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소
수축
단축
삭감
쇼트닝
절감
제한
d라이브러리
"
축소
"(으)로 총 665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나그림 홈서브 평생비서 오!K 마이글벗+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사용가능하다는 점과 스캐너를 사용할 경우 각종 사진이나 그림을 읽어 복사 이동 회전
축소
확대 등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하나그림에서 만든 영상파일을 하나워드프로세서에서 텍스트파일과 함께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영상파일을 하나PC 팩스와 연결, 상대 PC나 팩시밀리에 ... ...
공전의 히트 기록한 한글 워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네가지 크기의 문자만을 쓸 수 있는데 한글 2.0판에서는 문자의 크기를 마음대로 확대
축소
할 수 있게 된다. 다단 편집은 말 그대로 문서를 다단으로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문자 크기가 가변적이고 다단편집이 가능하게 되면 종이에 인쇄될 모양을 짐작하면서 편집을 하기는 거의 불가능하고, ... ...
(3) 과학동아 편집실이 뽑은 '6공'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과제가 방만하게 운영된 측면도 없지않으나 체계적인 관리를 모색하지도 않고 경비
축소
만 염두에 두어 연구소의 특성과 자율적 운영을 도외시한 방안을 제시했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었다.91년으로 민간연구소 수가 1천개를 넘어선 사실이 말해주듯, 국공립연구소가 산업계의 기술연구수요를 ... ...
(2) 바이러스와 백신의 영원한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자주 발생하고 있다.대체로 정부기관이나 은행 연구소 등의 바이러스피해는 은폐되거나
축소
되는 경우가 많다. 은행의 경우 바이러스가 발견되더라도 대외적인 신용문제 때문에 자체적으로 복구하는 방법을 찾게 된다. 반면 일반 PC이용자들의 바이러스피해는 과장되기 마련이다. 시스템이 ... ...
걸프전 환경테러 후유증 심각하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쿠웨이트 정부가 개전초기에 국민들에게 제대로 위험 경고만 했더라면 피해를 훨씬
축소
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한다. 즉 마스크를 쓰고 집안에 머물러있는 최소한의 보호책이라도 쓴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훨씬 발병률이 낮았던 것이다.전문가들이 지적하는 또 하나의 문제점은 사태를 ... ...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사회에 고조된 민주화분위기가 그간 KAIST의 바람막이 역할을 해주던 정부의 기능을 크게
축소
시켰다는 의미임을 이해할 수 있다. 그렇지 않아도 타대학보다 비교우위에 설 수 있었던 병역특례 등의 조건들이 박탈돼 우수학생 유치에 고심하고 있는 KAIST 로서는 한해 4백여억원의 예산 규모에 재정 ... ...
4. 핵사찰 허점 많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IAEA 사찰횟수가 지나치게 초과돼 있음을 지적, 이 사실을 통보하고 사찰횟수의
축소
를 요청했다. IAEA에서는 그후 매월 실시했던 사찰을 6주에 한 번씩 그리고 1986년부터는 2개월에 한 번씩 실시하고 있다. 월성원자력발전소에 대한 IAEA의 초기사찰이 많았던 이유는 IAEA 안전조치부 극동지역 담당 ... ...
(3) 「발등의 불」 전산서체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윤곽선(outline) 서체가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 윤곽선 서체는 비트맵 서체에 비해 확대
축소
회전 등의 변형이 자유롭고 고품질의 글자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고급의 레이저 프린터나 전산 사식기에는 필수적인 것이 되고 있다.전산 서체를 만드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종이에 그린 ... ...
브라운관에서 액정화면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종래의 데스크톱(책상 크기)개념에서 랩톱(무릎 크기) 혹은 팜톱(손바닥 크기)등으로
축소
돼 전자표시장치의 고기능화와 소형화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이상과 같은 고화질의 대형화면을 구현하거나 초소형의 화면을 실현하려면, 우선적으로 가볍고 얇아야 하며 전력소모가 적어야 한다. ... ...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증거로 들 수 있다. 특히 귄즈와 민델간빙기가 진행되는 동안에 육지의 심한 확장이나
축소
현상이 발견되지 않은 점을 고려하면 이 해수면은 대홍수때 높아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현재의 바다와 빙산의 모든 물이 지구상의 산과 바다골짜기를 평탄하게 한다면 그 깊이가 약 3km에 이를 것이다.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