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시"(으)로 총 3,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이상구 한국수학교육학회 회장 - 코딩은 수학 교육의 구원 투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학생들이 게시판에서 열심히 토론해서 문제를 해결하죠. 답을 찾은 사람, 아이디어를 제시한 사람 모두에게 토론 참여 점수를 줍니다. 학생들이 문제 해결에 참여한 내용을 정리해 제출하면 성적에 반영하죠. 낯선 교육 방식이지만, 지난 학기에는 두 달 사이에 약 2000개 글이 올라올 정도로 반응이 ... ...
- Part 3. 유럽 2024년 문 빌리지 건설 ‘문레이스’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구성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달 토양으로 블록 만들어 기지 건설 문레이스가 제시한 네 가지 기술 분야 중 가장 시급한 것은 달 자원 활용 기술이다. 지구에서 수많은 돌과 콘크리트, 물 등을 로켓에 실어 나르기에는 달까지 거리가 너무 멀고 연료 효율도 떨어진다. 만약 달에 있는 자원을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학부장은 “재료공학이라는 학문의 특성상 복잡한 시스템에서 핵심원리를 찾아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종합적인 사고를 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조언 - 기초와 응용 모두 갖춘 학문 재료공학은 영어로는 ‘Materials science& engineering’이다. 주 학부장은 “공대에서 ... ...
- 인문학을 사랑한 수학자 게오르디 윌리엄슨 호주 시드니대 교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밝힌 것이다. 루스즈티그 추측은 루마니아계 미국 수학자 제오르제 루스즈티그가 1980년 제시한 표현론 분야의 문제로, 수학자들은 추측과 관련된 수식의 소수가 특정 소수보다 크면 추측이 옳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를 밝힐 근거가 부족했다. 박사과정 지도 교수의 추천으로 이 문제에 도전한 ... ...
- 노벨 생리의학상, 암 정복의 길을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암세포는 T세포가 표면에 CTLA-4와 PD-1 두 단백질을 만들어내도록 해요. 그러면 항원제시세포가 아무리 암세포의 정보를 전달하더라도 T세포는 암세포를 죽이지 않지요. 앨리슨 교수와 혼조 교수는 암세포가 면역력을 떨어뜨리기 위해 두 단백질을 이용한다는 것을 밝힌 뒤, 이 단백질을 막는 약을 ... ...
- 노벨화학상, 생물로 단백질 공장을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바이러스가 특정 단백질을 표면에 내보이도록(디스플레이) 만든다는 뜻에서 ‘파지 제시법’ 또는 ‘파지 디스플레이’라고도 불리지요. 파지 디스플레이는 본래 특정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찾아내기 위해 개발됐어요. 박테리오파지의 표면을 만드는 유전자 옆에다가 미지의 유전자를 끼워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내년 과학 활동 미리 계획하기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일반고와 과학고·영재학교, 두 부문으로 나눠 진행됩니다. 고교 2학년 교육과정 내에서 제시된 실험 주제에 대해 실험을 설계하고 직접 실험한 결과를 보고서로 작성해 제출합니다. 원래는 지필 평가도 있었지만, 올해부터 폐지됐습니다. 과학전람회나 과학축전 참가 자신의 연구 성과를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한 기존 치료법과 달리 이들은 암 환자의 면역세포를 이용해 새로운 개념의 치료법을 제시했다. 하지만 3세대 항암치료가 등장했다고 해서 기존의 항암치료법이 중단된 것은 아니다. 특히 ‘2세대 항암치료’로 불리는 ‘표적항암제’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암 치료법이다. 최근에는 암 ...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일요 웹툰 ‘수학 잘하는 법’은 미국 클레이 수학연구소가 제시한 7대 난제인, ‘밀레니엄 문제’에 도전하는 두 주인공의 이야기를 그린다. 네이버가 주최한 ‘2017 청춘 로맨스 대전’ 우수상 수상작이기도한 이 웹툰을 보면 우리도 수학 잘하는 법을 깨우칠 수 있을까? 처음 보는 사람도 단숨에 ... ...
- 케네스 리벳 미국수학회 회장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의 숨은 공신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마지막 정리는 프랑스의 고등법원 판사이자 수학자였던 피에르 드 페르마가 1637년 제시한 것으로, 3차 이상의 방정식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a, b, c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리다. 종이의 여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이에 대한 증명을 남겨 놓지 않아 350년 이상 수학자들을 괴롭힌 난제로 남아 있었다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