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운영"(으)로 총 2,9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소로 달리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총 33개(연구용 8개 포함)가 운영되고 있다. 이날 서울에서는 국회수소충전소만 운영 중이었다. 수소 택시 등으로 충전소가 붐빌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고 고속도로에서 수소차의 가속 성능도 확인하고 싶었다. 그래서 출발지에서 약 30km 떨어진 H하남수소충전소를 최종 목적지로 택했다. 막히지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과학기술에 대한 열정은 아직 그 누구보다 뜨겁다. 쏘카 소속으로 폴라리언트를 운영하면서 동시에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대학원에 진학한 이유다. 2월이면 석사학위를 받는다. 그동안의 경험을 되돌아보면 편광으로 자신이 나아갈 길을 찾는 사막개미처럼 나 또한 과학동아를 통해 나의 길을 ... ...
- [진로체험] 자산 관리 하는 AI 비서 만든다, 권영준 블루바이저 상무수학동아 l2020년 02호
- 통해 남을 설득하는 기술과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팀을 이끄는 리더십, 그리고 운영 지식이 필요합니다. 전공에 상관없이 이런 능력을 미리 연습하고 배운다면 큰 도움이 될 거예요.Q.마지막으로 조언 한마디 해주세요! SW나 코딩 분야는 나이, 성별, 장애 여부에 상관없이 누구나 배워 활용할 수 있고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수학공부의 골든타임수학동아 l2020년 02호
- 학생을 가르치고 있다. 블로그 ‘자기주도력발전소(blog.naver.com/sunyoh)’를 운영하며, 중학생의 수학 학습법과 고등학교 진학에 대한 콘텐츠를 꾸준히 올리고 있다. ※편집자주. 수학을 잘하고 싶지만 어떻게 시작 해야 할지 막막한 학생, 수학 점수를 좀 더 올리고 싶은 학생 모두에게 필요한 수학 ... ...
- 제주에서 바닷바람을 느끼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44개 지역에서 해상풍력발전 계획이 논의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12MW급 해상풍력발전기가 운영되고 있다. 두산중공업도 8MW급 풍력발전기를 자체 개발하기 위해 연구 중이다. 정 전 사업본부장은 “국내 바다에 무분별하게 풍력발전기를 지을 수는 없다”며 “가장 적합한 지역을 찾고 고효율 ... ...
- 로봇, 100년 동안 갖가지 얼굴을 갖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자율주행로봇이 공공장소에 속속 나타나고 있어요. 지난해 11월 배달앱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은 실내에서 쓸 수 있는 서빙용 자율주행로봇 ‘딜리’를 출시했어요. 점원이 딜리의 선반에 음식을 올리고 테이블 번호를 누르면 딜리가 최적의 경로를 계산해 이동하지요. 딜리는 국내 ... ...
- 펭수야, 너 진짜 펭귄 맞니? 펭수 vs. 펭귄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1호
- EBS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자이언트 펭TV’가 오픈한 지 약 9개월 만에 구독자 143만(12월 21일 기준)을 기록하며 대세로 떠올랐다. 그 1등 공신은 단연 채널의 주인공인 크리에이터 연습생 펭수다. 펭수의 정체가 궁금해진 과학동아는 펭수의 고향 남극 장보고과학기지에서 연구 중이던 펭귄 전문가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아는 지능 로봇이 2040년이 되기 전에는 상용화될 것 같습니다. 이미 해외에서는 시범 운영 중인 것으로 아는데요, 상용화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판단한 이유는 무엇인가요?로봇이 물류 창고에서 일하려면 자세 측정(Pose Estimation) 기능과 물체 인식 기능이 있어야 합니다. 이런 기술들이 아직 ... ...
- [교육뉴스]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부에 국제중학교 폐지 건의수학동아 l2020년 01호
- 폐지 안건을 교육부에 건의했다고 2019년 12월 9일 밝혔습니다. 또 기존 국제중학교에 대한 운영 평가를 실시해 설립목적에 맞지 않는 학교는 지정취소할 예정입니다.국제중학교는 초등학교 때부터 과도한 입시경쟁을 유도하며, 사교육을 조장하고 중등교육 평준화 정책과 맞지 않다는 논란이 ... ...
- 지렁이를 사랑한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30년 넘게 지렁이를 연구했어요!” 경기도 일산에 있는 ‘지렁이농업연구소’를 운영하는 최훈근 소장님은 ‘우리나라 1호 지렁이 박사’라고도 불려요. 아무도 지렁이를 연구하지 않던 1990년대에 처음으로 지렁이 연구를 시작해 지금까지 꾸준히 지렁이를 연구하고 계시기 때문이지요. 소장님을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