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옆
측근
좌우익
d라이브러리
"
좌우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BRIDGE. 대한민국 무인기는 ‘트랜스포머’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조종하는 것은 원리가 완전히 다르다. 헬리콥터를 조종할 때는 회전날개의 방향을 전후
좌우
상하로 바꾼다. 2개의 로터가 내는 추력을 바꿔주며 동체를 움직인다. 비행기는 로터 조종과는 전혀 다르다. 날개나 동체에 있는 조종면을 움직이는 방식이다.틸트로터에서 날개가 수직에서 수평으로 ... ...
오류를 잡아라! 확률 법정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확률과 통계는 이처럼 일상생활의 사소한 결정뿐 아니라 중요한 재판의 판결까지
좌우
하는 근거로 쓰이곤 한답니다. 마치 양 날의 검처럼 제대로 사용하면 유익하지만, 잘못 활용하면 위험하지요. 오늘 오류를 저지른 분들은 모두 이번호 수학동아 확률 기사를 10번씩 읽어 오세요! 땅땅 ... ...
[체험] 모자부터 물병까지 뫼비우스 띠의 화려한 변신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이 곡면을 ‘사영평면’이라고 하는데, 어떤 한 지점에서 계속해서 걸으면 어느새
좌우
가 바뀌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런 특이한 수학적 성질은 사영기하학이란 학문으로 발전되어 현대수학의 발전에 도움을 주고 있다 ... ...
화학연의 정원이 그토록 아름다운 까닭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통과할 때는 위아래로 잡아당기는 조석력 때문에 사람이 살 수가 없는데, 고리를 두르면
좌우
로 잡아당기는 힘이 생겨서 조석력을 상쇄해 준다. 과학적이다. 우리는 블랙홀을 통과할 비법을 얻었다!하지만 다시 말하지만 허당이다. 이게 가능하려면 허리에 두른 훌라후프 질량이 소행성 정도가 돼야 ... ...
달려라 달려! 2013 런닝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이렇게 하면 하늘로 뜰 수 있는 힘인 양력이 증가하거든요. 그리고 몸을 S자로 만들어
좌우
로 움직이면 몸과 땅이 수평을 이뤄서 공중에서 오래 버틸 수 있지요. 이렇게 해서 100m나 날 수 있답니다.마지막 주인공은 하늘을 나는 황금나무뱀이었군요! 이렇게 런닝뱀의 미션을 모두 완수했어요. 같은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히스톤 외에 다른 단백질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추가해 확장한 개념이다.후성유전학을
좌우
하는 조절자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다.만약 확장된 개념인 크로마틴 코드를 발견하고 메커니즘을 밝힐 수 있다면, 질병을 가진 환자의 다양한 세포를 표현할 수 있는 ‘지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이 ... ...
우리나라 하늘에서 춤추는 UFO 웨이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고려했다.앞에 설명한 수원 화성 UFO 목격은 신뢰성이 더 높다. 사진의 물체 이미지는
좌우
대칭형으로 UFO의 특성인 물체 주변에 연무가 낀 것과 같은 광휘현상이 잘 나타나 있다. UFO에서 내쏘는 빛은 일반 조명등의 퍼지는 불빛과는 전혀 다르다. 그리고 물체의 빛깔, 형태구조와 비행패턴이 일반 ... ...
아늑한 겨울을 품은 외암마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 동행한 마을 해설사의 덕담이다.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자 위협을 느꼈는지 머리를
좌우
로 흔들며 날아갔다.마을 입구의 어른들은 초가지붕을 교체하기 위해 짚을 엮는 작업에 한창이었다. 나락을 털어내고 탈곡을 한 후 남은 볏짚을 엮어 ‘이엉’으로 만든 후 이를 지붕에 올리는 이른바 ... ...
2013 눈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신호를 받아 도로에 제설액을 뿌리는 장치다. 20m 간격으로 설치돼 있어
좌우
로 10m씩 맡는다. 도로 20m에 빠짐없이 제설액을 골고루 뿌리기 위해서는 상당한 기술이 필요하다.펌프하우스통합 관제장치다. 기상관측장비와 도로표면 감지센서에서 들어온 정보를 종합해 제설액을 뿌릴지 자동으로 ... ...
[수학실험실] 눈결정보다 아름다운 오더리 탱글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대칭이라는 점이다. 대칭은 오래 전부터 아름다움의 조건이었다. 실제로 얼굴과 몸매가
좌우
대칭인 이성에게 사람들은 더 매력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따라서 대칭은 오래전부터 사람들의 관심 대상이었다.수학자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수학자들의 대칭 연구는 고대 그리스 시대까지 거슬러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