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원회"(으)로 총 1,452건 검색되었습니다.
- 방사능보다 더 무서운 괴담의 진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0.02~0.03μSv/h의 방사선량을 기록했어. 같은 시각 서울의 환경방사선량은 한국원자력안전위원회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0.108μSv/h 정도야. 큰 차이가 없지?단 원전 주변은 계속 위험해. 2013년 9월 25일 기준으로 후쿠시마 원전 반경 20km 이내의 공간방사선량은 시간당 19.0μSv야. 1μSv/h가 약 5mSv/년에 .. ...
- 스파이더맨 VS 일렉트로 대정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4년 05호
- 2012년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에 이어 2년 만에 더 강력해진 거미 인간이 돌이왔다! 거미 인간 생활에 완벽하게 적응한 피터 파커는 뉴욕 시내를 활발하게 누비게 된다. 그런데 때마침 등장한 전기 인간 일렉트로가 뉴욕에 대정전을 일으키며 시민들을 공황에 빠뜨린다. 최첨단 기술로 무장한 스 ... ...
- 대한민국을 덮친 AI의 정체는? AI 바이러스 수사 파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높다는 주장이다. 인 . 터 . 뷰 김재홍(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AI 역학조사위원회 위원장)만약 우리나라 농가의 오리나 닭에서 AI 바이러스가 처음 생겼다면 오리나 닭의 사체에 항체가 있어야 해요. 하지만 조사 결과 항체는 없었지요. 동림저수지에서 발견한 가창오리, 큰기러기, 큰고니, ... ...
- 아름다운 층간소음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윗집에서 나는 층간소음이 더 거슬리는 걸까요?이유1 예기치 않게 갑자기 들린다국민권익위원회가 운영하는 110정부민원안내콜센터가 조사한 결과, 사람들이 가장 듣기 싫다고 느끼는 층간소음은 어린이들이 뛰어다니는 소리였어요(36%). 아무 때나 쿵쾅거리기 때문에 소리의 크기나 리듬이 일정하지 ... ...
- 가창오리의 억울한 죽음과학동아 l2014년 03호
- 한다. 하지만 저병원성 AI를 앓았던 오리는 한 마리도 발견되지 않았다. 역학조사위원회 위원장인 김재홍 서울대 수의과대학 교수는 “씨오리농장과 그 주변을 조사해본 결과 저병원성 H5N8형 AI에 대한 항체를 가지고 있는 오리는 없었다”고 밝혔다. 동림저수지에서 죽은 가창오리도 아니고, 가축 ... ...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과학으로 100배 즐기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 가장 따뜻한 곳에서 펼치는 겨울올림픽!소치는 흑해 해안을 따라 145㎞ 정도 뻗어 있는 아름다운 자연 도시예요. 지금까지 동계올림픽이 열린 장소 중에서 가장 따뜻하고 고도도 낮답니다. 1~2월 평균 기온이 7~8℃(서울 평균 -2℃)라니 얼마나 따뜻한지 알겠죠?소치는 위도가 43°로 37°인 서울보 ... ...
- 수학교과서에 오류 있다?!수학동아 l2014년 03호
- 기관인 인천시교육청에서 심의위원회를 꾸려 심의한 뒤 인정하면 된다.그런데 현재 심의위원회는 교과서에 들어갈 사진과 그림까지 모두 정해진 상태에서 심의를 하고 있어, 이미 들어간 내용을 통으로 바꾸기가 쉽지 않다. 또 심의위원들 모두가 출판사의 교과서를 심의하는 것이 아니라 조를 이뤄 ... ...
- PART1. 핵 쓰레기통이 넘친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방식이든 공론화를 통해서 지역사회와 시민들의 합의를 도출해야한다. 정부는 공론화위원회를 본격적으로 운영하고 현재 원전이 아닌 지역에 중간처분장 건설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문제는 현실성이다. 원전 등에서 사용한 작업복, 장갑, 폐필터 등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처리장을 위한 부지 ... ...
- BRIDGE. 경주 방폐장 부지, 과연 ‘안녕’한가?과학동아 l2014년 03호
- 그런데 경주 방폐장 선정 당시 부지선정위원회 위원이 현재 사용후 핵연료 공론화위원회 위원장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핵쓰레기 더이상 버릴 곳이 없다PART1. 핵 쓰레기통이 넘친다BRIDGE. 경주 방폐장 부지, 과연 ‘안녕’한가?PART2. 지하 500m도 ... ...
- 프랑스의 실패한 달력 혁명과학동아 l2014년 02호
- 교황 그레고리 13세는 독일의 수학자 크리스토퍼 클라비우스를 위원장으로 하는 달력위원회를 만들어 1582년, ‘그레고리력’을 만들었다. 이와 더불어 율리우스력의 누적 오차인 10일을 복구하기 위해 1582년 10월 4일의 다음날을 10월 15일로 정했다. 갑자기 달력에서 10일이 사라진 것이다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