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
조직망
시스템
제도
이론
학설
주의
d라이브러리
"
체계
"(으)로 총 2,65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소수 끝자리 분포의 미스터리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하고 전자상거래를 하는 데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주로 사용하는 RSA 암호
체계
는 큰 소수를 소인수분해하는 것이 어렵다는 점을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수가 어떻게 분포하는지 더 잘 알면 암호 해독에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수학자들이 이번에 발견된 소수의 성질을 어떻게 ... ...
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것을 보며 달력을 만들었다. 이때 사용하던 숫자는 지금과는 조금 다르지만 정교하고
체계
적이었다. 모든 기록은 흙으로 만든 점토판에 새겼다. 과연 점토판의 기록 안에는 무엇이 숨어 있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Part 2. ... ...
[소프트웨어] 똑똑한 자동차 ‘알파카’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들 수 있습니다. 딥러닝은 사람의 두뇌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을 모방해 만든 분석
체계
로, 수학 그 자체라고 해도 무방합니다. 확률을 기반으로 한 복잡한 수식으로 신경망을 설계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통역기가 ‘Hello’라는 문장을 ‘안녕하세요’이라고 통역했다면 ... ...
[Knowledge] 저와 대화해 볼래요?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말이다.세계 최초로 인간과 의사소통한 침팬지, 라나동물의 행동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체계
적인 방법으로 동물과의 대화를 시도했다. 특히 지능이 높고 해부학적인 구조와 유전자가 인간과 비슷한 침팬지나 고릴라를 대상으로 가장 먼저 연구를 시작했다. 처음엔 인간의 말을 직접 가르치려고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사후경과시간을 추정하는 데 통계적 분석이 가능하게 됐다. 메기에시 박사가 만든 점수
체계
와 방정식을 개선·보완한 논문이 2005년 이후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 ...
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16세기에는 유럽에도 퍼져 천문학과 수학 발전을 도왔다. 심지어 이4000년 전의 숫자
체계
는 지금도 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점토판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Part 1. 60배씩 커지는 단위의 정체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궤적을 구하는 일이 흔하다”며 “제2의 르네상스를 맞은 인프라사운드를 앞으로
체계
적인 학문으로 정립하는 데 힘을 쏟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양에서는 파도, 비, 동물, 해빙, 배 등 수많은 이유로 소리가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음파는 물속에서 길게는 수천 km까지 전파된다. 전기장과 ... ...
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만들며 감각 기관을 민감하게 한다.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해 반사적으로 작동하는 방어
체계
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스트레스로 인해 혈중 코티솔 농도가 높아지면 시상하부(H)와 뇌하수체(P)에 코티솔 분비를 억제하라는 신호가 차례로 전달된다. 그 결과 코티솔을 분비하도록 부신(A)을 자극하는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말하지 않는다. 양현석 서강대 연구원은 “20세기 물리학에 기반하고 있는 지금의 지식
체계
는, 당면한 중요한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을 바꾸려면 20세기 물리학이 만든 시공간의 개념을 넘어서야 한다”고 말했다.물리학자들은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을 통합하려는 ...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함께 모여 사는 종보다 친동기들끼리만 모여 사는 종에서 고약한 맛이라는 방어
체계
가 더 뚜렷이 나타나리라고 피셔는 예측했다.이제 다음 단계는 이타적 행동을 일으키는 유전자가 이처럼 혈연에게 유전적 이득을 제공함으로써 과연 후세대에 빈도를 높일 수 있는지 정교한 수식 모델을 세우는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