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표"(으)로 총 1,49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그린스톤 벨트라고 부른다. 이런 암석은 비록 속은 녹색이지만 겉은 붉은 빛을 띠는데, 지표에 드러난 뒤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철 성분이 산화됐기 때문이다. 이곳에는 이 밖에도 26억 년 전의 소행성 충돌에 의해 깨진 암석 조각이 쓰나미에 의해 밀려와 퇴적된 각력암, 33억 년 전 관입한 화강암이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1000배나 높은 집광력과 분해능을 자랑할 것으로 보여요. 이건 무려 지상 4만km 높이에서 지표면에 있는 토끼 한 마리까지 볼 수 있는 성능이에요.NASA와 콜로레도대 연구팀은 올해 1월부터 본격적으로 아라고를 설계하기 시작했어요. 아라고가 완성되면 허블이나 제임스 웹이 보지 못한 우주를 볼 수 ... ...
- 무서운 신예, ‘태양왕’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이뤄져 있다. 원자핵은 전자를 강하게 끌어당겨 특별한 위치에너지를 가지게 만든다. 지표면에서 높이에 따라 중력에 의한 위치에너지가 생기는 것처럼 말이다. 이를 전자의 에너지 준위라고 한다. 에너지 준위는 모두 음수 값으로, 값이 클수록 원자핵에 더 강하게 끌린다. 그런데 전자는 마치 계단 ...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초임계 유체를 만들어낸다. 초고온의 초임계 유체는 마그마만큼이나 위험한 존재다. 지표 어딘가에 갇혀 있다가 작은 지진을 유발하고, 더 이상 찰 수 없는 한계에 이르면 크게 폭발한다. 땅속 초임계 유체의 존재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직접 땅을 파고 들어가는 방법밖에 없다. ... ...
- 도심형 싱크홀, 인공위성으로 잡는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시간을 분석해 지표면의 높이를 계산한다. 연구팀은 이런 데이터를 수년간 쌓으면 지표가 서서히 침하하는 현상, 즉 싱크홀의 전조현상을 찾아낼 수 있다는 데 착안했다. 김 교수는 “위성의 공간 해상도가 수 cm 정도로 높아져 복잡한 도심 지형도 관측할 수 있다”며 “아리랑 5호의 데이터가 3년 ... ...
- [Knowledge] 불완전한 자연미인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지구가 선물한 자연미 말이다. 조 연구원은 “천연 다이아몬드는 수 억 년 동안 200km 지표 아래에서 생성됐다는 광물로서의 고유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 드비어스 사도 “과학자는 천연과 합성 다이아몬드를 ‘같은 광물’로 생각할지 몰라도 여성들은 둘을 ‘다른 보석’이라고 생각할 ... ...
- 영종대교 차량 106대 추돌 사고 원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생기면 공기층이 안정적으로 변해서 잘 섞이지 않아요. 그러면 무거운 수증기가 지표 부근에 머무르면서 짙은 안개가 지속되지요. 게다가 사고 당일에는 중국에서 불어온 미세먼지가 수증기를 뭉치는 역할을 해서 더 짙은 안개를 만들었어요.그 결과 사고 당시 영종대교의 *가시거리는 10m밖에 되지 ... ...
- [Hot Issue] 오존층 파괴 신종 범인 발견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오존층 파괴 주범으로 떠올랐다.디클로로메탄 등 대기 중에서 빠르게 분해되는 초단기수명물질(VSLS)로, 지표 근처의 오존층을 주로 파괴한다. 인위적으로 만들어지는 양이 적어 몬트리올 의정서 협약 당시 규제물질에 포함되지 않았는데, 산업 공정에서 쓰는 VSLS 양이 최근 급격히 늘었다 ... ...
- [Knowledge] 당신도 전설이 될 수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로 비더레 타자를 선택한다. BABIP은 타자가 친 공 중 안타로 연결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다. 지난해 인플레이 상황에서 안타를 가장 잘 만들어낸 타자는 강정호(47.45%)였다. 3년 동안 가장 높은 BABIP을 기록한 선수는 김태균(42%)이었다. 나 있잖아…, 너랑만 경기하고 싶어!타자의 기록도 중요하지만,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누가 손으로 힘을 줘 용기 속의 수은을 아래로 누르고 있듯이 말이다. 토리첼리는 이것이 지표면을 누르고 있는 대기압 때문이란 걸 알아차렸다(PLUS 참고).‘진공의 존재’도 토리첼리의 실험을 통해 확인됐다. 유리관에는 수은 기둥으로 채워지지 않는 공간이 있다. 유리관을 세우기 전에는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