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공"(으)로 총 2,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지내면서도 인생을 재미있게 보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알파고’에 감명 받아 전공 결정 18학번 박준영박준영 씨는 서울 여의도고를 졸업한 뒤 재수를 거쳐 정시전형으로 컴퓨터공학부에 입학했다. 박 씨가 고등학교 3학년이었던 2016년에는 이세돌 9단과 인공지능(AI) ‘알파고’의 대국이 ... ...
- [INTERVIEW] 사람이 좋은 수학자, 천정희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영향을 줄 수 있는 연구에 매력을 느낀 것 같아요. 많은 수학 분야 중에서 정수론을 전공한 이유 중 하나가 정수론 문제는 대부분 증명은 어려워도 문제는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제 박사 논문 주제도 10분만 주면 수학을 모르는 사람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할 수 있어요. 암호론에 ... ...
- DGIST 뇌·인지과학전공 - 뇌질환 비밀 풀 열쇠 ‘세포의 성벽’ 인지질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를 최초로 밝힌 서병창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는 “인지질의 역할을 정확히 규명하면 뇌전증, 자폐 등 신경신호 전달과 관련된 질병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지질의 이온 통로 조절, 최초 확인 신경세포 사이의 ... ...
- [SW 진로 체험] AI가 있는 곳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알 수 없고, 데이터의 양도 무척 많죠. 그래서 인공지능 연구는 협업이 중요해요. 전공이 다른 여러 연구원들이 서로 모르는 부분을 조금씩 채워가며 일을 해야 하죠. ● 가장 필요한 능력은? 김 기자 : AI 연구원을 꿈꾸는 청소년에게 조언해 주세요. 임성빈 연구원 필즈상 수상자인 히로나카 ... ...
- 슬기로운 진로 탐구생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위해 세상에 하나뿐인 축구화를 만든다. 이렇게 꼭 직접 운동을 하지 않아도, 체육 관련 전공이 아니어도 관심만 있다면 얼마든지 스포츠 분야에서 다양한 직업을 가질 수 있다. 만약 그저 경기만 보는 것에 만족하고 말았다면, 혹시 나의 취미나 특기를 관련 지어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없을지 ... ...
- Part 2. 日 2040년 문 밸리 건설, 지구-달 오가는 ‘달 셔틀’ 운영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때부터 ‘스타워즈’를 굉장히 좋아한 ‘우주 덕후’였다”며 “대학에서 우주공학을 전공한 뒤 우주기술을 상업화해야겠다는 생각을 하던 중 요시다 교수의 달 탐사 로버 개발 계획을 듣고 아이스페이스 창업을 결심했다”고 말했다. 아이스페이스는 루나 X프라이즈 종료 이후 하쿠토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상일여고를 졸업한 박유정 씨는 수시 지역균형 선발전형으로 입학했다. 그는 전공을 정할 때 서울대 홈페이지에서 모든 학과의 소개 글을 전부 읽었다. 나노 연구에 관심이 있었는데, 재료공학부가 응용분야가 넓은 것 같아 지원을 결심했다. 박 씨는 지역균형 선발전형 지원자임에도 내신 성적이 ... ...
- [나의 영국 유학 일기] 성적만 들고 임페리얼칼리지(ICL)에 지원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적었기 때문이다. 안정적이고 무리 없는 삶이 훨씬 괜찮아 보였다. 그래서 순수과학을 전공으로 선택하는 데에는 나름의 용기가 필요했다. 임페리얼칼리지에 원서를 넣기 전날, 나는 밤새도록 화학과를 졸업해 후회한다는 사람들의 글을 읽었다. 차라리 화학‘공학’과로 원서를 넣을까, 수도 없이 ... ...
- Part 3. 22년 동안 리만 가설에 도전한 수학자 이야기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리만 가설을 푸는 영광이 주어진다면…, 그다음에는 뭘 할지 잘 모르겠어요. 제 전공이 수리논리학이니까 인공지능(AI)의 구조를 연구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기 교수는 리만 가설을 풀게 된다면 다음엔 어떤 문제에 도전하겠냐고 묻자 고민하다가 AI를 언급했습니다. 인공신경망 같은 인공지능은 ... ...
- [Tech] 만능 스포츠 로봇을 만들어라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모양으로 만들어지는 게 너무나 신기했다”고 말했다. 자연스레 대학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한 그는 졸업 이후 한 대기업 연구소에서 탱크와 장갑차를 설계했다. 하지만 로봇을 만들겠다던 어린 시절 꿈이 내내 마음 한 구석을 차지하고 있었다. 결국 그는 꿈을 이루러 떠나기로 작정했다. 그리고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