇌에 아밀로이드라고 하는 단백질이 사는데, 시시각각 모양을 바꾸는 ‘변신의 달인’이라는 것. 제보자는 대뇌의 죽은 신경세포 근처에 가면 이 단백질을 만날 수 있다고 귀띔해줬다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